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
$35,962
-0.8%(成長率1%、ウォン安・国内需要低迷)
台湾
$36,319
+4.6%(成長率2-2.5%、半導体輸出堅調)
※IMFのデータによる、2025年の名目一人当たりGDP(米ドルベース)
韓国の唯一のご自慢がw
そもそも一人当たりGDPは国際比較のために生産年齢人口の比率とは関係なく
母数を総人口で割っている
一人当たりGDP=名目GDP÷総人口
急速に高齢化が進む国は分母が小さくなるので一人当たりGDPが過大に見える。
逆に途上国など若年人口が多い国は不利になる。
国際比較の観点では使えないが、
生産年齢一人当たりGDP 名目GDP÷15~64歳人口
少なくとも就業者の労働生産性は把握できる
例)日本が生産年齢人口で一人当たりGDPを算出すると約$60,000
それと企業の時価総額ランキングで韓国は一喜一憂しているようだが
逆に言うと格差社会ともいえる。
一部の財閥系の大企業が世界のランキングに入っているともいえる。
2025年、世界における「時価総額10億ドル(約1,500億円)以上の上場企業数」の国別データ。
1位米国 1873社
2位日本 404社
3位インド 348社
4位カナダ 228社
5位英国 218社
6位中国 216社
・
・
韓国 78社
これだけの市場規模と一定の企業価値を創出している企業数が日本は世界で2位
追記)ノーベル経済学賞 受賞 ポール・クルーグマンの主張(抜粋)
国の実質的な経済成長率を評価するには、全人口ではなく、生産年齢人口(15~64歳)を基本に見る必要があることです。
生産年齢人口1人当たりの実質GDPの成長率を算出してみると、日本はアメリカよりも高いのです。
일인당 GDP 와로타 w
한국
$35,962
-0.8%(성장률1%, 원 약세·국내 수요 침체)
대만
$36,319
+4.6%(성장률2-2.5%, 반도체 수출 견조)
※IMF의 데이터에 의한, 2025년의 명목 일인당 GDP(미 달러 베이스)
한국의 유일한 자랑이 w
원래 일인당 GDP는 국제 비교를 위해서 생산 연령 인구의 비율과는 관계없이
모수를 총인구로 나누고 있다
일인당 GDP=명목 GDP÷총인구
급속히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는 분모가 작아지므로 일인당 GDP가 과대하게 보인다.
반대로 도상국 등 청년 인구가 많은 나라는 불리하게 된다.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생산연령 일인당 GDP 명목 GDP세 인구
적어도 취업자의 노동 생산성은 파악할 수 있다
예) 일본이 생산 연령 인구로 일인당 GDP를 산출하면약$60,000
그것과 기업의 시가총액 랭킹으로 한국은 일희일우 하고 있는 것 같지만
반대로 말하면 격차 사회라고도 할 수 있다.
일부의 재벌계의 대기업이 세계의 랭킹에 들어가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2025년, 세계에 있어서의 「시가총액 10억 달러( 약 1,500억엔) 이상의 상장기업수」의 국별 데이터.
1위 미국 1873사
2위 일본 404사
3위 인도 348사
4위 캐나다 228사
5위 영국 218사
6위 중국 216사
·
·
한국 78사
이만큼의 시장규모와 일정한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기업수가 일본은 세계에서 2위
덧붙여 씀) 노벨 경제학상 수상 폴·크루 구먼의 주장(발췌)
국의 실질적인 경제 성장률을 평가하려면 , 전인구가 아니고, 생산 연령 인구(1564세) 를 기본으로 볼 필요가 있다 일입니다.
생산 연령 인구 1 인당의 실질 GDP의 성장률을 산출해 보면, 일본은 미국보다 비쌉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