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説】韓米、雇用衝突問題も「紳士協定」を結ぶべき
米国移民当局による韓国人労働者約300人の逮捕・拘束の事態は、労働者が「自主的に出国」する形式での帰国によって収拾されつつあるものとみられる。しかし、今回の事態を誘発した問題は完全には解決されておらず、依然として不安が残る。これまでは主にビザ問題が議論されていたが、韓米間の雇用衝突問題も深刻だ。
今回の事件の根底には、現地人の採用という雇用問題が潜んでいる。ジョージア州の現代自動車とLG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の工場建設の過程で、現地の米国人が自分たちに対する雇用創出が期待に届かないとして、現地の報道機関と移民当局に問題提起したことが、取り締まりの発端となった。韓国企業は2022年に工場建設契約を結び、税制上の恩恵などを受けるかわりに、8年間で8500人の雇用創出を約束した。約束を守る必要があるのは当然のことだが、雇用創出は工場建設後の稼働段階で主に行われる。この段階で現地の人たちを採用し、一定期間の訓練を経て、生産ラインに投入する。これが従来の手法だ。しかし、米国は工場建設段階から米国人を採用せよという無理な要求をしている。これは、場合によっては両国が共倒れになる恐れがある。20年以上にわたり製造業の環境が崩壊していたため経験が浅い国の人材を用いて、いったいどのようにして世界最先端の工場を建てられるのだろうか。現地の米国人がそのような不満を示すことは理解できるが、地元の政治家や行政当局者までがこれに同調するのは納得しがたい。
最先端のバッテリー工場の建設は、難易度がかなり高いと考えるべきだ。また、外国に建設するためには、工事を滞りなく進め、工期を守らなければならない。さもなければ、費用が雪だるま式に膨れ上がるのが常だ。既存の取引業者と労働者を利用するのが慣行になっているのはこのためだ。内部の生産設備の設置や装置の搬入は、高度な熟練を要する専門担当者が行う必要があるため、なおさら、既存の取引業者に任せなければならない。もちろん、単純作業の場合は現地の人材を活用できるが、そのような業務は限定的にならざるを得ない点を米国は理解する必要がある。
天文学的な規模の対米投資計画に基づき、今後は工場設立が続く見込みだが、このような問題が解決されない場合、大きな支障が懸念される。米国も最先端工場を順調に建てられず世界最高の製品を生産できない結果は望まないだろう。両国が「ウィンウィン」になるためには、事業の段階ごとに企業の懸念事項を聴取し、これまで以上にきめ細かな解決策を講じる必要がある。ビザ問題のみならず、雇用創出の方法をめぐる一種の「紳士協定」を結び、両国間の意見の相違を解消・管理していくべきだ。
https://news.yahoo.co.jp/articles/808cd691d57dc55c4112e76b04a2f57afbefb3df
日本が海外に企業進出する際
ある程度現地への技術供与をしているから
比較的摩擦が少ないけど
韓国はハナからそんな気ないんだな
しかし条約から口約束まで
ありとあらゆる決まり事を守る気ない韓国が
「紳士協定」とは!
笑い殺す気かw
【사설】한미, 고용 충돌 문제도 「신사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한 한국인 노동자 약 300명의 체포·구속의 사태는, 노동자가 「자주적으로 출국」하는 형식으로의 귀국에 의해서 수습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그러나, 이번 사태를 유발한 문제는 완전하게는 해결되지 않고, 여전히 불안이 남는다.지금까지는 주로 비자 문제가 논의되고 있었지만, 한미간의 고용 충돌 문제도 심각하다.
이번 사건의 근저에는, 현지인의 채용이라고 하는 고용 문제가 잠복하고 있다.조지아주의 현대 자동차와 LG에너지 솔루션의 공장 건설의 과정에서, 현지의 미국인이 스스로에 대한 고용 창출이 기대에 닿지 않는다고 하고, 현지의 보도 기관과 이민 당국에 문제 제기한 것이, 단속의 발단이 되었다.한국 기업은 2022년에 공장 건설 계약을 맺어, 세제상의 혜택등을 받는 대신에, 8년간에 8500명의 고용 창출을 약속했다.약속을 지킬 필요가 있다의는 당연한 일이지만, 고용 창출은 공장 건설 후의 가동 단계에서 주로 행해진다.이 단계에서 현지의 사람들을 채용해, 일정기간의 훈련을 거치고, 생산 라인에 투입한다.이것이 종래의 수법이다.그러나, 미국은 공장 건설 단계로부터 미국인을 채용해서라고 하는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이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양국이 같이 망하게 될 우려가 있다.20년 이상에 걸쳐 제조업의 환경이 붕괴하고 있었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나라의 인재를 임용하고, 도대체 어떻게 해 세계 최첨단의 공장을 지어지는 것일까.현지의 미국인이 그러한 불만을 나타내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현지의 정치가나 행정 당국자까지가 이것에 동조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최첨단의 배터리 공장의 건설은, 난이도가 꽤 높다고 생각해야 한다.또, 외국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공사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공사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안 된다.아주 없으면, 비용이 눈사람식에 부풀어 오르는 것이 상이다.기존의 거래 업자와 노동자를 이용하는 것이 관행이 되어 있는 것은 이 때문에다.내부의 생산 설비의 설치나 장치의 반입은,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는 전문 담당자가 실시할 필요가 있다 모아 두어 더욱 더, 기존의 거래 업자에게 맡기지 않으면 안 된다.물론, 단순 작업의 경우는 현지의 인재를 활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업무는 한정적으로 되지 않을 수 없는 점을 미국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에 근거해, 향후는 공장 설립이 계속 될 전망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큰 지장이 염려된다.미국도 최첨단 공장을 순조롭게 지어지지 않고 세계 최고의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결과는 바라지 않을 것이다.양국이 「윈 윈」이 되기 위해서는, 사업의 단계 마다 기업의 염려 사항을 청취해, 지금까지 이상으로 치밀한 해결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비자 문제 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의 방법을 둘러싼 일종의 「신사 협정」을 체결해, 양국간의 의견의 상위를 해소·관리해 나가야 한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808cd691d57dc55c4112e76b04a2f57afbefb3df
일본이 해외에 기업 진출할 때
있다 정도 현지에의 기술공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마찰이 적지만
한국은 하나로부터 그런 기분 없다
그러나 조약으로부터 언약까지
「신사 협정」이란!
웃어 죽일 생각이나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