トランプ、日本に続き欧州の自動車関税も15%確定…韓国だけ25%
2025.09.25|3:53|ソウル経済
8月1日遡及適用…27.5%→15.0%
李大統領「通貨スワップがなければ韓国は通貨危機」
ドナルド・トランプ米政府が日本に続き、欧州産自動車と自動車部品に対する関税率も15%に下げた。主要グローバル完成車メーカーがすべて15%の税率を適用される中、当分の間、現代車など韓国産だけが25%の関税を抱えて米国市場で競争することになった。
ブルームバーグとロイター通信は24日(現地時間)、米国が欧州産自動車と部品に対する関税率を従来の27.5%から15%に引き下げることを確定したと報道した。この関税率は8月1日から遡及適用される。米商務省と貿易代表部(USTR)は同日、このような内容が盛り込まれた欧州連合(EU)との貿易協定履行と関連した文書を公開した。ここには一部医薬品成分と航空機部品などに対する関税免除条項も明示された。
欧州産自動車に対する15%の関税は、EUがまず米国産工業製品の関税撤廃、一部の米国産農産物・海産物の特恵的市場接近権提供のための立法案を用意することを条件とする。これに対しEUは先月28日、該当立法案の草案を発表し、事前作業を完了した。
現代車グループは今年初めまでは自由貿易協定(FTA)によって無関税適用を受け、2.5%の基本関税を賦課される日本、EUに比べて有利な立場だった。その後、トランプ大統領がFTAを無力化させ、4月から関税戦争に突入し、現代自動車と起亜自動車(000270)は米国市場で一瞬にして不利な立場になった。
これに先立ち、韓国は7月30日、相互関税と共に自動車品目の関税も25%から15%に引き下げる案について米国と合意したが、細部事項を調整する後続交渉で膠着状態に陥った。トランプ政権が大規模なドル現金投資、資金回収後の米国90%収益など無理な要求条件を掲げたためだ。
李在明大統領は22日に公開されたロイター通信とのインタビューで「通貨スワップ(通貨交換)なしに米国が要求する方式どおり3500億ドル(約488兆ウォン)を現金で米国に投資するならば、韓国は1997年の通貨危機の時のような状況に直面するだろう」と憂慮した。
インドに売ったらいいんじゃね?🤔
트럼프, 일본에 이어 유럽의 자동차 관세도 15%확정
한국만 25%
2025.09.25|3:53|서울 경제
8월 1일 소급 적용㐏.5%→15.0%
이 대통령 「통화스왑(currency swaps)가 없으면 한국은 통화 위기」
도널드·트럼프 미 정부가 일본에 이어, 유럽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율도15%에 내렸다.주요 글로벌 완성차메이커가 모두15%의 세율이 적용되는 중, 당분간, 현대차 등 한국산만이25%의 관세를 안아 미국 시장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브룸바그와 로이터 통신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이 유럽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래의 27.5%에서15%로 인하하는 것을 확정했다고 보도했다.이 관세율은 8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된다.미 상무성과 무역 대표부(USTR)는 같은 날,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정 이행과 관련한 문서를 공개했다.여기에는 일부 의약품 성분과 항공기 부품 등에 대하는 관세 면제 조항도 명시되었다.
유럽산 자동차에 대한15%의 관세는, EU가 우선 미국산 공업제품의 관세 철폐, 일부의 미국산 농산물·해산물의 특혜적 시장 접근권 제공을 위한 입법안을 준비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이것에 대해 EU는 지난 달 28일, 해당 입법안의 초안을 발표해, 사전 작업을 완료했다.
현대차그룹은 금년 초까지는 자유무역협정(FTA)에 의해서 무관세 적용을 받아 2.5%의 기본 관세를 부과 되는 일본, EU에 비해 유리한 입장이었다.그 후, 트럼프 대통령이 FTA를 무력화시켜, 4월부터 관세 전쟁에 돌입해, 현대 자동차와 기아 자동차(000270)는 미국 시장에서 한순간에 불리한 입장이 되었다.
이것에 앞서, 한국은 7월 30일, 상호 관세와 함께 자동차 품목의 관세도25%에서15%로 인하하는 안에 대하고 미국과 합의했지만, 세부 사항을 조정하는 후속 교섭으로 교착 상태에 빠졌다.트럼프 정권이 대규모 달러 현금 투자, 자금 회수 후의 미국90% 수익 등 무리한 요구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22일에 공개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로 「통화스왑(currency swaps)(통화 교환)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 대로 3500억 달러( 약 488조원)를 현금으로 미국에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의 통화 위기시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