最近ひさご論難が地域を選り分けないで多くの伝統市場と地域祭りで倦まず弛まなく裂けています.
どんなにせっぱつまれば K-ひさごという自省のものが出るほどです.
徐徐に公憤が激しくなると危機感を感じた地方自治体と商人たちが対策用意に乗り出す雰囲気ですよ.
申し訳ないと言いながらこんなに席藁待罪をする地域商人たちまで出ました.
昨日(14日) 昼仁川南洞区にあるソレ潟魚市場です.
商人たちがむしろの上にぐっと伏せて席藁待罪するように丁寧なお辞儀をします.
商人たちが集まってひさごを着せないと約束して, 市民たちに謝ったんです.
商人 100余人が集まったが, “顧客信頼回復” などの文具が書かれたピケットを持って市場あちこちを回りながらこれからは変わろうと訴えました.
こんなに伏せて謝りまでするようになったことは最近オンライン上で大きい怒りを起こしたがざみすり替え論難が大きかったです.
いきいきと生きているがざみを購入したが, 家へ来て開けてみたら橋がすべて落ちた死んだがざみが入っていたとしながら “すり替え” あったという文がオンラインコミュニティに上って来たはずです.
ソレ潟一部商人たちの悪名高いひさごはずいぶん前から消費者たちの不満を受けたんです.
がざみすり替え論難が油を注いだはずです.
こんなにひさご被害を受けた事例が SNSであんまり早い広がって見るから人々もこれ以上そのまま越えて行ってくれない雰囲気ですよ.
それで地方自治体たちも心をぐっと引きしめてひさご清算に出る雰囲気です.
全南咸平郡の “咸平蝶大祭り”ではかまぼこ一杯を 1万ウォンに売って公憤を買ったし慶南昌原の鎭海軍港祭, 全北南原の春香祭など国内代表地域祭りでもひさご論難が起りました.
最近には水原で開かれた祭りで生水病に大量焼酒を小分けして売りながら大きい非難を浴びました.
地域経済に活力を吹き入れなければならない地域祭りがむしろ地域もうだが台無しにしてしまったはずです.
祭りを控えた地方自治体たちはこんな飛び火がトイルだと, ひさご清算対備策を用意しています.
江陵端午制の場合祭り食べ物価格をてんから決めてしまいました.
代表食べ物であるカムジャジョンは 2枚に 1万 2千ウォン, 端午どぶろくの価格は一本 6千ウォンで決める式です.
またかまぼこ・串などを売る商店は価格を公示するようにしました.
マード祭りを控えた忠南保寧市も出ました.
慢性的な海水浴場ひさごを清算するために物価特別管理チームと不当料金申告センターを運営することにしたことです.
大邱市は先月祭りを開きながらひさご論難を避けようと初めから食べ物を売る露店を運営しなかったりしました.
<iframe frameborder="0" src="//www.youtube.com/embed/Ey7zJpGw_ks" width="640" height="360" class="note-video-clip"></iframe>
최근 바가지 논란이 지역을 가리지 않고 여러 전통 시장과 지역 축제에서 꾸준하게 터지고 있죠.
오죽하면 K-바가지라는 자성의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점차 공분이 거세지자 위기감을 느낀 지자체와 상인들이 대책 마련에 나서는 분위기인데요.
죄송하다면서 이렇게 석고대죄를 하는 지역 상인들까지 나왔습니다.
어제(14일) 낮 인천 남동구에 있는 소래포구 어시장입니다.
상인들이 멍석 위에 바싹 엎드려 석고대죄하듯 큰절을 합니다.
상인들이 모여 바가지를 안 씌우겠다고 약속하며, 시민들에게 사과한 겁니다.
상인 100여 명이 모였는데, "고객 신뢰 회복"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시장 곳곳을 돌면서 이제는 변하자고 호소했습니다.
이렇게 엎드려 사과까지 하게 된 건 최근 온라인상에서 큰 분노를 일으킨 꽃게 바꿔치기 논란이 컸습니다.
생생하게 살아 있는 꽃게를 구입했는데, 집에 와서 열어 보니 다리가 다 떨어진 죽은 꽃게가 들어있었다면서 "바꿔치기" 당했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겁니다.
소래포구 일부 상인들의 악명 높은 바가지는 오래전부터 소비자들의 불만을 받았는데요.
꽃게 바꿔치기 논란이 기름을 부은 겁니다.
이렇게 바가지 피해를 본 사례가 SNS로 워낙 빠르다 퍼지다 보니까 사람들도 더 이상 그냥 넘어가 주지 않는 분위기죠.
그래서 지자체들도 정신을 바짝 차리고 바가지 척결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
전남 함평군의 "함평 나비대축제"에서는 어묵 한 그릇을 1만 원에 팔아 공분을 샀고 경남 창원의 진해군항제, 전북 남원의 춘향제 등 국내 대표 지역축제에서도 바가지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최근에는 수원에서 열린 축제에서 생수병에 대량 소주를 소분해서 팔면서 큰 비난을 샀습니다.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지역 축제가 오히려 지역 이미지만 망쳐버린 겁니다.
축제를 앞둔 지자체들은 이런 불똥이 튈라, 바가지 척결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강릉 단오제의 경우 축제 음식 가격을 아예 정해버렸습니다.
대표 음식인 감자전은 2장에 1만 2천 원, 단오 막걸리의 가격은 한 병 6천 원으로 정하는 식입니다.
또 어묵·꼬치 등을 파는 상점은 가격을 공시하도록 했습니다.
머드 축제를 앞둔 충남 보령시도 나섰습니다.
고질적인 해수욕장 바가지를 척결하기 위해 물가 특별관리팀과 부당요금 신고센터를 운영하기로 한 겁니다.
대구시는 지난달 축제를 열면서 바가지 논란을 피하려 아예 음식을 파는 노점을 운영하지 않기도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