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で転落した日本・・・ 韓国がアメリカに約束した 3500億ドルは?
入力2025.09.17. 午前 7:03 修正2025.09.17. 午前 7:05 記事原文
イゾングテ記者
日本の 5500億ドル規模対米投資設計の輪郭が現われた. トランプに負担のなく使ってどんな責任も負わない金づるが生じた. 韓国も似ている条件を要求受けていよう推定される.
去る 4月16日アメリカホワイトハウスで日本アカザと経済再生長官(右側)が `馬加` 帽子をかぶって笑っている. ホワイトハウス提供
友達が尋ねて来て `10億ウォンだけ貸してくれて`そのした. そのお金を有望な会社に運用して収益をあげるということ. いつ返して投資収益はどんなに配分するつもりなのかと問った. 友達は半分ずつ分ければ良いと言った. `私がよくできるとお前も好きじゃないの.` お金を他のファンドに任せれば `収益の最大 20% 位だけ手数料で支給すれば良い`と駁したかった. 唇をきゅうっとかんだ. 生死甘苦を一緒にした大事な友達だ. 力もおびただしく強い. , 収益の絶対額が大きければ, 50%だけ受けても損害ではいいね.
しかし友達が無茶な会社に運用して損失を出せばどうか. 10億ウォンは `私が保有した` 全体金融資産の 40%を上回る巨金だ. 愼重ではなければならない. そのため `君が投資する時私の意見も反映することができれば良いだろう`と言った. 友達は本人が分かってすると `笑わせないでね`と言う. あっけなくて `損失を出せばどのようにしようと. 君が返してくれるつもりか?`と駁した. 友達の返事は開いた口が塞がらなかった. `それを私になぜ? なかった計算打つ.`
非現実的な対話だ. しかしこんな事が実際に起こった. `私`わ友達ではなく, アメリカと日本の間からだ. ドナルドトランプアメリカ大統領は 9月4日, `米・日間基本合意の移行のための行政命令`に署名した. `自動車などほとんどすべての日本産商品に対する関税率を 25%から 15%で低める`と言う米・日合意(7月22日)が 9月16日から施行される.
しかし日本は大きい対価を支払った. 9・4 行政命令書と `ホワイトハウスマニュアル(Fact Sheets)`に簡単に敍述された `日本の対米投資 5500億ドル(約 764兆ウォン)` 部分がそうだ. 二つの文書にはトランプに対する賛辞及び手前味といっしょに投資の概要だけ紹介されている.
がお金の運用(アメリカ国内どんな産業のどんな企業に投資しようか)はトランプが決める. ハワードロトニック商務長官は日本の `約束(commitments)` 移行可否を見張って随時にトランプに報告する. 日本側が約束を破ればトランプは関税率をまたあげることができる.
一番重要な約束は `5500億ドル`だ. このお金がどんなにトザドエルジの輪郭は米・日合意(7月22日) 当時から大まかに出ていた. アメリカ国内に `ファンド法人(以下 `米・日ファンド`)`を作る. このファンド法人はアメリカ国内多くの産業に投資するようになる. ファンドを設立しようとすれば資本金(equity)が必要だ. 日本は 5500億ドルの中 1‾2%(55億‾110億ドル)を出資する. このお金は `持分投資`載せるので返してもらうことができない. しかし 残り 98‾99%(5390億‾5445億ドル)の場合, `理論的`では還収可能だ. 日本の国策金融機関たちが (アメリカ政府ではなく) 米・日ファンドに貸してくれるとか(貸し出し), 貸し出し保証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式に調逹されるからだ. ここで `貸し出し保証`イランファンドが第3の金融機関から借りたお金を返すことができなければ日本国策金融機関が代わりに引き替え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を意味する. 代わりに日本側は米・日ファンドから貸し出しに対しては元利金を, 貸し出し保証に対しては手数料を受ける.
米・日ファンドと係わるその外の合意事項は 9・4 行政命令当日にも公開されなかった. しかし二日後から具体的内容が言論を通じて少しずつ出始める. 9月6日付け 〈ファイナンシャルタイムス〉が両国の間 `未公開合意文(了解覚書)`を手に入れて報道した内容によれば, `どこに投資するか`増えたロトニック商務長官が委員長である `投資委員会`で論議した後トランプにお勧めする. トランプは推薦受けた多くの投資先の中で気に入る所を選定すれば良い.
