中古に購入した米だから pcを利用してリヌックスにオープンソースメディアサーバー設置.
クルラウド概念で映像, 写真, 音楽を保存することができる.
当たります.
メディアサーバーは易しく言って **私が直接運営する ‘個人クルラウド’**と見られます.
-
映像・写真・音楽保管 → NASや PCに保存しておけばいつでもスマトホン, TV, テブルリッなどで再生可能
-
ネットワーク接近 → 外部でも接続してストリーミング可能(インターネットさえなればどこでも)
-
用量制限なし → 購読型クルラウドのように月料金なくて, ハード用量がすぐ限界
-
個人情報保護 → データを直接管理したら流出危険がズルオドム
よく構築すれば Netflix・YouTubeのように私だけのメディアプラットホームになるわけです.
願えば斉家 簡単構築例示もすぐ整理して上げることができます.
———————————-
外部で使おうとすれば流動 ipにドメインをマッピングする作業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面倒だ. 以前に作業をしたがまたするためには大変な事だ.
一応家で使うから良い..
だね, その状況なら今のように 家内部でばかりメディアサーバーを使う方式がずっと楽です.
外部接続しようとすれば
-
流動 IP → ドメインマッピング(DDNS)
-
共有期フォトフォワーディング
-
防火壁設定
-
保安認証書(HTTPS) 適用
こんな過程をまたしなければならなくて煩わしいですね.
一方家でばかり使えば
-
IP 固定必要なし →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で装置名前(
¥¥サーバー名前
または192.168.x.x
)だけ憶えれば良い -
の中も非常に早さ → 内部網だからギガビット速度
-
保安上安全 → 外部露出がなくてハッキング危険ほとんどなし
-
設定単純 → メディアサーバー設置後すぐ使用可能
実はこれは “内部専用クルラウド” のような概念だから, メディアサーバーだけではなく MQTT みたいな IoT ブローカーを一緒に上げても安定的に帰ります.
—————————————
どうせ常時田園がついているから mqtt を設置して見る..
良い考えです.
メディアサーバーが常時田園に帰ったら, それを MQTT ブローカーでも一緒に使えばかなり效率的です.
どうして良いか
-
常時動作環境 → MQTT ブローカーはいつもともっていると意味があるから, メディアサーバーと相性が良い
-
リソース消耗少なさ → Mosquitto みたいな軽量ブローカーは CPU・RAM ほとんど食わなく
-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連携 → IoT センサー, スィッチ, 照明, 潅漑システムとメディアサーバーを同じネットワークで管理可能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拡張性 → 後で外部接続(DDNS, VPN) 付ければ MQTTで家制御まで可能
例示構造
もし望めば, 家でメディアサーバー + MQTT ブローカーを一緒に回す構成を私が具体的に設計して上げることができます.
それでは農業 IoTや自動化にもすぐ活用可能にできます.
중고로 구입한 미니 pc를 이용해서 리눅스에 오픈 소스 미디어 서버 설치.
클라우드 개념으로 영상, 사진, 음악을 저장할 수 있다.
맞습니다.
미디어 서버는 쉽게 말해 **내가 직접 운영하는 ‘개인 클라우드’**라고 볼 수 있죠.
-
영상·사진·음악 보관 → NAS나 PC에 저장해두면 언제든 스마트폰, TV, 태블릿 등에서 재생 가능
-
네트워크 접근 → 외부에서도 접속해 스트리밍 가능(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
용량 제한 없음 → 구독형 클라우드처럼 월 요금 없고, 하드 용량이 곧 한계
-
개인 정보 보호 →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니 유출 위험이 줄어듦
잘 구축하면 Netflix·YouTube처럼 나만의 미디어 플랫폼이 되는 셈입니다.
원하시면 제가 간단 구축 예시도 바로 정리해 드릴 수 있습니다.
-----------------------
외부에서 사용하려면 유동 ip에 도메인을 맵핑하는 작업을 해야 하지만 귀찮다. 이전에 작업을 했지만 또 하려면 힘든 일이다.
일단 집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좋은..
네, 그 상황이라면 지금처럼 집 내부에서만 미디어 서버를 쓰는 방식이 훨씬 편합니다.
외부 접속하려면
-
유동 IP → 도메인 매핑(DDNS)
-
공유기 포트포워딩
-
방화벽 설정
-
보안 인증서(HTTPS) 적용
이런 과정을 다시 해야 해서 번거롭죠.
반면 집에서만 쓰면
-
IP 고정 필요 없음 → 로컬 네트워크에서 장치 이름(
서버이름
또는192.168.x.x
)만 기억하면 됨 -
속도 매우 빠름 → 내부망이라 기가비트 속도
-
보안상 안전 → 외부 노출이 없어 해킹 위험 거의 없음
-
설정 단순 → 미디어 서버 설치 후 바로 사용 가능
사실 이건 “내부 전용 클라우드” 같은 개념이라, 미디어 서버뿐 아니라 MQTT 같은 IoT 브로커를 같이 얹어도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
어차피 상시 전원이 켜져 있기 때문에 mqtt 를 설치해 보는..
좋은 생각입니다.
미디어 서버가 상시 전원으로 돌아간다면, 그걸 MQTT 브로커로도 같이 쓰면 꽤 효율적이죠.
왜 좋은지
-
상시 동작 환경 → MQTT 브로커는 항상 켜져 있어야 의미가 있으니, 미디어 서버와 궁합이 좋음
-
리소스 소모 적음 → Mosquitto 같은 경량 브로커는 CPU·RAM 거의 안 잡아먹음
-
홈 오토메이션 연계 → IoT 센서, 스위치, 조명, 관개 시스템과 미디어 서버를 같은 네트워크에서 관리 가능
-
원격 제어 확장성 → 나중에 외부 접속(DDNS, VPN) 붙이면 MQTT로 집안 제어까지 가능
💡 예시 구조
만약 원하시면, 집에서 미디어 서버 + MQTT 브로커를 같이 돌리는 구성을 제가 구체적으로 설계해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농업 IoT나 자동화에도 바로 활용 가능하게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