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사는 것은 거주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시골에 살지만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는 인구는 증가 중.
맞습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귀촌 인구 중 상당수가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즉, “시골에 사는 도시인”이 늘어나는 현상인데, 몇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
수도권 및 대도시의 높은 주거비
집값과 전·월세가 계속 오르면서, 같은 비용으로 훨씬 넓은 집이나 토지를 구할 수 있는 시골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
재택근무·비대면 근무 확산
코로나19 이후로 IT·프리랜서·원격 근무자들이 늘면서, 꼭 수도권에 살 필요가 없는 계층이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농업이 아니라 기존 전문직이나 온라인 기반 일자리를 유지합니다. -
은퇴 후 생활비 절감
은퇴 세대나 조기 퇴직자들도 생활비가 싼 시골에서 거주하면서, 꼭 농업에 뛰어들지 않고 연금이나 저축, 간단한 텃밭 위주로 생활합니다. -
삶의 질 추구
자연환경, 공기, 여유로운 생활을 이유로 귀촌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농업과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
농촌 주거·생활 기반 확충
최근 지자체들이 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해 도로, 의료, 인터넷 인프라를 확충하면서 “농업 종사자가 아닌 이주민”도 정착하기 쉬워졌습니다.
👉 그래서 농촌은 두 부류로 나눠지고 있습니다:
-
전통적 농업 종사자 (고령화 심화, 인구 감소)
-
비농업 귀촌 인구 (거주만 하거나, 다른 업종·원격 근무)
질문자님이 보신 현상은 통계적으로도 맞습니다. 실제로 통계청의 농림어업총조사나 귀농·귀촌인 통계를 보면, 최근 귀촌 인구 중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은 10% 내외로 줄고, 나머지 90%는 농업 외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
이유는 농업에 종사해도 소득이 없기 때문이다.
맞습니다. 핵심을 짚으셨어요.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살아도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농업으로는 안정적인 소득을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
농산물 가격 변동성
생산 비용은 매년 늘어나는데, 시장 가격은 수요·공급에 따라 출렁입니다. 농민 입장에서는 땀 흘려 지은 농산물이 제값을 못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잉 경쟁과 수입 농산물
대형 유통 구조 속에서 소농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값싼 수입 농산물까지 들어와 국내 농가 소득이 줄어듭니다. -
생산비 상승
비료, 농약, 에너지, 인건비가 계속 오르는데, 판매 가격에는 잘 반영되지 않습니다. 결국 순수익은 줄어듭니다. -
농업 구조적 문제 (영세성·고령화)
규모가 작고, 노동 의존적이며, 자동화·스마트팜 투자 여력이 부족합니다. 젊은 세대가 뛰어들어도 수익 구조가 막혀 쉽게 포기합니다. -
사회적 안전망 부족
농업에는 기본소득이나 안정적인 보조 장치가 미약하기 때문에, ‘위험 대비 소득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귀촌하는 사람들 중 다수는 이렇게 선택합니다:
-
농업 → 부업(텃밭 수준)
-
주요 소득 → 연금, 도시에서 벌어둔 자산, 원격 근무, 온라인 사업 등
즉, “농업은 소득 수단이 아니라 취미나 건강 관리 수단”이 되고, 실제 생활비는 다른 방식으로 마련하는 구조로 가는 것이지요.
——————————
농가 소득 구성
이 소득은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농업소득: 1,114만 3,000원 (전년 대비 17.5% 증가)
-
농업외소득: 1,999만 9,000원 (전년 대비 4.2% 증가)
-
이전소득: 1,718만 8,000원 (전년 대비 12.7% 증가)
-
비경상소득: (세부 수치 미제공)
살실상 농업 소득은 월 100만원도 안된다.
농업 이외의 소득으로 보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농업외소득의 구성
-
임금·근로소득
-
농촌에서 겸업하는 사람들이 농사 외에 아르바이트, 일용직, 상용직 근로 등으로 버는 돈.
-
예: 건설 현장, 가공업, 마을 기업, 온라인 근무 등.
-
-
자영업 소득
-
농촌에서 운영하는 식당, 카페, 마트, 숙박업 등에서 얻는 수익.
-
-
임대·임차 소득
-
토지, 건물, 농기계 등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해서 받는 돈.
-
-
기타 활동 소득
-
수확물 가공 후 판매(단순 농산물 판매 제외), 공예, 관광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
농촌에서도 농업은 돈이 안되기 때문에 TWO JOP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맞습니다. 핵심을 정확히 짚으셨습니다.
농촌에서 농업만으로는 안정적인 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농민이 겸업(Two Job) 구조를 선택합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
농업소득의 한계
-
평균 농업소득은 1,100만 원 정도로, 도시 근로자 평균 소득(약 8,000~9,000만 원 가구 기준)과 비교하면 매우 낮습니다.
