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여기 한국 사이트에 기웃기웃 하는가?
여기 열등한 일본인들은 오지마라.
한반도계 도래인과 재일동포는 환영한다.
거울을 보면 자신의 조상을 알수 있을것이다.
대다수 피부색 어둡고 작은 일본인은 여기 오지마라.
역사, 문화, 인종적인 열등감을 감추려고
순진한 한국인들을 세뇌시키려고 하지마라.
1등급 : 천왕 , 일본 상류층(정치가, 부자, 청왕, 사무라이, 학자, 기술자, 예술가..)
일본의 신분은 대부분 세습되며 2000년전부터 한국에서 건너온 도래인이 지배계층으로
현재 일본을 지배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도래인은 재일이다.
2등급 : 일본 본토의 원주민 대부분 일본인(키가 작고 피부 어둡다)이며 한국인(지배계층)에 대한 열등감과
피해의식으로 혐한을 하고 있다
***************************************************************
과일 스시
불고기, 카레라이스, 굴 후라이, 돈까스, 탕수육, 오므라이스, 등. 어느 것도 대단히 소꿉친구가 있는 메뉴만입니다만, 이것들의 起源은 모두 외국에 있습니다. 우리들은 「일식」에 구애될 일 없고, 세계의 대표 요리를 차례로 채용, 식탁은 마치 무국적 요리의 모양입니다. 메이지 유신부터 약100년째, 일본은 세계에서도 유례없는 식생활의 변화를 이룩했다고도 말해지고 있습니다.
이웃나라 중국이나 한국에는 이런 메뉴는 눈에 띄지 않고, 전통적인 자국요리를 가정內外에 관계 없이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 구미인에 의해 식민지化된 동남 아시아 諸國의 현재의 식생활에서도, 필리핀을 예외로 하면, 구미 起源의 요리가 일본 정도 일상의 식탁에 오르는 곳은 없습니다.
왜 이 정도까지 일본의 食은 「무국적化」해 버렸습니까? 전통적인 일본 음식의 존재는? 그리고 일본 음식의 변용은 언제까지, 어떻게 계속되어 갑니까?
세계의 식문화에 자세한 문화 인류학자 이시게 나오미치(石毛直道) 선생님은, 일본 음식의 이 심한 변용에 대해서, 「무국적化 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일본 음식을 만들고 있는 과정에 있는 상태」라고 분석합니다.
「전통적인 일본 요리는, 세계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해 왔습니다. 대부분의 나라에 있어서 고기는 메인요리이며 사치품이며, 영양적 으로도 미각적 으로도, 중심적인 존재. 그러나 일본은, 텐무(天武) 천황(재위673∼686)이 『육식 금지』의 포고를 낸 이래 메이지(明治) 유신까지, “고기를 먹지 않는다”라는, 세계에서도 드문 taboo食을 만들어 버렸습니다. 1200년이라는 오랫동안, 육식이 금지되어 왔기 때문에, 메이지(明治)시대에 들어 육식이 해금 되었을 때부터, 지금까지의 결핍한 부분이 있는, 식(食)문화를 보충해 다시 만드는 작업이, 새롭게 시작되었다고도 말할 수 있는 셈입니다.
- 중략 -
***************************************************************
한류(韓流)와 혐한류(嫌韓流) 사이
한류와 일류(日流)가 부딪칠 때 혐한류가
장팔현 박사
요즈음 일본에서는 혐한류가 거세가 불고 있다. 가히 A급 태풍 ‘나비’를 능가하지 않나 우려된다. 이는 일본인들이 유전적으로 가지는 한국.한국인들에 대한 이미지로 ‘우월성’과 ‘콤플렉스’라는 양면성의 또 다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인들이 한국.한국인들로부터 우월성을 느낄 때는 혐한류(嫌韓流)가 유행하고, 반대로 콤플렉스를 느낄 때는 한국문화를 좋아하고 동경하는 한류(韓流)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2천년 전 한일 양국의 역사전개로부터 유전되어 이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21세기 들어 최근의 한일관계는 바로 일본인들이 느끼는 대 한국.한국인에게서 느끼는 복잡한 이중성의 표현으로 한류와 혐한류가 동시에 흐르고 있을 뿐이다. 아니 혐한류는 한류에 대해 일본 우익세력들이 느끼는 시기와 질투와 억지, 그리고 패배감과 자학(自虐)의 표출에 다름 아니다.
