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を訪れた日本人30万人が殺到
…美容整形外科を抜いて皮膚科がトップに
昨年、韓国の病院を訪れた外国人患者は117万人に達し、過去最多を記録した。
韓国保健産業振興院が発表した「2024年外国人患者誘致報告書」によると、昨年は202カ国から117万467人が来韓し、2023年に比べ93.2%増加した。
このうち日本人患者が44万1112人(37.7%)で最も多かった。2023年も日本人患者が最多だった。
昨年の日本人患者はどのような診療を受けたのだろうか。皮膚科・整形外科・内科系統、そして韓方医療機関を多く訪れており、日本人はこれら4つの診療パートで最多の訪問を記録した。
皮膚科を訪れた日本人患者は30万8116人だった。全日本人患者約44万人のうち、7割が皮膚科を受診したことになる。
また、韓国の皮膚科を訪れた外国人患者全体の44%が日本人だった。
日本人患者に皮膚科が人気を集める理由は、レーザー、リフティング、美白、しみ・そばかす除去など、1〜2時間で終わる簡単な施術を好む傾向があるためだ。料金が比較的安く、満足度が高い点も人気の要因とされる。
日本人患者の94%が女性で、年代別では20代が47.4%と半数近くを占める。30代が25.7%、40代が12.5%で、昨年は60代以上も1万1674人(2.7%)が訪れた。
韓国の皮膚科を訪れる日本人男性も少なくない。昨年1万9070人が皮膚科を訪れ、うち3405人は整形外科を訪問した。
日本人患者が皮膚科に次いで多く訪れたのは整形外科だった。6万1918人で14%に上った。さらに6.3%が内科や家庭医学科などを受診した。
一方で、日本人患者は健康診断を受けたり、歯科治療やがん・希少疾患といった重症治療を目的に来韓するケースは極めて少ない。昨年、国内の検診センターを訪れた日本人は977人にとどまり、歯科も1285人と少なかった。
重症疾患の中では、重度のやけど治療を目的に訪れた日本人患者が15人いたのみだ。つまり、重病を治療するために韓国へ行く理由はないと判断しているということだ。
また、日本人患者は他国の患者と同様に地方ではあまり受診しない。95.5%がソウルで診療を受けており、仁川(インチョン)が1.0%、釜山(プサン)が1.7%だった。ソウルの中では、江南区(カンナムグ)が42.3%、瑞草区(ソチョグ)が32.8%、中区(チュング)が13%を占めた。
韓国のある大手整形外科の院長は「日本人患者は1回あたりの診療費が高くはない」とし、「1件あたりの診療費は中東の患者が圧倒的に高い」と述べた。
韓国の健康診断センターを最も多く訪れたのは米国人だった。整形外科、眼科、産婦人科、耳鼻咽喉科、小児科でも、米国人患者が最も多かった。
https://news.yahoo.co.jp/articles/f787876c987bc1611e279b7f1d537899e63d8758
年間30万人も皮膚科受診目的で韓国に行くなら
日本でも話題になりそうなものだが
おかしいな…
見たことも聞いたこともない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30만명이 쇄도
미용성형 외과를 뽑아 피부과가 톱에
작년, 한국의 병원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117만명에 이르러, 과거 최다를 기록했다.
한국 보건 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보고서」에 의하면, 작년은 202개국에서 117만 467명이 와 한국 해, 2023년에 비해 93.2%증가했다.
이 중 일본인 환자가 44만 1112명(37.7%)이서 가장 많았다.2023년이나 일본인 환자가 최다였다.
작년의 일본인 환자는 어떠한 진료를 받는 것일까.피부과·정형외과·내과 계통, 그리고 한방의료 기관을 많이 방문하고 있어 일본인은 이것들 4개의 진료 파트에서 최다의 방문을 기록했다.
피부과를 방문한 일본인 환자는 30만 8116명이었다.전일본인 환자 약 44만명 가운데, 7할이 피부과를 진찰한 것이 된다.
또, 한국의 피부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 전체의 44%가 일본인이었다.
일본인 환자에게 피부과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레이저, 리프팅, 미백, 배어·주근깨 제거등, 1~2시간에 끝나는 간단한 시술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유익이다.요금이 비교적 싸고, 만족도가 높은 점도 인기의 요인으로 여겨진다.
일본인 환자의 94%가 여성으로, 연대별로는 20대가 47.4%과 반수 근처를 차지한다.30대가 25.7%, 40대가 12.5%로, 작년은 60대 이상이나 1만 1674명(2.7%)이 방문했다.
한국의 피부과를 방문하는 일본인 남성도 적지 않다.작년 1만 9070명이 피부과를 방문해 중 3405명은 정형외과를 방문했다.
일본인 환자가 피부과에 이어 많이 방문한 것은 정형외과였다.6만 1918명이서 14%에 올랐다.게다가 6.3%가 내과나 가정의 학과등을 진찰했다.
한편, 일본인 환자는건강진단을 받거나 치과 치료나 암·희소 질환이라고 하는 중증 치료를 목적으로 와 한국 하는 케이스는 지극히 적다.작년, 국내의검진 센터를 방문한 일본인은 977명에 머물러, 치과도 1285명으로 적었다.
중증 질환 중(안)에서는, 중증의 화상 치료를 목적으로 방문한 일본인 환자가 15명 있던 것 봐다.즉, 중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한국에 갈 이유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일본인 환자는 타국의 환자와 같게 지방에서는 별로 진찰하지 않는다.95.5%가 서울에서 진료를 받고 있어 인천(인천)이 1.0%, 부산(부산)이 1.7%였다.서울안에서는, 강남구(강남구)가 42.3%, 서초구(소쵸그)가 32.8%, 나카구(츄그)가 13%를 차지했다.
한국이 있는 대기업 정형외과의 원장은 「일본인 환자는 1회당의 진료비가 비싸(높)지는 않다」라고 해, 「1건 당의 진료비는 중동의 환자가 압도적으로 높다」라고 말했다.
한국의건강진단 센터를 가장 많이 방문한 것은 미국인이었다.정형외과, 안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소아과에서도, 미국인 환자가 가장 많았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f787876c987bc1611e279b7f1d537899e63d8758
연간 30만명이나 피부과 진찰 목적으로 한국에 간다면
일본에서도 화제가 될 것 같은 것이지만
이상한데
본 것도 (들)물은 적도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