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との外交摩擦は、就任からわずか1カ月の高市早苗首相にとって望むところではなかったかもしれない。
だが、トランプ米大統領の来日やクマ被害の増加といったニュースが続く中で、台湾に関する高市氏の発言を受けた中国側の対応ほど、国内世論を結束させる要因はない。
発端は、中国の薛剣駐大阪総領事がX(旧ツイッター)に投稿した「勝手に突っ込んできたその汚い首は一瞬のちゅうちょもなく斬ってやるしかない。覚悟ができているのか」という脅しだ。
これに加え、中国外務省のX公式アカウントには「台湾問題で火遊びをするな」「火遊びをすれば必ず身を滅ぼす」といった警告が並び、中国人民解放軍の機関紙「解放軍報」は「国全体が戦場となる危険がある」と論じた。皮肉なことに、中国は日本側が「過激で脅迫的な発言」をしたとして抗議している。
北朝鮮のミサイル発射と同様に、日本の世論はかつてなら衝撃を受けたであろう中国の威嚇的な言葉に慣れてしまっている。日本国内のネット上では中国外務省をやゆする投稿が相次ぎ、攻撃的な表現をちゃかす動きも出ている。
高市氏は7日の国会答弁で、台湾有事が日本にとって「存立危機事態」になり得ると述べた。その後の世論調査では、すでに歴史的な高水準にあった内閣支持率がさらに上昇した。ただし、台湾有事に日本が関与すべきかどうかについては意見が分かれている。
石破茂前首相に対して中国が展開した「融和攻勢」に加え、人気キャラクター「ラブブ」や電気自動車(EV)の比亜迪(BYD)など中国ブランドが浸透したこの1年を振り返れば、中国が日本最大の貿易相手国でありながら、その関係がいかに移ろいやすいかを改めて思い知らされる。
高市氏は今回の事態を、自らの政策推進に生かすこともできる。外国人による不動産購入の容易さを懸念する声が高まる中、中国人投資家への規制強化を求める世論も根強い。
緊張がさらに高まれば、高市氏がこれまで外交的配慮から避けてきた靖国神社参拝に踏み切る理由も生まれるかもしれない。同氏は過去には参拝の意向を明言していた。
高市氏はすでに「非核三原則」から距離を取り始めており、小泉進次郎防衛相は韓国が導入を検討する原子力潜水艦の保有を日本も検討すべきだと示唆している。
核保有国の中国が脅迫的な言葉を投げかけている今こそ、日本の核政策を巡る議論を始める好機とも言える。今回の日中摩擦は日米関係を一層緊密にし、米国のグラス駐日大使は日本防衛への米国の揺るぎない関与を力強く再確認した。
高市政権の立ち位置
英語圏メディアでは「言葉の応酬」や「対立エスカレート」といった見出しで日中双方に非があるかのように描かれることが多い。
しかし、示されている敵意は圧倒的に一方的なものであり、その結果、高市氏は「急進的」「超保守的」としばしば批判されてきた印象が薄れ、むしろ穏健で現実的な政治家として映り始めている。
高市氏の発言はアドリブだった可能性もあるが、誰もが暗黙のうちに理解していた現実、すなわち、中国が台湾に軍事介入した場合、日本も必然的に巻き込まれ得るという前提をはっきりと述べたに過ぎない。
また、中国政府が自国民に日本への渡航自粛を呼びかけたものの、治安の良さで知られる日本で中国人旅行者や留学生が危険にさらされると考える人はほとんどいない。
むしろ昨年、中国で日本人が襲撃される事件が相次いだことを思えば、眉をひそめるしかない。
日本を先月訪れたトランプ氏の隣に立った高市氏は、経験の浅さを指摘されながらも堂々たる女性政治家の風格を見せた。こうした侮辱を交えた暴力的な脅しほど、保守的なリーダーを現実的で頼れる存在に見せるものはない。
問題は、中国の激しい反応が日本にどれほどの影響を及ぼすかだ。これまでに焦点となっているのは観光だ。中国本土からの訪日観光客は韓国に次ぎ2番目に多い。
しかし、この懸念はやや誇張されている可能性もある。2013年に当時の安倍晋三首相が靖国神社を参拝した際にも同様の不安が広がったが、その後の数カ月で中国からの訪日客は増加した。
中国が10年代半ばに韓国との対立したときのように、観光を経済的な報復の手段として利用する可能性はあるが、それでも、かえって好都合かもしれない。訪日客急増による「観光公害」とも言える過密状態に悩まされているのが今の日本だ。
日本にとって真の脅威となるのは、中国が過去にも行ったように、貿易制限などさらに踏み込んだ報復措置に出た場合だ。
強硬姿勢を取ったことで、中国は自ら軟着陸する余地をほぼ失った。結果的に、高市政権の立ち位置を明確にする手助けをすることになるのかもしれない。

중국과의 외교 마찰은, 취임으로부터 불과 1개월의 타카이치 사나에 수상에 있어서 바라는 곳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트럼프 미 대통령의 일본 방문이나 곰 피해의 증가라고 하는 뉴스가 계속 되는 가운데, 대만에 관한 타카이치씨의 발언을 받은 중국측의 대응(정도)만큼, 국내 여론을 결속 시키는 요인은 없다.
발단은, 중국의 설검주오사카 총영사가 X( 구트잇타)에 투고한 「마음대로 돌진해 온 그 더러운 목은 일순간의 주저도 없게 베어 줄 수 밖에 없다.각오가 되어 있는 것인가」라고 하는 위협이다.
