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による愚民教育のためであるでしょう.
訓民正音ヒェリェボンの論理に付けば, 漢字をまともに分からなければ文を通じて知識を習得することができないので民は愚民になる. 当時には漢字を学ぶことができなければ学問科情報接近が遮られて思考力と判断力発揮に制限があったからだ.
が論理を現代日本人にそのまま適用すれば, 一部日本人が漢字を一部読むことができないからといってヒェリェボン基準では ‘愚民’で分類されることができる. 文を読むことができなければ知識を習得することができないという原理が現代にも等しく適用されるからだ. ただ現代社会ではガーナ文字とデジタル道具を通じて情報と学習が充分に可能なので, 実際に知恵を発揮することができない状態は発生しない. しかしヒェリェボン論理のみを基準にしたら, 漢字を一部読むことができない人も理論的には ‘愚民’ 範疇に属するようになる.
한자에 의한 우민 교육 때문일 것이다.
훈민정음 혜례본의 논리를 따르면, 한자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 글을 통해 지식을 습득할 수 없으므로 백성은 우민이 된다. 당시에는 한자를 배우지 못하면 학문과 정보 접근이 차단되어 사고력과 판단력 발휘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리를 현대 일본인에게 그대로 적용하면, 일부 일본인이 한자를 일부 읽지 못한다고 해서 혜례본 기준으로는 ‘우민’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글을 읽지 못하면 지식을 습득할 수 없다는 원리가 현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다만 현대 사회에서는 가나 문자와 디지털 도구를 통해 정보와 학습이 충분히 가능하므로, 실제로 지혜를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혜례본 논리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한자를 일부 읽지 못하는 사람도 이론적으로는 ‘우민’ 범주에 속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