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フランツ・フォン・シーボルト『日本』フィリップ・フランツ・フォン・シーボルト(尾崎賢治訳)『日本・第五巻』雄松堂出版, 1978.
朝鮮の工業技術は、隣国の中国や日本と比べて、ずっと遅れているように思う。
木工は断然といってよいほど遅れており、陶磁器の作りは酷く粗末である。
鉄器、特に刀その他の刃物は価値が低い。
——————————————————————————————
シャルル・ダレ『朝鮮事情』シャルル・ダレ(金容権訳)『朝鮮事情』東洋文庫367, 平凡社, 1979.
韓国人は、科学研究の分野において、ほとんど進歩の痕を見せていないが、産業の知識においては、なおさら遅れている。
この国では、数世紀もの間、有用な技術はまったく進歩していない。 (p. 309)
アジアの北東部から日増しに侵略の歩を進めているロシア人によって、いずれその難関は突破されるだろう。一八六〇年〔北京条約のこと〕から、彼らの領土は朝鮮と隣接するようになり、これら二国間で、国境問題と通商問題に関してさまざまな難問が起こった。これらの問題は、今後も間違いなく繰り返されるであろうし、いつの日にか、朝鮮はロシア領に併合されてしまうであろう。(p. 323)
——————————————————————————————
ウィリアム・グリフィス『隠者の国・朝鮮』
William Elliot Griffis, Corea the Hermit Nation, Kessinger, 2004.
朝鮮の建築は極めて原始的な状態にある。城郭、要塞、寺院、修道院および公共建築は、日本や中国の壮麗さにまるで及ばない。
この国は古い歴史を誇っているのに、石造の遺跡がほとんどない。住居は瓦葺きか藁葺きで、ほとんど例外なく一階建てである。小都市では規則的な通りに配置されておらず、あちこちに散在している。大都市や首都でも、通りは狭くて曲がりくねっている。(p. 262)
——————————————————————————————
イザベラ・バード(林尚得訳)『朝鮮奥地紀行』平凡社, 1993年
ソウルには美術の対象になるものが何も無く、古代の遺物ははなはだ少ない。公衆用の庭園も無く、行幸の稀有な一件を除けば見せものも無い。劇場も無い。
ソウルは他国の都市が持っている魅力をまるで欠いている。ソウルには古い時代の廃墟も無く、図書館も無く、文学も無い。しまいには、他には見出せないほどの宗教に対する無関心から、ソウルは寺院無しの状態で放置されている。
結果として清国や日本の、どんなみすぼらしい町にでもある堂々とした宗教建築物の与える迫力が、ここには無い。(1巻, 106-107頁)
——————————————————————————————
W・R・カールズ『朝鮮風物誌』
日本家屋は全て魅力的な反面、韓国人たちの家は、通風装置が全くなっておらず臭いが酷い、道路の両側に散らばって立つ、草ぶき屋根と土塀の家だった。(p. 28)
ほとんど3000年の歴史を持つこの都市(ソウル)には関心に値するものは一つもなく、陶磁器や青銅等のいかなる商品も購買する価値がないと言った。(p. 120)
—————————————————————————————
W・F・サンズ『極東回想記』
(朝鮮 人は)何も理解できず、また理解しようともしない。彼らは「隠者の王国」であり続けることを願っている。(pp. 47-48)

프란츠·폰·Siebold 「일본」필립·프란츠·폰·Siebold(오자키 켄지역) 「일본·제5권」흑송당출판, 1978.
조선의 공업 기술은, 이웃나라의 중국이나 일본과 비교해서, 쭉 늦다고 생각한다.
목공은 단연이라고 해도 좋은 만큼 늦어 도자기의 만들기는 심하고 허술하다.
철기, 특히 칼그 외의 칼날은 가치가 낮다.
샤를르·다레 「조선 사정」샤를르·다레(금용권 (뜻)이유) 「조선 사정」동양문고 367, 헤본사, 1979.
한국인은, 과학 연구의 분야에 있고, 거의 진보의 자국을 보여주지 않지만, 산업의 지식에 대해서는, 더욱 더 늦는다.
이 나라에서는, 수세기의 사이, 유용한 기술은 전혀 진보하고 있지 않다.(p. 309)
아시아의 북동부로부터 나날이 침략의 보를 진행시키고 있는 러시아인에 의해서, 머지않아 그 난관은 돌파될 것이다.1860년〔북경 조약〕로부터, 그들의 영토는 조선과 인접하게 되어, 이것들2국간으로, 국경 문제와 통상 문제에 관해서 다양한 난문이 일어났다.이러한 문제는, 향후도 틀림없이 반복해질 것이다 해,언젠가, 조선은 러시아령에 병합 되어 버릴 것이다.(p. 323)
윌리엄·그리피스 「은자의 나라·조선」
William Elliot Griffis, Corea the Hermit Nation, Kessinger, 2004.
조선의 건축은 지극히 원시적인 상태에 있다.성곽, 요새, 사원, 수도원 및 공공 건축은, 일본이나 중국의 장려함에 전혀 미치지 않다.
이 나라는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데, 석조의 유적이 거의 없다.주거는 기와로 인 지붕이나 고즙 나무로, 거의 예외없이 1층건물이다.소도시에서는 규칙적인 대로에 배치되지 않고, 여기저기에 산재 하고 있다.대도시나 수도에서도, 대로는 좁아서 구부러지고 있다.(p. 262)
이자베라·버드(하야시 히사시득역) 「조선 두메 산골 기행」헤본사, 1993년
서울에는 미술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고, 고대의 유물은 매우 적다.공중용의 정원도 없고, 행차의 희유인 한 건을 제외하면 보여 것도 없다.극장도 없다.
서울은 타국의 도시가 가지고 있는 매력을 마치 빠뜨리고 있다.서울에는 낡은 시대의 폐허도 없고, 도서관도 없고, 문학도 없다.끝에는, 그 밖에 찾아낼 수 없을 만큼의 종교에 대한 무관심으로부터, 서울은 사원 없음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청나라나 일본의, 어떤 초라한 마을에라도 있다 당당한 종교 건축물이 주는 박력이, 여기에는 없다.(1권, 106-107페이지)
W·R·카르즈 「조선 풍물잡지」
일본 가옥은 모두 매력적인 반면, 한국인들의 집은, 통풍 장치가 완전히 되지 않고 냄새나지만 심한, 도로의 양측으로 흩어져 서는, 초가 지붕 지붕과 흙벽의 집이었다.(p. 28)
거의 3000년의 역사를 가지는 이 도시(서울)에는 관심에 적합한 것은 하나도 없고, 도자기나 청동등의 어떠한 상품도 구매하는 가치가 없다고 했다.(p. 120)
W·F·선즈 「극동 회상기」
(한국인은)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또 이해할려고도 하지 않는다.그들은 「은자의 왕국」으로 계속 될 것을 바라고 있다.(pp. 4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