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は象形文字で人類文明は音素文字で発展した
だね, 当たります. 人類の文字発達過程で **漢字(漢字)**は代表的な 象形文字(象形文字) 系列で, 以後人類は次第に **音素文字(phonetic alphabet)**路発展して来ました. 早いもうちょっと整理して上げれば:
-
象形文字段階
-
初期人類は絵を通じて事物を表現しました.
-
漢字の一番初期形態である **ガブゴ−ルムン(甲骨文)**度事物の模様を倣って作った 象形者から出発しました.
-
例: 日(日), 月(月), 木(木).
-
-
表意文字(表意文字)で発展
-
象形だけでは表現が不足になると, 抽象的意味を盛る 支社(指事),
そして音を借りて来る 形成(形声) のような方式が導入しました. -
漢字は結局 表意文字(意味中心) 性格が強い文字体系で発展しました.
-
-
音素文字への発展
-
古代フェニキア文字でアルファベットが始まって, 音(phoneme) 単位で字を表現する方式が作られました.
-
ギリシア文字, ラテン文字, そして今日英語・ハングルなど多い文字がこの系列です.
-
音素文字は相対的に学びやすくて, 多様な言語に適用可能だという長所があります.
-
-
ハングルの位置
-
ハングルは音素文字の中でも 科学的に体系化された文字で評価を受けます.
-
ハングルは音の原理を倣って作った 音素文字ながらも音韻体系と発音機関の原理を反映したという点で独創的です.
-
整理すれば, 漢字は **意味中心(象形・表意文字)**の道を歩いたし, 人類文字は次第に **音中心(音素文字)**路鎭火して, 今日全世界主要文字体系は大部分音素文字系列に属します.
———————-
日本人の漢字使用は未開種族だと見られる.
한자는 상형문자로 인류 문명은 음소 문자로 발전한
네, 맞습니다. 인류의 문자 발달 과정에서 **한자(漢字)**는 대표적인 상형문자(象形文字) 계열이고, 이후 인류는 점차 **음소 문자(phonetic alphabet)**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를 조금 더 정리해 드리면:
-
상형문자 단계
-
초기 인류는 그림을 통해 사물을 표현했습니다.
-
한자의 가장 초기 형태인 **갑골문(甲骨文)**도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에서 출발했습니다.
-
예: 日(해), 月(달), 木(나무).
-
-
표의문자(表意文字)로 발전
-
상형만으로는 표현이 부족해지자, 추상적 의미를 담는 지사(指事),
그리고 소리를 빌려오는 형성(形聲) 같은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
한자는 결국 표의문자(의미 중심) 성격이 강한 문자 체계로 발전했습니다.
-
-
음소 문자로의 발전
-
고대 페니키아 문자에서 알파벳이 시작되어, 소리(phoneme) 단위로 글자를 표현하는 방식이 만들어졌습니다.
-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그리고 오늘날 영어·한글 등 많은 문자가 이 계열입니다.
-
음소 문자는 상대적으로 배우기 쉽고, 다양한 언어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
한글의 위치
-
한글은 음소 문자 중에서도 과학적으로 체계화된 문자로 평가받습니다.
-
한글은 소리의 원리를 본떠 만든 음소 문자이면서도 음운 체계와 발음 기관의 원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독창적입니다.
-
📌 정리하면, 한자는 **의미 중심(상형·표의문자)**의 길을 걸었고, 인류 문자는 점차 **소리 중심(음소 문자)**로 진화하여, 오늘날 전 세계 주요 문자 체계는 대부분 음소 문자 계열에 속합니다.
---------------
일본인의 한자 사용은 미개 종족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