日本側は投資委員会の決定に立ち込めることができない. `アメリカ側人士`万で構成するように約束された.
ただ日本政府が自国市民たちに面皮する内容がてんからなくはない. 例えば投資委員会とトランプが半導体会社に投資したと梔子. この会社が半導体製造に必要な部品・技術・サービスなどを日本国籍会社で買い入れるように約束すればどうかな? 日本の輸出が増えるでしょう. それで投資委員会は米・日ファンドのお金をもらった会社が中間材やサービスなどを日本国籍企業から買い入れるように “試みなければならない(should attempt)”と約束された. `買い入れる`ではなく `買入試み`だ. だめならば仕方ない. またトランプがどんな企業にいくらを投資するように決めれば日本国策金融機関たちは該当の資金を 45日中に調逹するように釘を打った.
こんな約束たちを守らなければ日本の関税率はまた上がる. 収益(cash flow) 配分は最初予想(`90%はアメリカの`)よりは日本に硝子(?)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 両国が 50対 50で分ける. ただ日程期間以後にはアメリカの分け前が 90%で大きくなる. 〈ファイナンシャルタイムス〉は次のように論評した. “世界 4位経済大国日本がアメリカと合議した異例的条件たち(unusual terms)は, アメリカの貿易相対国たちが関税引下のために極端的譲歩まで甘受するということを見せてくれる.”
トランプ任期私の全額執行約束
日本側は一切介入することができないか? 9月6日 〈日経アジア〉 報道によれば, そうではない. 投資委員会はトランプに投資プロジェクトたちをお勧めするのに先立ってアメリカ側と日本側で構成された `協議体(consultation body)`わ論議することができる. しかし介入位は低い. 協議体であるだけに拒否権が保障されない.
も 〈日経アジア〉が `日本政府消息筋`を引用したことによれば, このファンドが投資に失敗するとか不渡りを出してもアメリカ側は全然責任を負わない. ファンドが 5500億ドルの中で 2000億ドルだけ引き替えて清算されたら, 残り 3500億ドルは日本国策金融機関たちが損失で処理しなければならない. いわゆる `悚素で(non-recourse)` 条件でファンドに貸してくれるお金だからだ. `悚素で`が付けば質請け(日本)はファンドに収益が発生する時だけそれを配分する権利を持つ. 収益がなければ受けるお金もない. ファンドが消えれば債券も消える. アメリカ政府と投資委員会が実質的運用者だが彼らはどんな責任も負わないように設計された. トランプ行政府としてはそれこそ `無危険資本`をどんな負担のなく思いきり使うことができる道が開かれたわけだ. 日本は ATM(現金自動支払機)で転落した.
トランプ任期終了まで投資をミルであり時間を儲けることもできないか? 了解覚書によるとこれも不可能だ. “投資は 2029年 1月19日, トランプ大統領任期最後の日前まで執行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と `約束`になっている. 〈日経アジア〉 側とインタビューした匿名の日本高位経済当局者はこんなに言った. “トランプ行政部下であと何の事の起るか私たちはわからない.”
韓国は去る 7月末貿易合意と 8・25 韓・米首脳会談で関税率を 25%から 15%で低めることにアメリカ側と合議した. 9月11日現在までも詳細事項を論議している. 核心争点は `3500億ドル規模の対米投資ファンド造成`と見える. キム・ヨンボン大統領室政策室長は 9月9日韓国放送記者クラブの招請シンポジウムで “3500億ドルファンドをどんなに運用するかどうかに対する了解覚書(MOU) 文案を置いて韓国とアメリカの間に交渉を数十番(回)した”と打ち明けた. 日本と似ている条件を要求受けていよう推定される. こんな渦中の 9月4日, アメリカ移民税関取り締まり国(ICE)はジョージア州エルロベルの現代車・LGエンソル合作バッテリー工場建設現場を襲った.
3500億ドルは韓国 GDP(2024年 1兆8699億ドル)の 19%, 2025年予算(673兆3000億ウォン)の 72%, 外為保有額(7月末現在 4113億ドル)の 85%にあたる規模だ.
