イ・ジェミョン、アメリカ訪問で空港の出迎え、宿泊場所とすべて「一枚下」の扱いを受けていた……
24日午後(現地時間)、米国に到着した李在明(イ・ジェミョン)大統領は初日、在米韓国人や韓国系米国人との夕食懇談会に出席した後、ワシントンのあるホテルに宿泊した。李大統領は2泊3日間の訪米期間中、ホワイトハウス近くにある米大統領の迎賓施設「ブレアハウス」ではなく、このホテルに泊まる予定だ。
米国務省は外国首脳の訪問を「国賓訪問」「公式訪問」「公式実務訪問」「実務訪問」「私的訪問」に区分している。国賓訪問や公式訪問の際は必ずブレアハウスに招待するが、公式実務訪問や実務訪問の場合は、米政府の裁量に委ねられている。李大統領の今回の訪米は公式実務訪問だ。盧武鉉(ノ・ムヒョン)大統領、李明博(イ・ミョンバク)大統領、朴槿恵(パク・クンヘ)大統領=いずれも当時=は就任1年目に米国を実務訪問したが、ブレアハウスに招待された。トランプ大統領第1期目の2017年に公式実務訪問した文在寅(ムン・ジェイン)大統領=当時=は3泊4日間ブレアハウスに滞在した。李大統領がホテルに滞在することについて、韓国政府関係者は「ブレアハウスは修理中だ」と言った。しかし、先月20日から22日まで米国を公式訪問したフィリピンのフェルディナンド・マルコス・ジュニア大統領はブレアハウスに招待された。
また、これより前、李大統領を乗せた韓国空軍1号機(大統領専用機)が24日午後にワシントンの東にあるメリーランド州のアンドルーズ空軍基地に到着すると、米国務省儀典局のアビゲイル・ジョーンズ副儀典長が李大統領夫妻を出迎えた。大使級高位職のモニカ・クローリー儀典長は来なかった。2021年の文在寅(ムン・ジェイン)大統領の公式実務訪問時や、23年の尹錫悦(ユン・ソンニョル)大統領=いずれも当時=の国賓訪問時は儀典長が出迎えた。
(引用ここまで)
イ・ジェミョンの訪米が公式実務訪問扱いで、迎賓館に相当するブレアハウスに泊まることもなくワシントンDCのホテルに滞在したと。
ただ、公式実務訪問よりも格下となる実務訪問だったノ・ムヒョン、イ・ミョンバク、パク・クネはブレアハウスに宿泊したとのこと。
さらにムン・ジェインは公式実訪問でブレアハウスに宿泊。
……まあ、しょうがないんじゃない?
イ・ジェミョンはアメリカからはかなり「中国寄り」として扱われています。
CSISのビクター・チャが「中国に謝々とか言っている場合じゃないぞ」って警告するくらいには中国寄りだと思われています。
まあ、そのくらいの扱いですよ。
空港への出迎えも儀典長ではなく副儀典長。
外交でのプロトコル的な扱いがことごとく一枚下。
韓国との関係を深化するつもりがないからこそ、ですよね。
ムン・ジェイン元大統領が中国で「国賓訪問」したはずなのに、散々な対応をされたのと同じですよ。
っていうか、21世紀以降で韓国の元首がアメリカでまともに扱われたのってユン前大統領の国賓訪問くらいだよなぁ……。
ノ・ムヒョンに至っては「日本と同じ扱いでキャンプデービッドに宿泊させろ!」って言われて、子ブッシュが「なんだこいつ……」ってなったっていうね。
이·제몰, 미국 방문으로 공항의 마중, 숙박 장소와 모두 「한 장하」의 취급을 받고 있었다
24일 오후(현지시간), 미국에 도착한 이재아키라(이·제몰) 대통령은 첫날, 재미 한국인이나 한국계 미국인과의 저녁 식사 간담회에 출석한 후, 워싱턴이 있는 호텔에 숙박했다.이 대통령은 2박 3일간의 방미 기간중, 백악관 근처에 있는 미 대통령의 영빈 시설 「블레어 하우스」가 아니고, 이 호텔에 묵을 예정이다.미국무성은 외국 수뇌의 방문을 「국빈 방문」 「공식 방문」 「공식 실무 방문」 「실무 방문」 「사적 방문」에 구분하고 있다.국빈 방문이나 공식 방문때는 반드시 블레어 하우스에 초대하지만, 공식 실무 방문이나 실무 방문의 경우는, 미 정부의 재량에 맡길 수 있고 있다.이 대통령의 이번 방미는 공식 실무 방문이다.노무현(노·무홀) 대통령, 이명박(이·몰바크) 대통령, 박근 메구미(박·쿠헤) 대통령=모두 당시 =는 취임 1년째에 미국을 실무 방문했지만, 블레어 하우스에 초대되었다.트럼프 대통령 제 1기째의 2017년에 공식 실무 방문한 문 재토라(문·제인) 대통령=당시 =는 3박 4일간 블레어 하우스에 체재했다.이 대통령이 호텔에 체재하는 것에 대하여, 한국 정부 관계자는 「블레어 하우스는 수리중이다」라고 했다.그러나, 지난 달 20일부터 22일까지 미국을 공식 방문한 필리핀의 휄디난도·마르코스·쥬니어 대통령은 블레어 하우스에 초대되었다. 또, 이것보다 전, 이 대통령을 실은 한국 공군 1호기(대통령 전용기)가 24일 오후에 워싱턴의 동쪽에 있는 메릴랜드주의 안드르즈 공군 기지에 도착하면, 미국무성 전례국의 아비게일·존즈부전례장이 이 대통령 부부를 마중나갔다.대사급 고위직의 모니카·크로 리 전례장은 오지 않았다.2021년의 문 재토라(문·제인) 대통령의 공식 실무 방문시나, 23년의 윤 주석기쁨(윤·손뇨르) 대통령=모두 당시 =의 국빈 방문시는 전례장이 마중나갔다.
(인용 여기까지)
이·제몰의 방미가 공식 실무 방문 취급으로, 영빈관에 상당하는 블레어 하우스에 묵을 것도 없고 워싱턴 DC의 호텔에 체재했다고.
단지, 공식 실무 방문보다 격하가 되는 실무 방문이었던 노·무홀, 이·몰바크, 박·쿠네는 블레어 하우스에 숙박했다는 것.
한층 더 문·제인은 공식실방문으로 블레어 하우스에 숙박.
뭐, 어쩔 수 없지 않아?
CSIS의 빅터·차가 「중국에 사들이라든가 말하는 때가 아니어」는 경고할 정도로 중국 가까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뭐, 그 정도의 취급이에요.
공항에의 마중도 전례장은 아니고 부전례장.
외교로의 프로토콜적인 취급이 죄다 한 장하.
한국과의 관계를 심화 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더욱 , 이군요.
문·제인 전 대통령이 중국에서 「국빈 방문」했을 것인데, 몹시 나쁜 대응을 하신 것과 같아요.
라고 하는지, 21 세기 이후에 한국의 원수가 미국에서 온전히 다루어진 것이라는 윤 전대통령의 국빈 방문 정도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