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メディア「大統領令が出て日本のトランプ関税は15%になってしまった……韓国も急いで交渉しなければ!」……一ヶ月前と同じこと言ってますね、韓国側
「1カ月2100億ウォン(約223億円)、一日70億ウォン」。米国の自動車関税が15%でなく25%である場合、韓国自動車業界に生じる損失推算額だ。
トランプ米大統領が4日(現地時間)、日本産輸入品相互関税15%、自動車品目別関税15%を骨子とする米日貿易合意を公式的に履行する内容の行政命令に署名した。両国の貿易合意から44日ぶりだ。これで米国は日本産輸入品のほぼ全体に15%の関税を適用し、自動車および自動車部品に15%関税を適用する。米国はその間、日本産自動車に従来の関税2.5%に品目別関税25%を加えた27.5%の関税を課してきた。韓国は日本より8日後の7月30日に関税交渉が妥結したが、行政命令が遅れ、対米自動車輸出競争国の日本との価格競争力でひとまず遅れをとることになった。
トランプ大統領が欧州連合(EU)に続いて日本との関税交渉に関する行政命令に署名したことで、韓国はこれらの国より10%ポイントほど高い関税を負担しながら対米輸出市場で競争するしかない。韓国の輸出はすでに厳しい状況を迎えている。産業通商資源部の集計の結果、8月の対米国輸出額は87億4000万ドルと、前年同月比で12.0%減少した。新型コロナ危機当時の2020年5月(-29.4%)以来5年3カ月ぶりの最大落ち幅だ。25%の関税直撃弾を受けた自動車と自動車部品の対米輸出額(先月1~25日基準)が前年同期比3.5%減、14.4%減となり、全体の輸出額が減少した。
韓国通算当局には足元の火だ。7月30日、韓国政府は対米3500億ドル規模投資をテコに関税を25%から15%に引き下げる合意案を米国から引き出した。しかし公式文書までは受けていない。
(引用ここまで)
日本政府がアメリカと妥結していた関税交渉を大統領令にさせることができまして。
自動車関税は27.5%だったものが15%になり、さらに12.5%分は還付されることが決まっています。
日本車関税15%に下げ 2週間内に実施、大統領令署名―コメ購入75%拡大、日米合意反映(時事通信)
冒頭記事は引き下げに焦っている韓国政府、財界の様子が描かれています。
韓国では「日本と同じかそれ以上に優遇される」は命題となっていますので、いまだに自動車関税が25%のままである状況は許されないのです。
というわけで1ヶ月前の韓国が関税交渉にようやくたどり着いた時と同じように「日本と同じように関税を下げてもらわなければ!」ってまた言っていると。
特に全体的な進捗の遅れを見せている現状は許されるものではない。
大統領令が出れば還付されるとはいえ、それまでは自動車関税で25%の関税を支払い続けなければならないわけですしね。
面白いことに韓国では直前にいくつか「日本は15%に下げてもらうってなっているけど、まだ下げてもらえてないんだぜ」みたいな記事が出てたこと。
交渉が終わったのはいつなのか、自動車関税27.5%…···「焦がれる」日本、また訪米(ハンギョレ・朝鮮語)
「赤澤大臣、また訪米している」って書いていますが、下げてもらってないのは韓国も同じだろうにね。
関税交渉周りで面白かったのは、「日本はボーイングから100機も航空機買わされている」って記事がいくつも出てたのですが。
韓国は日本を上回る103機を購入を確約させられていたってことですかね。
大韓航空、ボーイング機103機発注 米韓首脳会談に合わせ発表(ロイター)
どっちにしても一機に納入されるわけでもないし、リプレイスが必要になる機体は定期的に出るんだから損をするわけではないのですよね。
むしろ優先的に割り当てなくてはならなくて、ボーイング側に負担がかかるくらいですよ。
そのあたりを理解していないんだろうなぁ……と思いつつ、関税交渉を見ていたらこんなんなってて笑いました。
まあ、がんばって下げてもらってね。
한국 미디어 「대통령령이 나와 일본의 트럼프 관세는15%가 되어 버린
한국도 서둘러 교섭하지 않으면!」
Գ개월전과 같은 것 말하네요, 한국측