이것에 가세해 중국 외무성의 X공식 어카운트에는 「대만 문제로 불장난을 하지 말아라」 「불장난을 하면 반드시 신세를 망친다」라고 한 경고가 줄서, 중국 인민 해방군의 기관지 「해방군보」는 「나라 전체가 전장이 되는 위험이 있다」라고 논했다.짓궂은 일로, 중국은 일본측이 「과격하고 협박적인 발언」을 했다고 해서 항의하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같게, 일본의 여론은 일찌기라면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중국의 위협적인 말에 익숙해 버려 있다.일본내의 넷상에서는 중국 외무성을 야유하는 투원고가 잇따라, 공격적인 표현을 얼버무리는 움직임도 나와 있다.
타카이치씨는 7일의 국회답변으로, 대만 유사가 일본에 있어서 「존립 위기 사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그 후세 논조사에서는, 벌써 역사적인 고수준에 있던 내각 지지율이 한층 더 상승했다.다만, 대만 유사에 일본이 관여해야할 것인가 어떤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전수상에 대해서 중국이 전개한 「융화 공세」에 가세해 인기 캐릭터 「라브브」나 전기 자동차(EV)의 비아적(BYD) 등 중국 브랜드가 침투한 이 1년을 되돌아 보면, 중국이 일본 최대의 무역 상대국이면서, 그 관계가 얼마나 변화나 수박을 재차 생각해 알게 된다.
타카이치씨는 이번 사태를, 스스로의 정책 추진에 활용할 수도 있다.외국인에 의한 부동산 구입의 용이함을 염려하는 소리가 높아지는 중, 중국인 투자가에게의 규제 강화를 요구하는 여론도 뿌리 깊다.
긴장이 한층 더 높아지면, 타카이치씨가 지금까지 외교적 배려로부터 피해 온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단행하는 이유도 태어날지도 모른다.동씨는 과거에는 참배의 의향을 명언하고 있었다.
타카이치씨는 벌써 「비핵 삼원칙」으로부터 거리를 취하기 시작하고 있어 코이즈미 신지로 방위상은 한국이 도입을 검토하는 원자력 잠수함의 보유를 일모`{도 검토해야 한다면 시사하고 있다.
핵 보유국의 중국이 협박적인 말을 던지고 있는 이제야말로, 일본의 핵정책을 둘러싼 논의를 시작하는 호기이나 말할 수 있다.이번 일중 마찰은 일·미 관계를 한층 긴밀히 해, 미국의 그라스 주일대사는 일본 방위에의 미국의 확고 부동한 관여를 강력하게 재확인했다.
타카이치 정권의 서 위치
영어권미디어에서는 「말의 응수」나 「대립 에스컬레이트」라는 표제로 일중 쌍방으로 죄가 있는 것 같이 그려지는 것이 많다.
그러나, 나타나고 있는 적의는 압도적으로 일방적인 것이며, 그 결과, 타카이치씨는 「급진적」 「초보수적」이라고 자주 비판되어 온 인상이 희미해져 오히려 온건하고 현실적인 정치가로서 비치기 시작하고 있다.
타카이치씨의 발언은 애드립이었던 가능성도 있지만, 누구나가 암묵중에 이해하고 있던 현실, 즉, 중국이 대만에 군사 개입했을 경우, 일본도 필연적으로 말려 들어갈 수 있다고 하는 전제를 분명히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에의 도항 자숙을 호소했지만, 치안의 좋은 점으로 알려진 일본에서 중국인 여행자나 유학생이 위험하게 접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오히려 작년, 중국에서 일본인이 습격되는 사건이 잇따른 것을 생각하면, 눈살을 찌푸릴 수 밖에 없다.
일본을 지난 달 방문한 트럼프씨의 근처에 선 타카이치씨는, 경험이 부족함을 지적되면서도 당당한 여성 정치가의 풍격을 보였다.이러한 모욕을 섞은 폭력적인 위협(정도)만큼, 보수적인 리더를 현실적이고 의지할 수 있는 존재에 보이는 것은 없다.
문제는, 중국의 격렬한 반응이 일본에 얼마나의 영향을 미칠까다.지금까지 초점이 되고 있는 것은 관광이다.중국 본토로부터의 방일 관광객은 한국에 뒤이어 2번째로 많다.
그러나, 이 염려는 약간 과장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2013년에 당시의 아베 신조 수상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을 때에도 같은 불안이 퍼졌지만, 그 후의 수개월에 중국으로부터의 방일객은 증가했다.
중국이 10년대 중반에 한국과의 대립했을 때와 같이, 관광을 경제적인 보복의 수단으로서 이용할 가능성은 있다가, 그런데도, 오히려 형편상 좋을지도 모른다.방일객 급증에 의한 「관광 공해」라고도 말할 수 있는 과밀 상태에 골치를 썩이고 있는 것이 지금의 일본이다.
일본에 ?`트 진정한 위협이 되는 것은, 중국이 과거에도 간 것처럼, 무역 제한등 한층 더 발을 디딘 보복 조치하러 나왔을 경우다.
강경 자세를 취한 것으로, 중국은 스스로 연착륙하는 여지를 거의 잃었다.결과적으로, 타카이치 정권의 서 위치를 명확하게 하는 도움을 주게 될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