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は根本的に国民国家と言うよりはダミンゾック・文明権適帝国の延長線に立っている. しかし表面積には現代的国民国家の姿を真似っているから不可欠で認知不調和が発生する. これは歴史的に形成された中華思想のためだ. 中華思想は周辺世界を抱きこんで位階を立てることで維持されたが, 現代国際秩序の中でこれをそのまま維持することは不可能だ. それにもかかわらず中国は相変らず自らが世界の中心で最高という幻想を見せなければならない. そうしてこそ内部的に不安を隠して, 外部的には国家のように認められることができるからだ.
特に韓国の文化が全世界的に影響を及ぼす時, 中国の中華思想には割れ目が生ずる. 中華思想は ‘中国が文明の中心で周辺は従属的’という思考に基盤するが, 韓国文化が世界的普遍性を獲得して影響力を拡大する瞬間, 中国は自らの中心性を疑心受けるしかない. したがって中国が韓国の文化的成就をけなすとか自分たちの物で抱きこもうと思う態度は単純な競争心理ではなく, 自分たちのアイデンティティ割れ目を恐れる不安の反映だ. 結局中国の過剰された自負心と誇示的態度は国家アイデンティティの矛盾から始まった不可欠結果にしよう, 外部文化の挑戦に対する防御的反応と言える.
중국은 근본적으로 국민국가라기보다는 다민족·문명권적 제국의 연장선에 서 있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현대적 국민국가의 모습을 흉내 내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인지부조화가 발생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중화사상 때문이다. 중화사상은 주변 세계를 포섭하고 위계를 세움으로써 유지되었으나, 현대 국제 질서 속에서 이를 그대로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스스로가 세계의 중심이고 최고라는 환상을 보여야만 한다. 그래야만 내부적으로 불안을 감추고, 외부적으로는 국가처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중국의 중화사상에는 균열이 생긴다. 중화사상은 ‘중국이 문명의 중심이고 주변은 종속적’이라는 사고에 기반하지만, 한국 문화가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고 영향력을 확대하는 순간, 중국은 스스로의 중심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국이 한국의 문화적 성취를 깎아내리거나 자신들의 것으로 포섭하려 하는 태도는 단순한 경쟁심리가 아니라, 자신들의 정체성 균열을 두려워하는 불안의 반영이다. 결국 중국의 과잉된 자부심과 과시적 태도는 국가 정체성의 모순에서 비롯된 필연적 결과이자, 외부 문화의 도전에 대한 방어적 반응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