일본우익세력들이 일본의 서민 대중들이 한류에 빠지는 것을 보고 본능적이고도 방어적인 입장으로부터 나오는 단말마와도 같은 최후의 “한국.한국인 싫어!”라는 속내의 표현이다. 이는 바로 아시아의 평화와 역사교육 연대 서중석 상임 공동대표가 8월7일 CBS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에 나와 인터뷰하면서 일본의 대표적 우익단체인 새역모가 기본적으로 “한국은 “열등국가”이자, 중국의 “속국””이라 말했듯이 ‘한국은 일본만 못하다’는 인식으로부터 나오는 한류 붐 속에서 나오는 불편한 속내의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아니, 점점 경제, 문화면에서 격차가 좁혀짐은 물론 오히려 한국문화가 일본문화를 압도하는 현상 속에서 일본우익세력들이 인위적으로 반한(反韓)바람을 일으킬 목적으로 일본국민들에게 일부러 혐한류를 퍼트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본에서 불고있는 혐한류에 대하여 간단히 밝혀보고자한다.
1.현대의 혐한류(嫌韓流)는 한류에 대한 강한 반발의식
일본에서 혐한바람은 네 번째 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고대 아스카시대가 열리기 전의 신도파인 모노노베씨에 의한 것이요, 두 번째는 여.몽연합군에 의한 두 번에 걸친 일본침공 의해 일던 것이다.
세 번째는 에도막부에 의해 일던 한류가 그치고 메이지유신이 일면서 시골무사들에 의해 정한론이 일 때 혐한바람도 동시에 거세게 불었고, 네 번째는 현재 불고 있는 ‘한류’의 반작용으로 일어나고 있는 혐한론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극우인사들에 의한 망언을 종합세트로 구성한 만화 ‘혐한류’가 아닌가 한다. 그러니 한류와 혐한류는 동전의 앞과 뒤처럼 붙어 있는 것으로 항상 따라다닌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한국에서도 멀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부터 가까이는 일제시대를 겪으면서 ‘일본을 무조건 싫어하는’ 혐일류(嫌日流)가 불고 있음도 부정할 수 없다. 이는 우리 선조들이 겪은 토요토미에 의한 조선 침략과 할아버지, 아버지 세대가 직접 혹독한 일제 치하를 겪으면서 조금의 과장을 보탰을지라도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는 혐일류라는 점이다.
일제에 의해 강압적으로 위안부로 징용으로 징병으로 끌려갔고, 거기서 피지배민족으로서 겪은 모진 비인간적 모욕을 바탕으로 혐일류가 분 것이니, 일본에서 이는 혐한류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피해자인 우리가 가진 혐일류와 가해자인 일본이 도모하는 혐한류가 같을 수는 없는 것이다.
이의 원인도 모르고 일본인들이 혐일류를 무조건 반대하여 혐한류로 대처한다면 이는 현재 일고 있는 표피적 현상만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요, 일제가 저지른 만행에 대하여는 침묵하면서 그 원인은 알려고도 연구도 않고 일본의 책임만 회피하고 있는 꼴이다.
고대의 혐한류는 정치가가 중심이 되어 이끌었고, 이러한 혐한 바람은 ‘일본서기’에 칠지도가 백제로부터의 하사품인데도 불구하고 헌상품으로 둔갑되고, 삼한을 신공황후가 정벌했다는 허무맹랑한 역사왜곡으로 기술되어 오늘날까지도 한일관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중세 여.몽연합군에 의한 일본침공으로 불기 시작한 혐한류는 막부와 민간 모두가 느끼던 것이었다. 당시 대륙과 반도의 양국에서 차출된 일본 침공군은 쓰시마(대마도)와 이키(壹岐)섬을 휩쓸고 북 큐슈(北九州) 지역마저 살육의 도가니로 만드니, 이때 일본인들이 느끼던 공포심과 증오심은 대단했던 것 같다.
양국의 침략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본 일본은 두 번 다 때마침 불어준 태풍으로 원나라 지배 하에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그 참상에 대해서는 에마키(두루마리 그림) 자료로 남기어 오늘날에도 일본인들에게 혐한의 한 축으로 교육시키고 있음이다. 이러한 교육과 혐한의 바람은 곧바로 일본우익들이 한국도 일본을 침략해서 피해를 주었다는 논리를 제공해주고 있음이다.
근대 서양문물이 물밀 듯이 일본에 불어 닥치던 메이지유신기의 혐한류는 유신을 일으킨 시골무사들이 만들어 국민들에게 교육시킨 결과 지금까지도 그 맥을 유감없이 잇고 있음이니, 현재 일본에서 극우세력들을 중심으로 부는 혐한류의 근저에는 사상적으로 메이지유신기 이후 형성된 것이 주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일양국에 대한 고대사의 대한관(對韓觀:한국을 바라보는 관점)도 대개 메이지 때 확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이 아직도 일본인들의 뇌리 속을 채우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혐한류는 메이지시대와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형성된 혐한류로 ‘현대판 한류’에 대한 반작용으로 맞불 놓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내용은 요약되어 “신동아” 10월호(pp.412~418)에 “일본,왜 지금 “혐한류(嫌韓流)”인가”로 게재되어 있음을 알립니다.
