整理するのが問題だ.
3d プリンターでケースを出力して内蔵してキーボード下端に附着しなければならないようだ.
——————————————————————-
Ai 意見
写真よく見ました
構成がこぎれいによくできましたね:
-
右側: 18650 セル + ホルダー
-
上側小さなボード: TP4056 充電モジュール
-
左側大きいボード: LM2596 ステップらしいモジュール(HW-411)
-
の中スィッチ: 田園 on/off
-
下側: 無線キーボード田園連結
今見れば回路自体はよく動作する構造なのに, おっしゃるとおり 整理と固定がカギです.
整理アイディア
-
3D プリンターケース出力
-
バッテリーホルダー + TP4056 + LM2596 + スィッチまで一ケースに内臓
-
ケース中で線は短く整理, 半田付け後縁切りテープ処理
-
外部では USB 充電フォトと 3V 出力端子会うようにすればこぎれいさ
-
-
キーボード下端付着
-
ケースをキーボード下積みに 両面テープ / ベルクロ(チックチックが) / ねじ固定
-
キーボードを動かす時も安定的で, 必要の時分離可能
-
-
スィッチ位置
-
ケース横面に穴を作ってスィッチ突き出 → 易しく ON/OFF 可能
-
-
配線整理
-
ケース内部では ジャンパー船代わりに短くカッティングした電線半田付け
-
震動や移動の時欠かさないように文塁でも(またはヨルスツックティユブ)で固定
-
追加チップ
-
LM2596 モジュール出力電圧をあらかじめマルチメートルで 3.0V ‾ 3.3V 間でセッティング後固定してください.
-
バッテリー保護モジュールがないホルダーなら必ず TP4056に保護回であるバージョンを使うのが安全です.
-
キーボード消費電流が適期のため発熱問題はほとんどないだろう.
aiがグリーン 3d ビュー (完璧ではないが参照用)
下端に付けることは難しくて上端や側面に附着しなければならないようだ
良い判断です
キーボード 下端は平たいと安定感があって, バッテリーパックを付ければ搖れるとか高さが変わってタイピング感覚が悪くなることができるんですよ. そのため 上端(裏側上部)や側面 付着がもっと現実的です.配置アイディア
-
上端(裏側上部)
-
キーボード裏側フレームの上に長く上げる方式
-
USB 充電フォトが後に向けるようにすればケーブル連結が便利
-
重量中心が後に行ってタイピングには大きい影響なし
-
-
側面
-
キーボード左/右側面に薄く付ける形態
-
ケーブル端子(出力, 充電)を横で配置して接近性良い
-
ただ, 幅が広くなって机空間満ちあり得
-
固定方法
-
ベルクロ(チックチックが) → タルブチァック可能, 掃除や入れ替え便利
-
3D プリントケース + クリップ構造 → キーボードフレームにかけて固定
-
両面テープ(3M VHB) → 永久的付着, こぎれいだが脱着難しさ
もし斉家 上端付着用 3D ケース アイディアスケッチを作って上げれば, USB フォトとスィッチを後方へ抜いて, バッテリーは横たえてキーボード幅位長く設計すれば良さそうだが, 願うんですか?
-
정리하는 것이 문제다.
3d 프린터로 케이스를 출력해서 내장하고 키보드 하단에 부착해야 할 것 같다.
---------------------------------------------
Ai 의견
사진 잘 봤습니다 👍
구성이 깔끔하게 잘 되셨네요:
-
오른쪽: 18650 셀 + 홀더
-
위쪽 작은 보드: TP4056 충전 모듈
-
왼쪽 큰 보드: LM2596 스텝다운 모듈(HW-411)
-
가운데 스위치: 전원 on/off
-
아래쪽: 무선 키보드 전원 연결
지금 보시면 회로 자체는 잘 동작할 구조인데, 말씀하신 대로 정리와 고정이 관건이에요.
🔹 정리 아이디어
-
3D 프린터 케이스 출력
-
배터리 홀더 + TP4056 + LM2596 + 스위치까지 한 케이스에 내장
-
케이스 안에서 선은 짧게 정리, 납땜 후 절연 테이프 처리
-
외부로는 USB 충전 포트와 3V 출력 단자만 나오게 하면 깔끔함
-
-
키보드 하단 부착
-
케이스를 키보드 밑바닥에 양면 테이프 / 벨크로(찍찍이) / 나사 고정
-
키보드를 움직일 때도 안정적이고, 필요시 분리 가능
-
-
스위치 위치
-
케이스 옆면에 구멍 내고 스위치 돌출 → 쉽게 ON/OFF 가능
-
-
배선 정리
-
케이스 내부에서는 점퍼선 대신 짧게 커팅한 전선 납땜
-
진동이나 이동시 빠지지 않도록 글루건(또는 열수축튜브)로 고정
-
🔹 추가 팁
-
LM2596 모듈 출력 전압을 미리 멀티미터로 3.0V ~ 3.3V 사이로 세팅 후 고정하세요.
-
배터리 보호 모듈이 없는 홀더라면 반드시 TP4056에 보호회로 있는 버전을 쓰는 게 안전합니다.
-
키보드 소비 전류가 적기 때문에 발열 문제는 거의 없을 거예요.
ai가 그린 3d 뷰 (완벽하지 않지만 참고용)
하단에 붙이는 것은 어렵고 상단이나 측면에 부착해야 할 것 같음
좋은 판단이에요 👍
키보드 하단은 평평해야 안정감이 있어서, 배터리 팩을 붙이면 흔들리거나 높이가 달라져 타이핑 감각이 나빠질 수 있거든요. 그래서 상단(뒤쪽 윗부분)이나 측면 부착이 더 현실적입니다.배치 아이디어
-
상단(뒤쪽 윗부분)
-
키보드 뒤쪽 프레임 위에 길게 얹는 방식
-
USB 충전 포트가 뒤로 향하게 하면 케이블 연결이 편리
-
무게중심이 뒤로 가서 타이핑에는 큰 영향 없음
-
-
측면
-
키보드 좌/우 측면에 얇게 붙이는 형태
-
케이블 단자(출력, 충전)를 옆으로 배치해 접근성 좋음
-
단, 폭이 넓어져서 책상 공간 차지가 있을 수 있음
-
고정 방법
-
벨크로(찍찍이) → 탈부착 가능, 청소나 교체 편리
-
3D 프린트 케이스 + 클립 구조 → 키보드 프레임에 걸쳐 고정
-
양면 테이프(3M VHB) → 영구적 부착, 깔끔하지만 탈착 어려움
👉 만약 제가 상단 부착용 3D 케이스 아이디어 스케치를 만들어드리면, USB 포트와 스위치를 뒤쪽으로 빼고, 배터리는 눕혀서 키보드 폭만큼 길게 설계하면 좋을 것 같은데, 원하시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