「1개월 2100억원( 약 223억엔), 하루 70억원」.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15%가 아니고 25%인 경우, 한국 자동차 업계에 생기는 손실 추산액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일본산 수입품 상호 관세 15%, 자동차 품목별 관세 15%를 골자로 하는 미 니치보역합의를 공식적으로 이행하는 내용의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양국의 무역 합의로부터 44일만이다.이것으로 미국은 일본산 수입품의 거의 전체에 15%의 관세를 적용해,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15%관세를 적용한다.미국은 그 사이, 일본산 자동차에 종래의 관세 2.5%에 품목별 관세 25%를 더한 27.5%의 관세를 부과해 왔다.한국은 일본에서(보다) 8일 후의 7월 30일에 관세 교섭이 타결했지만, 행정 명령이 늦어 대미 자동차 수출 경쟁국의 일본과의 가격 경쟁력으로 일단 뒤지게 되었다.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이어 일본과의 관세 교섭에 관한 행정 명령에 서명한 것으로, 한국은 이러한 나라에서 10%포인트 정도 비싼 관세를 부담하면서 대미 수출 시장에서 경쟁 할 수 밖에 없다.한국의 수출은 벌써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상교도리상자원부의 집계의 결과, 8월의 대미국 수출액은 87억 4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비로 12.0%감소했다.신형 코로나 위기 당시의 2020년 5월(29.4%) 이래 5년 3개월만의 최대 빠짐폭이다.25%의 관세 직격탄을 받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액(지난 달 125일 기준)이 전년 동기비 3.5%감, 14.4%감이 되어, 전체의 수출액이 감소했다.
한국 통산 당국에는 발밑의 불이다.7월 30일, 한국 정부는 대미 3500억 달러 규모 투자를 지렛대로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합의안을 미국에서 꺼냈다.그러나 공식 문서까지는 받지 않았다.
(인용 여기까지)
일본 정부가 미국과 타결하고 있던 관세 교섭을 대통령령에 시킬 수 있어서.
자동차 관세는 27.5%였던 물건이15%가 되어, 게다가 12.5%분은 환부되는 것이 정해져 있습니다.
일본차관세 15%에 인하 2주간내에 실시, 대통령령 서명-쌀 구입 75%확대, 일·미 합의 반영(시사 통신)
모두 기사는 인하에 초조해 하고 있는 한국 정부, 재계의 님 아이가 그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본과 같은가 그 이상으로 우대 된다」는 명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아직껏 자동차 관세가25%인 채인 상황은 용서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하는 것으로 1개월전의 한국이 관세 교섭에 간신히 가까스로 도착했을 때와 같이 「일본과 같이 관세를 내려 받지 않으면!」(은)는 또 말하면.
특히 전체적인 진척의 지연을 보이고 있는 현상은 용서되는 것은 아니다.
대통령령이 나오면 환부된다고는 해도, 그것까지는 자동차 관세로25%의 관세를 계속 지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고.
교섭이 끝난 것은 언제인가, 자동차 관세 27.5% ··· 「애태운다」일본, 또 방미(한겨레·조선어)
「적택대신, 또 방미하고 있다」라고 쓰고 있습니다만, 내려 받지 않은 것은 한국도 같을 것이다에 말이야.
관세 교섭 주위에서 재미있었던 것은, 「일본은 보잉으로부터 100기나 항공기매원 되고 있다」라는 기사가 얼마든지 출의 것입니다만.
한국은 일본을 웃도는 103기를 구입을 확약 당해 매우 일입니까.
대한항공, 보잉기 103기 발주 한미 정상회담에 맞추어 발표(로이터)
어느 쪽이든 카즈키에 납입되는 것도 아니고, 리플레이스가 필요하게 되는 기체는 정기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손해 보는 것은 아니어요.
오히려 우선적으로 할당하지 않으면 안 돼서, 보잉 측에 부담이 갈 정도로예요.
그 근처를 이해하고 있지 않겠지 라고 생각하면서, 관세 교섭을 보고 있으면 이런 응 되어 있어 웃었습니다.
뭐, 힘내라는 내려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