궵궎궢궲궞궞궸듰뜎긖귽긣궸궢궖귟궸궻궪궖궞귒궶궕귞궥귡궔?
궞궞궸쀲뱳궶볷{릐궫궭궼뿀귡궶.
덇긏깋긚벞둉뱸뿀릐궴띪볷듰뜎릐궼듊}궥귡.
떮귩뙥귢궽렔빁궻먩멵궕뭢귡궞궴궕궳궖귡궳궢귛궎.
묈뫝릶륡댠궘궲룷궠궶 볷{릐궼궞궞뿀귡궶.
쀰럍, 빒돸, 릐롰밒궶쀲뱳뒾귩덨궩궎궴
룂릦궶듰뜎릐궫궭귩먷]궠궧귝궎궴궢궶궋궳.
1뱳땳 : 밮돞 , 볷{뤵뿬몏(맠렊됄, 뗠렃궭, `긅깛긐깗깛긐, 궠귔귞궋, 둾롌, 땆뢱롌, |뢱됄..)
볷{궻릆빁궼묈븫빁맊뢕궠귢궲 2000봏멟궔귞듰뜎궔귞뱊궯궲뿀궫뱸뿀릐궕럛봹둏몏궳
뙸띪볷{귩럛봹궢궲궋귡. 덇붥띍뗟궻뱸뿀릐궼띪볷궬.
2뱳땳 : 볷{{뱘궻뙱뢟뼬 묈븫빁볷{릐(봶궕룷궠궘궲뵩댠궋)궳궇귟듰뜎릐(럛봹둏몏)궸뫮궥귡쀲뱳뒾궴
뷀둙댰렞궳뙔듰귩궢궲궋귡
***************************************************************
됈븿롺럌
뤔볱, 긇깒[깋귽긚, 궔궖긲깋귽, 볋긇긟, 긚긳^, 긆깋귽긚, 궶궵. 궋궦귢귖궥궟궘뾠궶궣귒궕궋귡긽긦깄[궬궚궳궥궕, 궞귢귞궻 딳뙶궼둊둖뜎궸궇귟귏궥. 럡궫궭궼 걏쁝륣걐궸궞궬귦귡럷궶궘궲, 맊둉궻묆뿿뿚귩룈궸띖뾭, 륣묒궼귏귡궳뼰뜎먒뿿뿚궻귒궫궋궳궥. 뼻렊댸륷궔귞뽵100봏뽞, 볷{궼맊둉궳귖쀞쀡궶궋륣맯뒋궻빾돸귩맟궢궫궴귖뙻귦귢궲궋귏궥.
@쀗뜎뭷뜎귘듰뜎궸궼궞귪궶긽긦깄[궼뽞뿧궫궶궋궳, `뱷밒궶렔뜎뿿뿚귩됄믩볙둖궸듫똚궶궘륣귊귡궞궴궕덇붗밒궳궥. 귏궫돚뷏릐궸귝궯궲륚뼬뭤돸궸궶궯궫뱦볦귺긙귺 룘뜎궻뙸띪궻륣맯뒋궳귖, 긲귻깏긯깛귩쀡둖궸궥귢궽, 돚빫 딳뙶궻뿿뿚궕볷{륃귖볷륂궻륣묒궸뤵궕귡룋궼궶궋궳궥.
@궵궎궢궲궞궻댧귏궳볷{궻 륣궼 걏뼰뜎먒돸걐궢궲궢귏궯궫귪궳궥궔? `뱷밒궶볷{륣귊븿궻뫔띪궼? 궩궢궲볷{륣귊븿궻빾뾢궼궋궰귏궳, 궵귪궶궸뫏궋궲뛱궖귏궥궔?
@맊둉궻륣빒돸궸뤬궢궋빒돸릐쀞둾롌궓궞귡귝궎궸긥긆~궥귡궻(먐뽔뮳벞) 먩맯궼, 볷{륣귊븿궻궞궻궿궵궋빾뾢궸뫮궢궲, 걏뼰뜎먒돸 궢궲궋귡궻궳궼궶궘궲, 륷궢궋볷{륣귊븿귩띿궯궲궋귡됡믴궸궇귡륉뫴걐궴빁먏궢귏궥.