-
기상, 병해충, 가격 변동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합니다.
-
-
농업외소득 필요성
-
부족한 생활비를 보충하기 위해 농업 외 근로, 자영업, 임대, 공공사업 참여 등으로 수입을 얻습니다.
-
통계상 농가 소득의 절반 이상이 농업외소득이나 정부 이전소득으로 구성됩니다.
-
-
경제적 생존 전략
-
겸업은 선택이 아니라 현실적 생존 전략입니다.
-
특히 젊은 층이나 귀촌인은 도시에서 벌던 소득을 유지하면서 농업은 부업·취미 수준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결론적으로, 농촌에서도 농업만으로는 먹고살기 어렵기 때문에 겸업(Two Job)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고, 이것이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나도 실제 농업 종사자는 많지 않은 이유와 직결됩니다.
이 정도라면 농업을 포기한 것일까요
현실적으로 보면, 많은 농민과 귀촌인이 농업만으로는 생활이 어렵다는 판단 때문에 사실상 “농업을 주 수입원으로 포기”한 상황과 유사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농업소득 비중이 낮음
-
2023년 기준 농가 평균 소득 약 5,000만 원 중 농업소득은 약 1,100만 원으로 전체의 20~25% 수준에 불과합니다.
-
나머지 대부분은 농업외소득(약 2,000만 원)과 이전소득(약 1,700만 원)입니다.
-
-
겸업(Two Job) 구조
-
농업을 계속하지만, 생활비 대부분을 농업 외 활동으로 충당합니다.
-
즉, 농업은 취미·취향·부업 수준으로 제한되고, 실제 생활은 농업 외 소득에 의존합니다.
-
-
경제적 판단
-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기에, 많은 젊은 층과 귀촌인은 농업을 “메인 직업”이 아니라 생활 일부로 선택합니다.
-
통계상으로도 농업 종사자 수는 줄어들고, 농업 외 수입원이 있는 농민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 결론
-
농업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지만, **“농업만으로 생계 유지 불가 → 농업 외 소득에 의존”**이라는 의미에서는 사실상 포기한 것과 비슷합니다.
-
그래서 귀촌 인구가 늘어나도 실제 농업 종사 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농업 종사율은 계속 낮아지는 구조가 지속됩니다.
현실적 대안이라면
좋은 질문이에요.
“농업만으로는 소득이 안 된다”는 게 확인된 만큼, 현실적 대안은 농업을 단순히 생산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가치와 결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실적 대안
1. 농업 + 6차 산업(가공·체험·관광)
-
단순히 농산물만 파는 게 아니라, 가공(잼·즙·간편식), 농촌 체험 관광(팜스테이, 캠핑), 교육 프로그램과 결합.
-
예: 사과 농가 → 사과즙 가공 + 체험농장 운영 → 단순 판매보다 2~3배 소득 가능.
2. 스마트팜·첨단 농업
-
IoT, 자동화, 수경재배, 에너지 효율 시스템을 도입해 노동 강도는 낮추고, 품질·수확량은 높이는 방식.
-
초기 투자비용이 크지만, 청년층 귀농인에게는 정부·지자체 지원사업이 있음.
3. 소규모 프리미엄 전략
-
대량생산으로 대기업·수입산과 경쟁하기 어렵다면, 특화 작물·고급화·직거래로 전환.
-
예: 희귀 품종 과일, 무농약·유기농 인증, 온라인 직거래 플랫폼(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로켓프레시 등).
4. 농업 + 겸업 구조 인정
-
농업을 ‘본업’으로 붙잡으려 하기보다, 농업 + 원격근무 + 자영업의 혼합형 모델을 제도적으로 인정.
-
예: 귀촌인이 IT 재택근무로 기본 소득 확보 + 소규모 농업 병행.
5. 농업 기본소득/직불금 제도 강화
-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해 직불금·농민수당을 강화.
-
단순히 “생산 → 판매” 구조가 아니라, 환경 보전·농촌 유지·식량 안보에 기여한 만큼 국가가 보상.
6. 지역 공동체 기반 협동조합
-
개인이 혼자서는 경쟁력 확보가 어려움.
-
생산·가공·유통을 협동조합 형태로 공동화하면 비용 절감 + 판로 확대 가능.
-
실제로 성공한 사례(성공한 로컬푸드 직매장, 협동조합 가공공장 등)가 존재.
👉 요약하면,
현실적인 대안은 **① 농업 외 소득과의 결합(겸업 구조 인정)**과 ② 농업 자체의 부가가치화(가공·관광·프리미엄화), 그리고 **③ 제도적 안전망 강화(농업 기본소득, 직불금)**입니다. -
-
-
-
<iframe width="816" height="459" src="https://www.youtube.com/embed/Isr0XmV94r0" title="귀촌 42만, 귀농은 8천 “사는 사람만 늘고 일하는 사람은 없다"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수도권에 사는 것은 거주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시골에 살지만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는 인구는 증가 중.