イゾングテ記者 peeker@sisain.co.k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37231
ATM으로 전락한 일본··· 한국이 미국에 약속한 3500억 달러는?
입력2025.09.17. 오전 7:03 수정2025.09.17. 오전 7:05 기사원문
이종태 기자
일본의 5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설계의 윤곽이 드러났다. 트럼프에게 부담 없이 쓰고 어떤 책임도 지지 않는 돈줄이 생겼다. 한국도 비슷한 조건을 요구받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지난 4월16일 미국 백악관에서 일본 아카자와 경제재생장관(오른쪽)이 `마가` 모자를 쓰고 웃고 있다. ©백악관 제공
친구가 찾아와 `10억원만 빌려달라`고 했다. 그 돈을 유망한 회사에 운용해 수익을 올리겠다는 것. 언제 갚으며 투자수익은 어떻게 배분할 작정이냐고 물었다. 친구는 절반씩 나누면 된다고 말했다. `내가 잘돼야 너도 좋잖아.` 돈을 다른 펀드에 맡기면 `수익의 최대 20% 정도만 수수료로 지급하면 된다`라고 반박하고 싶었다. 입술을 질끈 깨물었다. 생사고락을 함께한 귀한 친구다. 힘도 엄청나게 세다. 뭐, 수익의 절대액이 크다면, 50%만 받아도 손해는 아니겠지.
그러나 친구가 엉뚱한 회사에 운용하다 손실을 내면 어쩌나. 10억원은 `내가 보유한` 전체 금융자산의 40%를 웃도는 거금이다. 신중해야 한다. 그래서 `네가 투자할 때 내 의견도 반영할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친구는 본인이 알아서 할 것이라며 `웃기지 말라`고 한다. 어이가 없어서 `손실을 내면 어떻게 하려고. 네가 갚아줄 거야?`라고 반박했다. 친구의 답변은 기가 막혔다. `그걸 나한테 왜? 없던 셈 쳐.`
비현실적인 대화다. 그러나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나`와 친구가 아니라, 미국과 일본 사이에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월4일, `미·일 간 기본 합의의 이행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일본산 상품에 대한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춘다`는 미·일 합의(7월22일)가 9월16일부터 시행된다.
그러나 일본은 큰 대가를 치렀다. 9·4 행정명령서와 `백악관 설명서(Fact Sheets)`에 간단히 서술된 `일본의 대미 투자 5500억 달러(약 764조원)` 부분이 그렇다. 두 문서엔 트럼프에 대한 찬사 및 자화자찬과 더불어 투자의 개요만 소개되어 있다.
이 돈의 운용(미국 내 어떤 산업의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것인가)은 트럼프가 결정한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일본의 `약속(commitments)` 이행 여부를 감시하고 수시로 트럼프에게 보고한다. 일본 측이 약속을 어기면 트럼프는 관세율을 다시 올릴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약속은 `5500억 달러`다. 이 돈이 어떻게 투자될지의 윤곽은 미·일 합의(7월22일) 당시부터 대충 나와 있었다. 미국 내에 `펀드 법인(이하 `미·일 펀드`)`을 만든다. 이 펀드 법인은 미국 내 여러 산업에 투자하게 된다. 펀드를 설립하려면 자본금(equity)이 필요하다. 일본은 5500억 달러 가운데 1~2%(55억~110억 달러)를 출자한다. 이 돈은 `지분투자`이므로 돌려받을 수 없다. 그러나 나머지 98~99%(5390억~5445억 달러)의 경우, `이론적`으론 환수 가능하다. 일본의 국책 금융기관들이 (미국 정부가 아니라) 미·일 펀드에 빌려주거나(대출), 대출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조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대출보증`이란 펀드가 제3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돈을 갚지 못하면 일본 국책 금융기관이 대신 상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일본 측은 미·일 펀드로부터 대출에 대해서는 원리금을, 대출보증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받는다.
미·일 펀드와 관련된 그 밖의 합의 사항은 9·4 행정명령 당일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틀 뒤부터 구체적 내용이 언론을 통해 조금씩 나오기 시작한다. 9월6일자 〈파이낸셜타임스〉가 양국 간 `미공개 합의문(양해각서)`을 입수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어디에 투자할지`는 러트닉 상무장관이 위원장인 `투자위원회`에서 논의한 다음 트럼프에게 추천한다. 트럼프는 추천받은 여러 투자처 중 마음에 드는 곳을 선정하면 된다.
