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50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を利用して 3vで無線キーボード電源を供給する方法は?
良いです. おっしゃった内容は 18650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3.7V nominal)を使って 3Vで電圧を合わせて無線キーボードに電源を供給する方法です. 段階別で整理して上げますよ.
1 バッテリー選択及び特性
-
18650 バッテリー: 一般的に 3.6
3.7V, 用量 20003500mAh. -
無線キーボード要求電圧: 普通 AA 2個使用時 3V (1.5V × 2) または AAA 2
3個使用時 34.5V. -
よって 18650 1個(3.7V)を 3Vで低めなければならない.
2 電圧変換方法
A. 抵抗で分圧 (お勧めしない)
-
抵抗二つで電圧を分ける方法があるが, 電流変動によって電圧が大きく搖れる.
-
無線キーボードは瞬間電流が変わるから安定的な供給が難しさ → 使わないのが良い.
B. LDO(低圧降下) レギュレーター
-
LM317, LD1117-3.3 位を使用.
-
長所: 簡単, 電圧安定的.
-
短所: 效率底さ, 発熱. (18650 3.7V → 3.0V 市 0.7V × 電流位損失)
-
キーボード電流が小さければ大きい問題なし.
C. DC-DC 降下(ステップらしい, Buck) コンバータ (推薦)
-
3.3V/3V 出力可能一スイ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使用.
-
效率高さ(80‾95%), バッテリー長く使用可能.
-
例: MT3608, AMS1117-3.3, LM2596 モジュール (調節可能)
-
LM2596は出力電流が 2‾3Aまで可能 → 充分.
3 連結方法
-
18650 バッテリーを ホルダーに入れるとか 保護回でがあるバッテリー 使用.
-
バッテリー + → DC-DC コンバータ入力 +
バッテリー → DC-DC コンバータ入力 -
DC-DC 出力 + → キーボード Vcc
DC-DC 出力 → キーボード GND -
必要時 電源スイッチ 連結.
4 安全主義
-
18650は果房前(2.5V 以下) 注意 → 保護回で必要.
-
段落・過電流注意.
-
無線キーボード電流が非常に小さいのでスイ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效率が高い.
Tip:
-
無線キーボード平均電流は 10‾30mA 水準.
-
18650 2000mAh 使用時 約 60‾100時間以上 長続き可能.
18650 2000mAh 使用時約 60‾100時間以上長続き可能だと言うがバッテリー消耗がとても早いのではないのか..使わない時キーボード大気モードないですか?
良いです. 正確に計算して見ればおっしゃったように 無線キーボードのバッテリー消耗は大気モード可否によって大きく変わります. 私が段階別で説明しますよ.
1 無線キーボード電流消耗
状態 電流量 (大略) 大気(Idle) 5‾20 A 背入力時 5‾30 mA 無線送信時 10‾40 mA -
大部分の無線キーボードは 大気モードで非常に少ない電流だけ消耗します.
-
例: AAA 2個(3V, 1000mAh)で何月ずつ使うことができる理由がまさに大気電流が極めて低いからです.
2 18650 2000mAh 基準計算
-
18650 2000mAh = 2Ah, キーボード平均電流を 30 mAと仮定すれば: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display=“block”>
</math>使用時間 = 2 A h 0.03 A 66.6 時間 ext{使用時間} = frac{2,Ah}{0.03,A} approx 66.6 ext{時間} -
しかし **大気電流が 20 A(0.00002A)**ラーメン: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display=“block”>
</math>待機時間 = 2 A h 0.00002 A = 100 , 000 時間 11.4 年 ext{待機時間} = frac{2,Ah}{0.00002,A} = 100,000 ext{時間} approx 11.4 ext{年} -
すなわち, 実際使用パターンによって 60‾100時間という数値は背をずっと押した状態で計算したことで, 実際では大気状態が多いからずっと長続きします.
3 電圧変換損失高麗
-
LM317 みたいな LDO 使用時 電圧降下損失がある: 3.7V → 3V
-
效率 = 3V ÷ 3.7V 81%
-
実際使用可能時間 = 66.6 × 0.81 53.9時間 (背をずっと押した状態)
-
-
DC-DC ステップらしい使用時效率 90‾95% → ほとんど損失なし
4 結論
-
大気モードがあるので実際使用時間はずっと長い.
