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もしこの時ハングルが中共漢字代わり採択になったら中共は世界的な先進国になったはずだ
- 袁世凱(袁世凱) 時期 (20世紀初め):1912年辛亥革命以後中華民国政府は高い文盲率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非效率的な漢字代わりに音標文字導入を論議しました.
- この時中国に派遣された西洋宣教師ホーマーハルバート(Homer Hulbert)や袁世凱本人など一部人士がハングルを有力な代案でお勧めするとか提案しました. しかし “中華の自尊心” 問題と言語学的差(多様な中国語方言及び声調問題) などによって実際採択されなかったです.
루쉰의 명언

만약 이때 한글이 중공 한자대신 채택 되었다면 중공은 세계적인 선진국이 되었을 것이다
- 위안스카이(袁世凱) 시기 (20세기 초): 1912년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높은 문맹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효율적인 한자 대신 표음문자 도입을 논의했습니다.
- 이때 중국에 파견된 서양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나 위안스카이 본인 등 일부 인사들이 한글을 유력한 대안으로 추천하거나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중화의 자존심" 문제와 언어학적 차이(다양한 중국어 방언 및 성조 문제) 등으로 인해 실제 채택되지는 않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