일본 측은 투자위원회의 결정에 낄 수 없다. `미국 측 인사`만으로 구성하게 약속되었다.
다만 일본 정부가 자국 시민들에게 면피할 내용이 아예 없지는 않다. 예컨대 투자위원회와 트럼프가 반도체 회사에 투자했다고 치자. 이 회사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부품·기술·서비스 등을 일본 국적 회사에서 매입하도록 약속하면 어떨까? 일본의 수출이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투자위원회는 미·일 펀드의 돈을 받은 회사가 중간재나 서비스 등을 일본 국적 기업으로부터 매입하도록 “시도해야 한다(should attempt)”라고 약속되었다. `매입한다`가 아니라 `매입 시도`다. 안 되면 어쩔 수 없다. 또 트럼프가 어떤 기업에 얼마를 투자하도록 결정하면 일본 국책 금융기관들은 해당 자금을 45일 안에 조달하도록 못 박았다.
이런 약속들을 지키지 않으면 일본의 관세율은 다시 올라간다. 수익(cash flow) 배분은 당초 예상(`90%는 미국 것`)보다는 일본에 유리(?)하게 설계되었다. 양국이 50대 50으로 나눈다. 다만 일정 기간 이후엔 미국의 몫이 90%로 커진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세계 4위 경제대국 일본이 미국과 합의한 이례적 조건들(unusual terms)은,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관세 인하를 위해 극단적 양보까지 감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럼프 임기 내 전액 집행 약속
일본 측은 일절 개입할 수 없을까? 9월6일 〈닛케이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 투자위원회는 트럼프에게 투자 프로젝트들을 추천하기에 앞서 미국 측과 일본 측으로 구성된 `협의체(consultation body)`와 논의할 수 있다. 그러나 개입 정도는 낮다. 협의체인 만큼 거부권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닛케이아시아〉가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이 펀드가 투자에 실패하거나 부도를 내도 미국 측은 전혀 책임을 지지 않는다. 펀드가 5500억 달러 중 2000억 달러만 상환하고 청산된다면, 나머지 3500억 달러는 일본 국책 금융기관들이 손실로 처리해야 한다. 이른바 `비소구(non-recourse)` 조건으로 펀드에 빌려주는 돈이기 때문이다. `비소구`가 붙으면 채권자(일본)는 펀드에 수익이 발생할 때만 그것을 배분할 권리를 갖는다. 수익이 없으면 받을 돈도 없다. 펀드가 사라지면 채권도 사라진다. 미국 정부와 투자위원회가 실질적 운용자이지만 그들은 어떤 책임도 지지 않게 설계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로선 그야말로 `무위험 자본`을 아무 부담 없이 마음껏 쓸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일본은 ATM(현금자동지급기)으로 전락했다.
트럼프 임기 종료까지 투자를 미루며 시간을 벌 수도 있지 않을까? 양해각서에 따르면 이 또한 불가능하다. “투자는 2029년 1월19일, 트럼프 대통령 임기 마지막 날 전까지 집행되어야 한다”라고 `약속`되어 있다. 〈닛케이아시아〉 측과 인터뷰한 익명의 일본 고위 경제 당국자는 이렇게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하에서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우리는 알 수 없다.”
한국은 지난 7월 말 무역 합의와 8·25 한·미 정상회담으로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기로 미국 측과 합의했다. 9월11일 현재까지도 세부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 핵심 쟁점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으로 보인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9월9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3500억 달러 펀드를 어떻게 운용할지에 대한 양해각서(MOU) 문안을 두고 한국과 미국 사이에 협상을 수십 번 했다”라고 털어놓았다. 일본과 비슷한 조건을 요구받고 있으리라 추정된다. 이런 와중인 9월4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LG엔솔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덮쳤다.
3500억 달러는 한국 GDP(2024년 1조8699억 달러)의 19%, 2025년 예산(673조3000억원)의 72%, 외환보유액(7월 말 현재 4113억 달러)의 8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종태 기자 peeker@sisain.co.kr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08/0000037231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HlQ8nSSA4I?si=TTbJVFi9N07UDsp6"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