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日小物】韓国の李在明政権、
北東アジア3カ国の表記順を
「韓中日」で統一する方針を決めた
韓国の李在明政権が北東アジア3カ国の表記を「韓中日」に統一へ。
尹錫悦政権では「韓日中」と混用されていたが、日本の前に中国を置く表記へ回帰。
李政権は中国との関係改善を重視しており、「対中融和・対日強硬」との見方も。
聯合ニュース
・韓国政府が「韓中日」表記に統一。
・尹政権は「韓日中」に寄せていたが、李在明政権で中国優先の順序に戻る。
・対中融和のメッセージと指摘され、日本への距離が再び開く構図。
・李大統領は習近平主席と会談し「全面回復」を強調。
・「理念外交をやめる」と説明する一方、中国寄り姿勢が際立つ。
表記順の「韓中日」統一は、一見すると小さな話に見えるが、
実際は韓国の外交針路がどこに寄せられるかを如実に示す指標だ。
特に李在明政権は発足直後から「対中改善」を最優先テーマに掲げており、
今回の決定もその延長線上にある。
尹政権は日米との安全保障連携を重視し、
中国と距離を置く外交を志向していた。
しかし李政権に代わってからは明確に中国へ“傾き直し”。
しかも「対日強硬」という国内政治向けの姿勢まで重ねている。
表記順ごときで揉める国とは言いたくないが、
韓国では対日カードとしての「順序変更」は昔からよく使われる手法で、
今回も中国へのアピールと国内支持固めの両面が透けて見える。
日本側としては、今回の変化が安全保障協力にも影響するのかを注視する必要がある。
特に台湾海峡の緊張が高まる中、
日米韓の連携が緩むような方向に韓国が動く場合、
地政学的リスクが跳ね上がる。
李政権が「実用外交」と説明しているものの、
結果的に中国寄りへ戻しただけという見方が国際的には支配的だ。
日本としては、むしろ日米・台湾との連携強化をさらに加速し、
韓国の動きに振り回されない安保体制を固めるのが現実的だろう。
【반일 소품】한국의 이재명정권,
북동 아시아 3개국의 표기순서를
「한중일」로 통일할 방침을 결정했다
한국의 이재명정권이 북동 아시아 3개국의 표기를 「한중일」에 통일에. 윤 주석기쁨 정권에서는 「한일중」이라고 혼용되고 있었지만, 일본의 앞에 중국을 두는 표기에 회귀. 이 정권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중시하고 있어, 「대 중국 융화·대일 강경」이라는 견해도. 연합 뉴스
·윤정권은 「한일중」에 대고 있었지만, 이재명정권으로 중국 우선의 순서로 돌아온다.
·대 중국 융화의 메세지라고 지적되어 일본에의 거리가 다시 여는 구도.
·이 대통령은 습긴뻬이 주석과 회담해 「전면 회복」을 강조.
·「이념 외교를 그만둔다」라고 설명하는 한편, 중국 가까이 자세가 두드러진다.
윤정권은 일·미와의 안전 보장 제휴를 중시해, 중국과 거리를 두는 외교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정권에 대신하고 나서는 명확하게 중국에“기울어 수선”. 게다가 「대일 강경」이라고 하는 국내 정치 전용의 자세까지 거듭하고 있다.
표기순서마다 나무로 비빌 수 있는 나라라고는 말하고 싶지 않지만, 한국에서는 대일 카드로서의 「순서 변경」은 옛부터 잘 사용되는 수법으로, 이번도 중국에의 어필과 국내 지지 굳혀의 양면이 비쳐 보인다.
일본측으로서는, 이번 변화가 안전 보장 협력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만 해협의 긴장이 높아지는 중, 일·미·한의 제휴가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한국이 움직이는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가 튄다.
이 정권이 「실용 외교」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중국 가까이에 되돌린만큼이라고 하는 견해가 국제적으로는 지배적이다. 일본으로서는, 오히려 일·미·대만과의 제휴 강화를 한층 더 가속해, 한국의 움직임에 좌지우지되지 않는 안보 체제를 굳히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