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華思想
日本:
古代には中華王朝である漢から漢委奴国王印、魏から「親魏倭王」印を与えられ、倭の五王が朝貢したことが伝えられるが、飛鳥時代には隋に対し「日出處天子致書日沒處天子無恙云云」という国書を渡したように中華帝国に対し対等の関係を表明して独立を宣言している。儒教も仏教と同時期に伝来しているが、仏教の普及に力が入れられ儒教が国家の思想とされることはなかった。
朝鮮:
朝鮮の歴史においては中国と直接国境を接しているため安全保障の背景から皇帝に対し臣下の礼をとり国内の敵対国との抗争に有利な立場を得たり儒教及びそれに伴う華夷観を受容し、中華に同化することで自国の格上げを図る道を選択するなど[29]、自らを「中国(大中華)と共に中華を形成する一部(小中華)」と見なそうとした。
https://ja.wikipedia.org/wiki/中華思想#日本
日本: 中華帝国に対し対等の関係を表明して独立を宣言
朝鮮: 中華に同化し自らを「中国(大中華)と共に中華を形成する一部(小中華)」
あらあら朝鮮ダサくない?
중화사상
일본:
고대에는 중화 왕조인 한으로부터 한위나노쿠니왕인, 위로부터 「친위 야마토왕」인이 주어져 왜의 오왕이 조공 했던 것이 전해지지만, 아스카 시대에는 수에 대해 「일출처천자치서 일몰처천자무양운운」이라고 하는 국서를 건네준 것처럼중화 제국에 대해 대등의 관계를 표명해독립을 선언하고 있다.유교도 불교와 동시기에 전래하고 있지만, 불교의 보급에 힘이 들어갈 수 있어서 유교가 국가의 사상으로 여겨질 것은 없었다.
조선:
조선의 역사에 있고는 중국과 직접 국경을 접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 보장의 배경으로부터 황제에 대해 신하 히로시를 잡아 국내의 적대국과의 항쟁에 유리한 입장을 얻거나 유교 및 거기에 따르는 화이관을 수용해,중화에 동화하는 것으로 자국의 격상을 도모하는 길을 선택하는 등[29],스스로를 「중국(오나카화)과 함께 중화를 형성하는 일부(코나카화)」라고 보려고 했다.
https://ja.wikipedia.org/wiki/중화사상#일본
일본: 중화 제국에 대해 대등의 관계를 표명해 독립을 선언
조선: 중화에 동화해스스로를 「중국(오나카화)과 함께 중화를 형성하는 일부(코나카화)」
대강 조선 촌티구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