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回は食品販売会社を営むアメリカ人男性の投稿からで、
日本の食の質の高さを以下のように綴っています。
「日本の自動販売機で手に入る食べ物も、
コンビニエンスストアで買える食べ物も全て、
米国のカジュアルダイニングチェーンの料理より、
品質が高いという事を人に説明するのは難しい」
なお、カジュアルダイニングレストランは、
ファストフード店とフォーマルなレストランの中間で、
カジュアルな服装で入店出来るレストランです。
日本では簡単に、比較的安く買える食事でも、
本国のそれなりのレストランよりも質が良い。
そんな本来あり得ないような事は、
誰も信じてくれないだろうという話なのですが、
実際に日本を体験しているアメリカの人々からは、
他の質の面も含め、賛同の声が相次いでいました。
■ 日本で暮らしてたけど、これは事実だ。 +11
■ セブンイレブンのおにぎり、肉まん、鶏の唐揚げ。
それだけで最高のランチになる。
■ 日本は俺が地元を離れてでも見に行きたいと思う、
唯一の国なんじゃないかと思う。
でもお金がないし飛行機に乗るのも好きじゃない
■ ちなみに日本のそういう食事は、
こっちのレストランの物よりヘルシー? +6
■ ああ、ヘルシーでもあるんだ。 +23
■ 日本のセブンイレブンはアメージングの一言。 +31
■ 悲しい事にこれは事実なんだよ。
100ドル(約1万5000円)も払って食べる食事が、
日本の多くのどこにでもあるレストランと、
同じレベルなんだから。
生活の質は重要だよね🤔
中国人と韓国人が多い街は別だが、街は清潔だし、公共交通機関の時間は正確だし、ご飯は美味しいし、何より選択肢が多くてそれだけでも楽しい。
週に2回程度、付き合いなどで夕食を外食にする人は多いのではないかな。
米国で同じ質の料理を食べる場合、日本では10%の価格で食べられると言う。
日本人は世界一裕福とは言わないが、欧米から見れば、かなり快適で贅沢な生活をして、楽しく生きているのではないかな🤔
이번은 식품 판매 회사를 영위하는 미국인 남성의 투고로부터로,
일본의 음식의 질 높음을 이하와 같이 쓰고 있습니다.
「일본의 자동 판매기로 손에 들어 오는 음식도,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음식도 모두,
미국의 캐쥬얼 다이닝 체인의 요리보다,
품질이 높다고 하는 일을 사람에게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덧붙여 캐쥬얼 다이닝 레스토랑은,
패스트 푸드점과 포멀한 레스토랑의 중간으로,
캐쥬얼인 복장으로 입점 할 수 있는 레스토랑입니다.
일본에서는 간단하게, 비교적 싸게 살 수 있는 식사라도,
그런 본래 있을 수 없는 듯한 것은,
아무도 믿어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이야기입니다만,
실제로 일본을 체험하고 있는 미국의 사람들에게서는,
다른 질의 면도 포함해 찬동의 소리가 잇따르고 있었습니다.
■ 일본에서 살았지만, 이것은 사실이다. +11
■ 세븐일레븐의 주먹밥, 고기만두, 닭의 튀김.
그 만큼으로 최고의 런치가 된다.
■ 일본은 내가 현지를 떠나서라도 보러가고 싶다고 생각하다,
유일한 나라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지만 돈이 없고 비행기를 타는 것도 좋아하지 않다
■ 덧붙여서 일본의 그러한 식사는,
여기의 레스토랑의 물건보다 건강한? +6
■ 아, 건강해도 있다 응이다. +23
■ 일본의 세븐일레븐은 아메이징의 한마디. +31
■ 슬픈 일에 이것은 사실이야.
일본이 많은 어디에라도 있다 레스토랑과
같은 레벨이니까.
생활의 질은 중요하지
중국인과 한국인이 많은 거리는 별도이지만, 거리는 청결하고, 공공 교통기관의 시간은 정확하고, 밥은 맛있고, 무엇보다 선택사항이 많아 그 정도 만으로 즐겁다.
주에 2회 정도, 교제등에서 저녁 식사를 외식으로 하는 사람은 많은 것이 아닐까.
일본인은 세계 제일 유복하다고는 말하지 않지만, 구미에서 보면,꽤 쾌적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즐겁게 살아 있는 것은 아닐까
<iframe width="890" height="467" src="https://www.youtube.com/embed/C8hWGtXhwQc" title="인생 첫 일본&일식에 감격!먹고 먹어 마구 먹어 댄다!"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 style="width: 486px; height: 255.013483px;"></ifr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