良いです. 独島あしかも含んで 日帝強制占領期間韓半島及び周辺島で絶滅した主要動物と絶滅原因を整理すれば次の通りです.
| 動物 | 学名/種類 | 絶滅/消失地域 | 絶滅原因 | 備考 |
|---|
| 韓国虎 | Panthera tigris altaica | 韓半島全域 | 日本軍・殖民政府集中狩り, 山林伐木, 棲息地破壊 | 20世紀初事実上絶滅 |
| 韓国ヒョウ | Panthera pardus orientalis | 韓半島全域 | 狩り, 棲息地破壊 | 現在自然状態では絶滅 |
| 弓張月ツキノワグマ | Ursus thibetanus ussuricus | 韓半島 | 狩り, 山林破壊 | 南韓では事実上絶滅 |
| 韓国オオカミ | Canis lupus coreanus | 韓半島 | 家畜保護目的狩り | 20世紀中盤自然状態消滅 |
| 大山猫 | Prionailurus bengalensis koreensis | 韓半島全域 | 棲息地減少, 狩り, 毛皮採取 | 完全絶滅ではないが個体数急減
| 独島あしか | Pusa sibirica (または Pusa hispida) | 独島, 鬱陵島周辺 | 日本商業的捕獲, 皮・油採取 | 19世紀後半‾20世紀初絶滅 |
| 山羊 | Capricornis crispus | 山岳地域 | 棲息地破壊,狩り | 一部地域だけ生存 |
| いのしし | Sus scrofa | 韓半島 | 過度な狩り, 山林破壊 | 個体数減少 |
| 潮流及び淡水魚 | 多様な土着種 | 韓半島全域 | 棲息地破壊, 過度な収獲 | 一部鐘絶滅, 減少 |
ポイント:
-
独島あしかは日本の商業的捕獲と無分別な利用(油・皮採取)に絶滅したし, これは韓半島及び周辺島生態系破壊事例の中で一つで数えられる.
-
韓半島陸上哺乳類の絶滅やっぱり 日帝強制占領期間の狩り・山林破壊政策と密接するように連関される.
일본이 멸종 시킨 동물들은?좋습니다. 독도 강치도 포함해서 일제강점기 한반도 및 주변 섬에서 멸종한 주요 동물과 멸종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동물 | 학명/종류 | 멸종/소실 지역 | 멸종 원인 | 비고 |
|---|
| 한국 호랑이 | Panthera tigris altaica | 한반도 전역 | 일본군·식민 당국 집중 사냥, 산림 벌목, 서식지 파괴 | 20세기 초 사실상 멸종 |
| 한국 표범 | Panthera pardus orientalis | 한반도 전역 | 사냥, 서식지 파괴 | 현재 자연 상태에서는 멸종 |
| 반달가슴곰 | Ursus thibetanus ussuricus | 한반도 | 사냥, 산림 파괴 | 남한에서는 사실상 멸종 |
| 한국 늑대 | Canis lupus coreanus | 한반도 | 가축 보호 목적 사냥 | 20세기 중반 자연 상태 소멸 |
| 스라소니 | Prionailurus bengalensis koreensis | 한반도 전역 | 서식지 감소, 사냥, 모피 채취 | 완전 멸종은 아니나 개체 수 급감 |
| 독도 강치 | Pusa sibirica (또는 Pusa hispida) | 독도, 울릉도 주변 | 일본 상업적 포획, 가죽·기름 채취 |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멸종 |
| 산양 | Capricornis crispus | 산악지역 | 서식지 파괴, 사냥 | 일부 지역만 생존 |
| 멧돼지 | Sus scrofa | 한반도 | 과도한 사냥, 산림 파괴 | 개체 수 감소 |
| 조류 및 민물고기 | 다양한 토착종 | 한반도 전역 | 서식지 파괴, 과도한 수확 | 일부 종 멸종, 감소 |
-
독도 강치는 일본의 상업적 포획과 무분별한 이용(기름·가죽 채취)로 멸종했으며, 이는 한반도 및 주변 섬 생태계 파괴 사례 중 하나로 꼽힘.
-
한반도 육상 포유류의 멸종 역시 일제강점기의 사냥·산림 파괴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