맞습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귀촌 인구 중 상당수가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즉, “시골에 사는 도시인”이 늘어나는 현상인데, 몇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
수도권 및 대도시의 높은 주거비
집값과 전·월세가 계속 오르면서, 같은 비용으로 훨씬 넓은 집이나 토지를 구할 수 있는 시골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
재택근무·비대면 근무 확산
코로나19 이후로 IT·프리랜서·원격 근무자들이 늘면서, 꼭 수도권에 살 필요가 없는 계층이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농업이 아니라 기존 전문직이나 온라인 기반 일자리를 유지합니다. -
은퇴 후 생활비 절감
은퇴 세대나 조기 퇴직자들도 생활비가 싼 시골에서 거주하면서, 꼭 농업에 뛰어들지 않고 연금이나 저축, 간단한 텃밭 위주로 생활합니다. -
삶의 질 추구
자연환경, 공기, 여유로운 생활을 이유로 귀촌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농업과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
농촌 주거·생활 기반 확충
최근 지자체들이 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해 도로, 의료, 인터넷 인프라를 확충하면서 “농업 종사자가 아닌 이주민”도 정착하기 쉬워졌습니다.
👉 그래서 농촌은 두 부류로 나눠지고 있습니다:
-
전통적 농업 종사자 (고령화 심화, 인구 감소)
-
비농업 귀촌 인구 (거주만 하거나, 다른 업종·원격 근무)
질문자님이 보신 현상은 통계적으로도 맞습니다. 실제로 통계청의 농림어업총조사나 귀농·귀촌인 통계를 보면, 최근 귀촌 인구 중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은 10% 내외로 줄고, 나머지 90%는 농업 외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
이유는 농업에 종사해도 소득이 없기 때문이다.
맞습니다. 핵심을 짚으셨어요.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살아도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농업으로는 안정적인 소득을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
농산물 가격 변동성
생산 비용은 매년 늘어나는데, 시장 가격은 수요·공급에 따라 출렁입니다. 농민 입장에서는 땀 흘려 지은 농산물이 제값을 못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잉 경쟁과 수입 농산물
대형 유통 구조 속에서 소농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값싼 수입 농산물까지 들어와 국내 농가 소득이 줄어듭니다. -
생산비 상승
비료, 농약, 에너지, 인건비가 계속 오르는데, 판매 가격에는 잘 반영되지 않습니다. 결국 순수익은 줄어듭니다. -
농업 구조적 문제 (영세성·고령화)
규모가 작고, 노동 의존적이며, 자동화·스마트팜 투자 여력이 부족합니다. 젊은 세대가 뛰어들어도 수익 구조가 막혀 쉽게 포기합니다. -
사회적 안전망 부족
농업에는 기본소득이나 안정적인 보조 장치가 미약하기 때문에, ‘위험 대비 소득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귀촌하는 사람들 중 다수는 이렇게 선택합니다:
-
농업 → 부업(텃밭 수준)
-
주요 소득 → 연금, 도시에서 벌어둔 자산, 원격 근무, 온라인 사업 등
즉, “농업은 소득 수단이 아니라 취미나 건강 관리 수단”이 되고, 실제 생활비는 다른 방식으로 마련하는 구조로 가는 것이지요.
--------------------
농가 소득 구성
이 소득은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농업소득: 1,114만 3,000원 (전년 대비 17.5% 증가)
-
농업외소득: 1,999만 9,000원 (전년 대비 4.2% 증가)
-
이전소득: 1,718만 8,000원 (전년 대비 12.7% 증가)
-
비경상소득: (세부 수치 미제공)
살실상 농업 소득은 월 100만원도 안된다.
농업 이외의 소득으로 보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농업외소득의 구성
-
임금·근로소득
-
농촌에서 겸업하는 사람들이 농사 외에 아르바이트, 일용직, 상용직 근로 등으로 버는 돈.
-
예: 건설 현장, 가공업, 마을 기업, 온라인 근무 등.
-
-
자영업 소득
-
농촌에서 운영하는 식당, 카페, 마트, 숙박업 등에서 얻는 수익.
-
-
임대·임차 소득
-
토지, 건물, 농기계 등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해서 받는 돈.
-
-
기타 활동 소득
-
수확물 가공 후 판매(단순 농산물 판매 제외), 공예, 관광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
농촌에서도 농업은 돈이 안되기 때문에 TWO JOP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맞습니다. 핵심을 정확히 짚으셨습니다.
농촌에서 농업만으로는 안정적인 생활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농민이 겸업(Two Job) 구조를 선택합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
농업소득의 한계
-
평균 농업소득은 1,100만 원 정도로, 도시 근로자 평균 소득(약 8,000~9,000만 원 가구 기준)과 비교하면 매우 낮습니다.
