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朝鮮牽制よりは中国牽制意味が強いのだ.
当たります.
韓国の 核推進潜水艦(核兵器搭載ではない, 原子炉推進方式の潜水艦) 開発論議は 表面積には北朝鮮のザムスハムバルサタンドミサである(SLBM) 脅威対応を立てるものの, 実際戦略的脈絡では 中国牽制の意味がずっと強いです.
理由を具体的に整理すれば次の通りです.
1. 作戦持続性と範囲の差
-
**ディーゼル潜水艦(在来式)**はバッテリーや AIP(空気ドルです推進) 技術を書いても 作戦長続き時間が短くて活動半径が制限になります.
-
一方, 核推進潜水艦は燃料普及なしに数ヶ月以上潜航可能なので
東支那海, 南支邦海, 台湾海峡, 甚だしくは太平洋奥深い所まで長期作戦可能
→ すなわち, 中国海軍の活動領域を追跡して牽制することができる唯一の手段です.
2. 中国の海洋進出牽制
-
中国はもう **094兄さん, 096兄さん(型)戦略核潜水艦(SSBN)**科 **093兄さん攻撃型核潜水艦(SSN)**を保有しているし,
海軍力の中心を西太平洋で拡張の中です. -
韓国が核潜りすることを保有すれば,
中国潜水艦の 大韓海峡及び済州南方海域通過監視,
東支那海及び西太平洋航路遮断作戦が可能になります.
おこる **米・日・オーストラリアとの安保協力(事実上の ‘準 AUKUS’ 役目)**江戸寄与することができます.
3. アメリカとの戦略調律
-
アメリカは韓国の核兵器搭載には否定的だが,
核推進潜水艦(非核武装型) 保有は 中国牽制用全力補完で日程部分認める雰囲気です. -
特に 韓米日情報共有体系と米海軍のデザムゾンネットワーク 中で韓国の原蚕は
中国海軍追跡・情報収集任務を担当する役目で意味があります.
4. 北朝鮮牽制は付随的效果
-
北朝鮮の潜水艦全力は大部分 在来式潜水艦であり,
監視・探知にはもう 公衆・地上・受賞資産で充分に対応可能します. -
したがって核潜りすることが北朝鮮専用全力では 非效率的です.
むしろ 対中国海洋監視・牽制用が戦略的に妥当です.
結論
韓国核潜水艦の実質的目標は
“北朝鮮対応の名分の下, 中国海軍の太平洋進出を抑制して見張る戦略資産確保”
すなわち, 中国牽制目的が核心であり, 北朝鮮対応は政治的名分に近いです.
북한 견제 보다는 중국 견제 의미가 강한 것이다.
맞습니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핵무기 탑재가 아닌, 원자로 추진 방식의 잠수함) 개발 논의는 표면적으로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위협 대응을 내세우지만, 실제 전략적 맥락에서는 중국 견제의 의미가 훨씬 강합니다.
이유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작전 지속성과 범위의 차이
-
**디젤 잠수함(재래식)**은 배터리나 AIP(공기불요 추진) 기술을 쓰더라도 작전 지속시간이 짧고 활동 반경이 제한됩니다.
-
반면, 핵추진 잠수함은 연료 보급 없이 수개월 이상 잠항 가능하므로
➤ 동중국해, 남중국해, 대만 해협, 심지어 태평양 깊숙한 곳까지 장기 작전 가능
→ 즉, 중국 해군의 활동 영역을 추적하고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입니다.
⚔ 2. 중국의 해양 진출 견제
-
중국은 이미 **094형, 096형 전략핵잠수함(SSBN)**과 **093형 공격형 핵잠수함(SSN)**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군력의 중심을 서태평양으로 확장 중입니다. -
한국이 핵잠수함을 보유하면,
➤ 중국 잠수함의 대한해협 및 제주 남방 해역 통과 감시,
➤ 동중국해 및 서태평양 항로 차단 작전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미·일·호주와의 안보 협력(사실상의 ‘준 AUKUS’ 역할)**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3. 미국과의 전략 조율
-
미국은 한국의 핵무기 탑재에는 부정적이지만,
핵추진 잠수함(비핵무장형) 보유는 중국 견제용 전력 보완으로 일정 부분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
특히 한미일 정보공유 체계와 미 해군의 대잠전 네트워크 안에서 한국의 원잠은
중국 해군 추적·정보 수집 임무를 담당하는 역할로 의미가 있습니다.
🧭 4. 북한 견제는 부수적 효과
-
북한의 잠수함 전력은 대부분 재래식 잠수함이며,
감시·탐지에는 이미 공중·지상·수상 자산으로 충분히 대응 가능합니다. -
따라서 핵잠수함이 북한 전용 전력으로는 비효율적입니다.
오히려 대중국 해양 감시·견제용이 전략적으로 타당합니다.
✅ 결론
한국 핵잠수함의 실질적 목표는
“북한 대응의 명분 아래, 중국 해군의 태평양 진출을 억제하고 감시하는 전략 자산 확보”
즉, 중국 견제 목적이 핵심이며, 북한 대응은 정치적 명분에 가깝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