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Y 立場(入場)で K-POP デモンホントスは悔しがるに値する事ではない.
この作品はネップルリックスの投資金に製作されたことであり, SONYは単純に製作社で参加しただけだ. 最初から K-POPを主題にしたアニメーションに積極的ではなかった SONYは権利を主張する位置にあらなかった. 事実上ネップルリックスの用役(下請)に近い形態で製作を引き受けたと思うことが妥当だ.
その上にこのプロジェクトの企画課投資提案は監督兼各本家である Maggie Kangが主導した. 彼女がネップルリックスを直接尋ねて投資を要請したし, その資金で SONYが製作過程に参加するようになったのだ. 結局 SONYは作品の主体ではなく, 投資者と同時に権利者であるネップルリックスのパートナー役目に過ぎなかった.
<iframe width="716" height="403" src="https://www.youtube.com/embed/by-rVFDQqxs" title=""케데헌 IP 1조원 돌파에 소니 현실부정 오열" 돈안될줄 알고 저작권 전부 넘긴 일본 소니 현재 눈물바다된 이유"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SONY 입장에서 K-POP 데몬헌터스는 억울해할 만한 일이 아니다.
이 작품은 넷플릭스의 투자금으로 제작된 것이며, SONY는 단순히 제작사로 참여했을 뿐이다. 애초부터 K-POP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SONY는 권리를 주장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 사실상 넷플릭스의 용역(하청)에 가까운 형태로 제작을 맡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더구나 이 프로젝트의 기획과 투자 제안은 감독 겸 각본가인 Maggie Kang이 주도했다. 그녀가 넷플릭스를 직접 찾아가 투자를 요청했고, 그 자금으로 SONY가 제작 과정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결국 SONY는 작품의 주체가 아니라, 투자자이자 권리자인 넷플릭스의 파트너 역할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