働き口がないと言って社会が私たちを助けてあげない. 絶望しても手を出してくれる人はいない. 結局生き残りのために, 私たちは自ら働き口を作らなければならない.
不法的な働き口, 例えばカンボジアで現われるスケムみたいなことも結局誰かが作り出したから存在することができた. こんな詐欺を働く企業が成長した背景には青年就職難があり, 社会の弱点を掘り下げた事業だったことだ.
技術発展とパラダイムが変われば過去好況だった大型マートさえ門を閉めていることもそんなことをよく見せてくれる.
実際働き口大部分は経験を積んで創業を通じて作られる. 就業はそんな人々に少しの対価を受けて働く方式であるだけだ. 最初に完璧に安定的な働き口は存在しない. 私たちは自ら機会を作って, 自ら生存戦略を設計しなければならない.
<iframe width="315" height="576" src="https://www.youtube.com/embed/hvHvVKiV_kU" title="중국 청년실업 대란"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일자리가 없다고 해서 사회가 우리를 도와주지 않는다. 절망해도 손 내밀어 줄 사람은 없다. 결국 살아남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불법적인 일자리, 예를 들어 캄보디아에서 나타나는 스캠 같은 것도 결국 누군가가 만들어냈기에 존재할 수 있었다. 이런 사기를 치는 기업이 성장한 배경에는 청년 취업난이 있으며, 사회의 약점을 파고든 사업이었던 것이다.
기술 발전과 패러다임이 바뀌면 과거 호황이었던 대형 마트 조차 문을 닫고 있는 것도 그런 것을 잘 보여준다.
실제 일자리 대부분은 경험을 쌓고 창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취업은 그런 사람들에게 조금의 대가를 받고 일하는 방식일 뿐이다. 애초에 완벽하게 안정적인 일자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스스로 기회를 만들고, 스스로 생존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