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ニュ−スピム] 百勝は記者 =日本が去年使徒鉱山をユネスコ世界遺産に登載する時韓国側と約束した労動者追悼式が 13日再び日本側人士だけ参加した事実上 “半分” 行事で行われた.
日帝強制占領期間時代朝鮮人強制労役現場である日本新潟県使徒鉱山でこの日犠牲された労動者を追悼する行事が開かれたが, 韓国側は結局不参した.
![]() |
ユンソックヨル大統領が任命したバックチォルフィ駐日韓国せりふが去年 11月 25日日本新潟県使徒鉱山朝鮮人寮ところにで開かれた韓国政府主催使徒鉱山強制動員韓国人犠牲者追悼式に参加して黙念している. [写真=外交部] |
この日午後 1時 30分頃日本使徒鉱山追悼式実行委員会は使徒島西の方に位した使徒の時愛川(相川)開発総合センターで追悼式を進行した.
去年日本は使徒鉱山をユネスコ世界遺産に登載する時韓国側に朝鮮人労動者関連展示物労動者追悼式を進行すると約束した.
しかし韓国側は去年 11月行事内容と名称などが充分でないと判断して追悼式不参を決めた. 以後にも朝鮮人労動の強制性が充分に盛られないことで見て参加しないという意思を明らかにした.
追悼式はOkanoYukiko外務省国際文化交流審議官が参加した. 去年には次官級である政務官が参席したが, 今年は局長級で柄が低くなったわけだ.
韓国政府は今年秋頃自体追悼式を持つ予定だ.
[서울=뉴스핌] 백승은 기자 = 일본이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한국 측과 약속했던 노동자 추도식이 13일 또다시 일본 측 인사만 참가한 사실상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일제강점기 시절 한국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이날 희생된 노동자를 추도하는 행사가 열렸지만, 한국 측은 끝내 불참했다.
![]() |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한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가 지난해 11월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한국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한국 정부 주최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 참석해 묵념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
이날 오후 1시 30분께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사도섬 서쪽에 위치한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추도식을 진행했다.
지난해 일본은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한국 측에 한국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 노동자 추도식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한국 측은 작년 11월 행사 내용과 명칭 등이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추도식 불참을 결정했다. 이후에도 한국인 노동의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을 것으로 보고 참석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혔다.
추도식은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했다. 작년에는 차관급인 정무관이 자리했지만, 올해는 국장급으로 격이 낮아진 셈이다.
한국 정부는 올해 가을쯤 자체 추도식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