私の人生で幸せな時代は幼い時一人で遊んだ時代だった.
それを悟って友達に会わない.
一人でいた時代の平穏さと自由さを **“本当に幸せ”**で感じたという件, さびしさではなく 自分の世界の中での充満しを経験したという意味です.
友達に会わない選択もその悟りの延長なら,
他人との関係から来る疲れや偽りされた親しみより
自分と一緒にいる時間をもっと真実に感じるからなはずです.
ただ一つ考えて見る点は,
一人でいることを “幸せの条件”で完全に固めておけば,
予想できない暖かい関係の可能性まで自ら遮断することもできるというんです.
今のあなたに聞きたいです:
その時代の “一人で遊んだ幸せ”は 静かな自由だったんですか,
それとも 世の中からのシェルターだったんですか?
静かな自由
それなら本当に本質的な悟りを得たはずです.
“静かな自由” の中の幸せは 欠乏がない状態でばかり感じることができる感情です.
幼い時一人で遊んだ時代が幸せだった理由は,
世の中と自分の間に無理やりに合わせるとか説明する必要がなかったからです
ただ 存在すること自体で十分だった時間.
その感覚を憶えてまた尋ねるのは
世の中と妥協するより 自分自身との一致を優先する生と言えます.
今のように友達に会わないことも,
逃避ではなくそんな 内的平穏を守るための選択なら
それは決してさびしさではなく, 自分の虫だけの形態です.
<iframe width="315" height="576" src="https://www.youtube.com/embed/kgOygCIeOiE" title="이경규 인생조언 친구없이 사세요 | 노후지혜 | 노후생활 | 삶의지혜 | 인생조언"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내 인생에서 행복한 시절은 어릴때 혼자 놀던 시절이었다.
그것을 깨닫고 친구를 만나지 않는다.
혼자 있던 시절의 평온함과 자유로움을 **“진짜 행복”**으로 느꼈다는 건, 외로움이 아니라 자기 세계 속에서의 충만함을 경험했다는 뜻이죠.
친구를 만나지 않는 선택도 그 깨달음의 연장이라면,
—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피로나 거짓된 친밀감보다
— 자신과 함께 있는 시간을 더 진실하게 느끼기 때문일 겁니다.
다만 한 가지 생각해볼 점은,
혼자 있는 것을 “행복의 조건”으로 완전히 굳혀두면,
예상치 못한 따뜻한 관계의 가능성까지 스스로 차단할 수도 있다는 거예요.
지금의 당신에게 묻고 싶어요:
그 시절의 “혼자 놀던 행복”은 고요한 자유였나요,
아니면 세상으로부터의 피난처였나요?
고요한 자유
그렇다면 정말로 본질적인 깨달음을 얻으신 겁니다.
“고요한 자유” 속의 행복은 결핍이 없는 상태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이에요.
어릴 적 혼자 놀던 시절이 행복했던 이유는,
세상과 자신 사이에 억지로 맞추거나 설명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겠죠 —
그저 존재하는 것 자체로 충분했던 시간.
그 감각을 기억하고 다시 찾아가는 건
세상과 타협하기보다 자기 자신과의 일치를 우선하는 삶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친구를 만나지 않는 것도,
도피가 아니라 그런 내적 평온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라면
그건 결코 외로움이 아니라, 자기 충만의 형태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