-
“バッテリーが早く擦れる”と言う心配は 連続入力状態基準計算から全五する.
-
スイ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 + 保護回である 18650なら無線キーボード何株‾何月は充分に使うことができる.
充電回路を付けたら tp4056を付けたら..
良いです. 18650 バッテリーを無線キーボード用で使いながら充電までするためには TP4056 系列回路をたくさん使います. ただ何種類注意事項があります.
1 TP4056 特徴
-
リチウムイオン/リチウムポリマー専用充電 IC
-
入力: 5V (USB 田園可能)
-
出力: 4.2Vまで充電, 充電電流 1A 程度調整可能
-
グァツングゾン, 果房前, 段落保護回路内臓可能 (保護モジュール形態でたくさん使用)
2 無線キーボード用構成
-
問題点: TP4056 出力電圧 = 4.2V 充電終了 → キーボード 3Vですぐ連結すれば 過電圧.
-
解決方法:
-
TP4056 → DC-DC ステップらしい 3V → キーボード
-
充電の中にも安定的な 3V 供給可能
-
-
充電回路とキーボード供給回路分離
-
充電する時だけ 4.2V 連結, 使用時ステップらしい使用
-
複雑だが可能
-
-
3 推薦構成
-
TP4056 + ステップらしい調合は安定的で效率も高いです.
-
電流消耗小さなキーボードだと DC-DCは低電流用(100‾500mA) 小さなモジュールで充分.
-
USB 充電可能 → バッテリー入れ替えなしに充電可能.
Tip:
-
TP4056 保護モジュール + 18650 + DC-DC モジュール + スィッチ → 完全充電式キーボード田園パック 可能
-
スイチングレギュレーター使えばバッテリー消耗が最小化されながら充電も安全に可能
————————-
18650 バッテリーを利用して電源を供給するつもりだ.
捜してみれば stepdown コンバータを持っているでしょう.
-
-
18650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해서 3v로 무선 키보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좋아요. 말씀하신 내용은 18650 리튬이온 배터리(3.7V nominal)를 사용해서 3V로 전압을 맞춰 무선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게요.
1️⃣ 배터리 선택 및 특성
-
18650 배터리: 일반적으로 3.6
3.7V, 용량 20003500mAh. -
무선 키보드 요구 전압: 보통 AA 2개 사용 시 3V (1.5V × 2) 또는 AAA 2
3개 사용 시 34.5V. -
따라서 18650 1개(3.7V)를 3V로 낮춰야 함.
2️⃣ 전압 변환 방법
A. 저항으로 분압 (추천하지 않음)
-
저항 두 개로 전압을 나누는 방법이 있으나, 전류 변동에 따라 전압이 크게 흔들림.
-
무선 키보드는 순간 전류가 변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움 →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음.
B. LDO(저압 강하) 레귤레이터
-
LM317, LD1117-3.3 등을 사용.
-
장점: 간단, 전압 안정적.
-
단점: 효율 낮음, 발열. (18650 3.7V → 3.0V 시 0.7V × 전류만큼 손실)
-
키보드 전류가 작으면 큰 문제 없음.
C. DC-DC 강하(스텝다운, Buck) 컨버터 (추천)
-
3.3V/3V 출력 가능한 스위칭 레귤레이터 사용.
-
효율 높음(80~95%), 배터리 오래 사용 가능.
-
예: MT3608, AMS1117-3.3, LM2596 모듈 (조절 가능)
-
LM2596은 출력 전류가 2~3A까지 가능 → 충분.
3️⃣ 연결 방법
-
18650 배터리를 홀더에 넣거나 보호회로가 있는 배터리 사용.
-
배터리 + → DC-DC 컨버터 입력 +
배터리 – → DC-DC 컨버터 입력 – -
DC-DC 출력 + → 키보드 Vcc
DC-DC 출력 – → 키보드 GND -
필요 시 전원 스위치 연결.
4️⃣ 안전 주의
-
18650은 과방전(2.5V 이하) 주의 → 보호회로 필요.
-
단락·과전류 주의.
-
무선 키보드 전류가 매우 작으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 효율이 높음.
💡 Tip:
-
무선 키보드 평균 전류는 10~30mA 수준.