-
기상, 병해충, 가격 변동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합니다.
-
-
농업외소득 필요성
-
부족한 생활비를 보충하기 위해 농업 외 근로, 자영업, 임대, 공공사업 참여 등으로 수입을 얻습니다.
-
통계상 농가 소득의 절반 이상이 농업외소득이나 정부 이전소득으로 구성됩니다.
-
-
경제적 생존 전략
-
겸업은 선택이 아니라 현실적 생존 전략입니다.
-
특히 젊은 층이나 귀촌인은 도시에서 벌던 소득을 유지하면서 농업은 부업·취미 수준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결론적으로, 농촌에서도 농업만으로는 먹고살기 어렵기 때문에 겸업(Two Job) 구조가 일반화되어 있고, 이것이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나도 실제 농업 종사자는 많지 않은 이유와 직결됩니다.
이 정도라면 농업을 포기한 것일까요
현실적으로 보면, 많은 농민과 귀촌인이 농업만으로는 생활이 어렵다는 판단 때문에 사실상 “농업을 주 수입원으로 포기”한 상황과 유사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농업소득 비중이 낮음
-
2023년 기준 농가 평균 소득 약 5,000만 원 중 농업소득은 약 1,100만 원으로 전체의 20~25% 수준에 불과합니다.
-
나머지 대부분은 농업외소득(약 2,000만 원)과 이전소득(약 1,700만 원)입니다.
-
-
겸업(Two Job) 구조
-
농업을 계속하지만, 생활비 대부분을 농업 외 활동으로 충당합니다.
-
즉, 농업은 취미·취향·부업 수준으로 제한되고, 실제 생활은 농업 외 소득에 의존합니다.
-
-
경제적 판단
-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기에, 많은 젊은 층과 귀촌인은 농업을 “메인 직업”이 아니라 생활 일부로 선택합니다.
-
통계상으로도 농업 종사자 수는 줄어들고, 농업 외 수입원이 있는 농민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 결론
-
농업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지만, **“농업만으로 생계 유지 불가 → 농업 외 소득에 의존”**이라는 의미에서는 사실상 포기한 것과 비슷합니다.
-
그래서 귀촌 인구가 늘어나도 실제 농업 종사 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농업 종사율은 계속 낮아지는 구조가 지속됩니다.
현실적 대안이라면
좋은 질문이에요.
“농업만으로는 소득이 안 된다”는 게 확인된 만큼, 현실적 대안은 농업을 단순히 생산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가치와 결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실적 대안
1. 농업 + 6차 산업(가공·체험·관광)
-
단순히 농산물만 파는 게 아니라, 가공(잼·즙·간편식), 농촌 체험 관광(팜스테이, 캠핑), 교육 프로그램과 결합.
-
예: 사과 농가 → 사과즙 가공 + 체험농장 운영 → 단순 판매보다 2~3배 소득 가능.
2. 스마트팜·첨단 농업
-
IoT, 자동화, 수경재배, 에너지 효율 시스템을 도입해 노동 강도는 낮추고, 품질·수확량은 높이는 방식.
-
초기 투자비용이 크지만, 청년층 귀농인에게는 정부·지자체 지원사업이 있음.
3. 소규모 프리미엄 전략
-
대량생산으로 대기업·수입산과 경쟁하기 어렵다면, 특화 작물·고급화·직거래로 전환.
-
예: 희귀 품종 과일, 무농약·유기농 인증, 온라인 직거래 플랫폼(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로켓프레시 등).
4. 농업 + 겸업 구조 인정
-
농업을 ‘본업’으로 붙잡으려 하기보다, 농업 + 원격근무 + 자영업의 혼합형 모델을 제도적으로 인정.
-
예: 귀촌인이 IT 재택근무로 기본 소득 확보 + 소규모 농업 병행.
5. 농업 기본소득/직불금 제도 강화
-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해 직불금·농민수당을 강화.
-
단순히 “생산 → 판매” 구조가 아니라, 환경 보전·농촌 유지·식량 안보에 기여한 만큼 국가가 보상.
6. 지역 공동체 기반 협동조합
-
개인이 혼자서는 경쟁력 확보가 어려움.
-
생산·가공·유통을 협동조합 형태로 공동화하면 비용 절감 + 판로 확대 가능.
-
실제로 성공한 사례(성공한 로컬푸드 직매장, 협동조합 가공공장 등)가 존재.
👉 요약하면,
현실적인 대안은 **① 농업 외 소득과의 결합(겸업 구조 인정)**과 ② 농업 자체의 부가가치화(가공·관광·프리미엄화), 그리고 **③ 제도적 안전망 강화(농업 기본소득, 직불금)**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