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新聞ナウニュース]

アメリカ国防省インド・太平洋次官補に地名されたゾーン櫓東アジア担当副次官補が 7日(現地時間) 米しきりに上院軍事委員会の承認聴聞会で発言している. 連合ニュース
アメリカ国防省インド・太平洋次官補に地名されたゾーン櫓東アジア担当副次官補が韓国が中国抑制に影響力を提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明らかにした.
ゾーン櫓指名者は 7日(現地時間) 米しきりに上院軍事委員会の承認聴聞会に先立って委員会に提出した返事で “韓国は主に韓米同盟の対北在来式抑制に集中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 多い力量が対中国抑制にも寄与することができる”と言及した.
であって “(韓国軍の) 長距離火力, 統合防空及びミサイル防御, 宇宙前, 電子展のような力量は (中国と北朝鮮) 二つの脅威皆に対立して地域内抑制を強化するのに意味ある影響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と “西海で中国の活動は韓国を脅威しようとするのに目的があることと見える”と主張した.
また “(自分が) 承認されたらロシアした活動を検討して適切な対応を提案するために米政府の仲間たち及び韓国側カウンターパートたちと協力する”と “インド・太平洋地域で私たちの国防及び安保優先順位は相変らず一番深刻な軍事的脅威で残っている中国を抑制するのに中心を置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強調した.

アメリカ国防省インド・太平洋次官補に地名されたゾーン櫓東アジア担当副次官補が 7日(現地時間) 米しきりに上院軍事委員会の承認聴聞会で発言している. 連合ニュース
韓米間に同盟現代化方案が模索中の中, 中国の軍事的脅威が現実化する場合地域内米軍は勿論で韓国軍も日程部分任務を遂行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点を強調したことに解釈される.
櫓指名者は “日本, オーストラリア, 韓国を含んだ地域全般の同盟国及びパートナーたちと協力して彼らの防衛能力を強化する一方, 彼らが自国の国防投資を大きくふやして地域安保に対してもっと大きい責任を負うように要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った.
連れて “実質的戦闘力がある兵力を (太平洋の) 国際日付変更線西の方にまず配置して, 地域全般にわたった軍事態勢を現代化して, 統合防空及びミサイル防御と先端打撃システムなど核心能力を強化するのに努力を集中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付け加えた.
“在韓米軍, 該当の地域でアメリカの利益増進するのが目的”櫓指名者は在韓米軍の役目と規模に関する自分の意見も明らかにした.
彼は ”在韓米軍はこの地域でアメリカの利益を増進するように態勢を取り揃えて配置されている“であり ”現安保環境に適切に焦点を合わせるように韓国政府と協力する“その言った.
であって ”米軍の全世界的態勢はアメリカが有事時に最適の態勢を取り揃えて, 私たちの同盟・パートナーたちが彼ら自分の安保に適切に投資するように長続いて再評価される“と ”すべての地域の脅威に対して韓半島での米軍人員が適切に調整されるように指揮部及び国防省余分の指揮官たちと緊密に協力する“その付け加えた.

ゾーン櫓アメリカ国防省インテ安保次官補指名者. 米国防省提供
韓国係である櫓指名者は去る 6月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によって国防省インド・太平洋安保担当次官補職に地名された.
インテ地域の安保政策と戦略を担当するインテ安保次官補が担当する国家には南北韓国と中国, 台湾, 日本, オーストラリア, ニュージーランド, インドなどが含まれる.
スタンフォード大ロースクール出身である彼は弁護士としきりに検事に勤めたし, 米陸軍将校でアプガニスタンで歩兵小隊を導いたりした. 国防省勤務の前にはアメリカ下院の中国特委で働いた.
[서울신문 나우뉴스]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차관보로 지명된 존 노 동아시아 담당 부차관보가 7일(현지시간)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차관보로 지명된 존 노 동아시아 담당 부차관보가 한국이 중국 억제에 영향력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존 노 지명자는 7일(현지시간)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 앞서 위원회에 제출한 답변에서 “한국은 주로 한미동맹의 대북 재래식 억제에 집중해야 하지만, 많은 역량이 대중국 억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군의) 장거리 화력, 통합 방공 및 미사일 방어, 우주전, 전자전과 같은 역량은 (중국과 북한) 두 위협 모두에 맞서 지역 내 억제를 강화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서해에서 중국의 활동은 한국을 위협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자신이) 인준된다면 러한 활동을 검토하고 적절한 대응을 제안하기 위해 미 정부의 동료들 및 한국 측 카운터파트들과 협력하겠다”면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우리의 국방 및 안보 우선순위는 여전히 가장 심각한 군사적 위협으로 남아있는 중국을 억제하는 데 중심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차관보로 지명된 존 노 동아시아 담당 부차관보가 7일(현지시간)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간에 동맹 현대화 방안이 모색 중인 가운데, 중국의 군사적 위협이 현실화할 경우 지역 내 미군은 물론이고 한국군도 일정 부분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노 지명자는 “일본, 호주, 한국을 포함한 지역 전반의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력해 그들의 방위 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그들이 자국의 국방 투자를 크게 늘리고 지역 안보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지도록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실질적 전투력이 있는 병력을 (태평양의) 국제 날짜변경선 서쪽에 우선 배치하고, 지역 전반에 걸친 군사 태세를 현대화하며, 통합 방공 및 미사일 방어와 첨단 타격 시스템 등 핵심 능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한미군, 해당 지역서 미국의 이익 증진하는 게 목적”노 지명자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규모에 관한 자신의 의견도 밝혔다.
그는 ”주한미군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하도록 태세를 갖추고 배치돼 있다“며 ”현 안보 환경에 적절히 초점을 맞추도록 한국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군의 전 세계적 태세는 미국이 유사시에 최적의 태세를 갖추고, 우리의 동맹·파트너들이 그들 자신의 안보에 적절히 투자하도록 지속해 재평가된다“면서 ”모든 지역의 위협에 대해 한반도에서의 미군 인원이 적절히 조정되도록 지휘부 및 국방부 군 지휘관들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존 노 미국 국방부 인태 안보차관보 지명자. 미 국방부 제공
한국계인 노 지명자는 지난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직에 지명됐다.
인태 지역의 안보 정책과 전략을 담당하는 인태 안보 차관보가 담당하는 국가에는 남북한과 중국, 대만,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이 포함된다.
스탠퍼드대 로스쿨 출신인 그는 변호사와 연방 검사로 근무했으며, 미 육군 장교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보병 소대를 이끌기도 했다. 국방부 근무 전에는 미국 하원의 중국특위에서 일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