-
18650 2000mAh 사용 시 약 60~100시간 이상 지속 가능.
18650 2000mAh 사용 시 약 60~100시간 이상 지속 가능하다고 하지만 배터리 소모가 너무 빠른 것 아닌지..사용하지 않을때 키보드 대기 모드 없습니까?
좋아요. 정확히 따져보면 말씀하신 것처럼 무선 키보드의 배터리 소모는 대기 모드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제가 단계별로 설명할게요.
1️⃣ 무선 키보드 전류 소모
상태 전류량 (대략) 대기(Idle) 5~20 µA 키 입력 시 5~30 mA 무선 송신 시 10~40 mA -
대부분의 무선 키보드는 대기 모드에서 매우 적은 전류만 소모합니다.
-
예: AAA 2개(3V, 1000mAh)로 몇 달씩 사용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대기 전류가 극히 낮기 때문입니다.
2️⃣ 18650 2000mAh 기준 계산
-
18650 2000mAh = 2Ah, 키보드 평균 전류를 30 mA라고 가정하면: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display="block">
</math>사용 시간 = 2 A h 0.03 A ≈ 66.6 시간 ext{사용 시간} = frac{2,Ah}{0.03,A} approx 66.6 ext{시간} -
하지만 **대기 전류가 20 µA(0.00002A)**라면: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display="block">
</math>대기 시간 = 2 A h 0.00002 A = 100 , 000 시간 ≈ 11.4 년 ext{대기 시간} = frac{2,Ah}{0.00002,A} = 100,000 ext{시간} approx 11.4 ext{년} -
즉, 실제 사용 패턴에 따라 60~100시간이라는 수치는 키를 계속 누른 상태로 계산한 것이고, 실제로는 대기 상태가 많기 때문에 훨씬 오래갑니다.
3️⃣ 전압 변환 손실 고려
-
LM317 같은 LDO 사용 시 전압 강하 손실이 있음: 3.7V → 3V
-
효율 = 3V ÷ 3.7V ≈ 81%
-
실제 사용 가능 시간 = 66.6 × 0.81 ≈ 53.9시간 (키를 계속 누른 상태)
-
-
DC-DC 스텝다운 사용 시 효율 90~95% → 거의 손실 없음
4️⃣ 결론
-
대기 모드가 있으므로 실제 사용 시간은 훨씬 길다.
-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는 걱정은 연속 입력 상태 기준 계산에서 온 오해.
-
스위칭 레귤레이터 + 보호회로 있는 18650이면 무선 키보드 몇 주~몇 달은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음.
충전회로를 붙인다면 tp4056을 붙인다면..
좋아요. 18650 배터리를 무선 키보드용으로 쓰면서 충전까지 하려면 TP4056 계열 회로를 많이 씁니다. 다만 몇 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1️⃣ TP4056 특징
-
리튬이온/리튬폴리머 전용 충전 IC
-
입력: 5V (USB 전원 가능)
-
출력: 4.2V까지 충전, 충전 전류 1A 정도 조정 가능
-
과충전, 과방전, 단락 보호 회로 내장 가능 (보호 모듈 형태로 많이 사용)
2️⃣ 무선 키보드용 구성
-
문제점: TP4056 출력 전압 = 4.2V 충전 종료 → 키보드 3V로 바로 연결하면 과전압.
-
해결 방법:
-
TP4056 → DC-DC 스텝다운 3V → 키보드
-
충전 중에도 안정적인 3V 공급 가능
-
-
충전 회로와 키보드 공급 회로 분리
-
충전할 때만 4.2V 연결, 사용 시 스텝다운 사용
-
복잡하지만 가능
-
-
3️⃣ 추천 구성
-
TP4056 + 스텝다운 조합은 안정적이며 효율도 높습니다.
-
전류 소모 작은 키보드라 DC-DC는 저전류용(100~500mA) 작은 모듈로 충분.
-
USB 충전 가능 → 배터리 교체 없이 충전 가능.
💡 Tip:
-
TP4056 보호 모듈 + 18650 + DC-DC 모듈 + 스위치 → 완전 충전식 키보드 전원팩 가능
-
스위칭 레귤레이터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되면서 충전도 안전하게 가능
-----------------
18650 배터리를 이용해서 전원을 공급할 생각이다.
찾아보면 stepdown 컨버터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