@걏`뱷밒궶볷{뿿뿚궼, 맊둉궴댾궎뺴뛀궸릋뛱궢궲뿀귏궢궫. 묈븫빁궻뜎궸궓궋궲 볱궼긽귽깛뿿뿚궳쌅샢뷼궳궇귟, 뎗{밒궳귖뼞둶밒궳귖, 뭷륲밒궶뫔띪. 궢궔궢볷{궼, 긡깛(밮븧) 밮뛠(띪댧673`686)궕 걑볱륣뗕~걒궻뺧뜍귩뢯궢궫댥뿀뼻렊(뼻렊) 댸륷귏궳, "볱귩륣귊궶궋"궴궋궎, 맊둉궳귖뮸궢궋 taboo륣귩띿궯궲궢귏궋귏궢궫. 1200봏궴궋궎뮮궋듩, 볱륣궕뗕~궠귢궲뿀궫궔귞, 뼻렊(뼻렊)렄묆궸볺궯궲볱륣궕됶뗕궸궶궯궫렄궔귞, 뜞귏궳궻뙁뻉궢궫븫빁궕궇귡, 렜(륣)빒돸귩뺚궯궲귏궫띿귡띿떾궕, 륷궢궘럑귏궯궫궴귖뙻궑귡귦궚궳궥.
- 뭷뿪 -
***************************************************************
듰뿬(듰뿬)궴뙔듰쀞(뙔듰뿬) 궻듩
뒭뿬궴덇뿬(볷뿬)궕귆궰궔귡렄뙔듰쀞궕
긗깛긐긬깑긭깈깛뵊럐
뗟뜝볷{궳궼뙔듰쀞궕땸맖궕릟궋궲궋귡. 뾆궸 A땳묇븮 갻뮦갽귩궢궻궕궶궋궕뾌뿶궠귢귡. 궞귢궼볷{릐궫궭궕댿`밒궸렃궰듰뜎.듰뜎릐궫궭궸뫮궥귡귽긽[긙궳 갻뾆뎭맜갽궴 갻긓깛긵깒긞긏긚갽궴궋궎뿼뽋맜궻귏궫뫜궻뙸궸됡궗궶궋.
볷{릐궫궭궕듰뜎.듰뜎릐궫궭궔귞뾆뎭맜귩뒾궣귡렄궼뙔듰쀞(뙔듰뿬)궕뿬뛱궯궲, 뵿뫮궸긓깛긵깒긞긏긚귩뒾궣귡렄궼듰뜎빒돸궕뛆궖궳벒귢귡듰뿬(듰뿬)궳뙸귦귢귡. 궞궻귝궎궶똛뛀궼 2먪봏궻멟듰볷뿼뜎궻쀰럍밯둎궔귞댿`궠귢궲궰궶궕궯궲궋귡뙸뤭궬.
21맊딬궸볺궯궲띍뗟궻듰볷듫똚궼귏궠궸볷{릐궫궭궕뒾궣귡귪궬궯궲듰뜎.듰뜎릐궔귞뒾궣귡븸랦궶볫뢣맜궻뙸궳뒭뿬궴뙔듰쀞궕벏렄궸뿬귢궲궋귡궬궚궬. 궋귘뙔듰쀞궼뒭뿬궸뫮궢궲볷{덭뾻맖쀍궫궭궕뒾궣귡렄딖궴밿귒궴뙵귞궦뚿, 궩궢궲봲뻢뒾궴렔땣(렔땣)궻뢯궸댶벏궳궼궶궋.
볷{덭뾻맖쀍궫궭궕볷{궻룑뼬묈뢔궕뒭뿬궸뵴궚귡궞궴귩뙥궲{밒궳뻞뚥밒궶뿧뤾궔귞뢯귡뭚뼎뻷궴귖벏궣띍뚣궻 갾듰뜎.듰뜎릐궋귘궬!갿궴궋궎볙댼뙸궬. 궞귢궼궥궙귺긙귺궻빟쁝궴쀰럍떝덄쁀뫱룍뭷먊륂봀떎벏묆궕 8뙉7볷 CBS 긘긖긗긌뜞볷궴뼻볷궸뢯궲귽깛^긮깄[궢궶궕귞볷{궻묆밒덭뾻뭖뫬궳궇귡륷궢궋쀰럍귩띿귡뢜귏귟궕딈{밒궸 갾듰뜎궼 "쀲뱳뜎됄"궴벏렄궸, 뭷뜎궻 "뫌뜎"갿궴뙻궯궫귝궎궸 갻듰뜎궼볷{궬궚궳궖궶궋갽궴뙻궎봃렞궔귞뢯귡뒭뿬긳[궻뭷궔귞뢯귡븉뺇궶볙댼뙸궸됡궗궶궋.
궋귘, 귏궥귏궥똮띙, 빒돸뽋궳둰뜼궕떣귕귞귢귡궞궴궼귖궭귣귪귔궢귣듰뜎빒돸궕볷{빒돸귩댊|궥귡뙸뤭궻뭷궳볷{덭뾻맖쀍궫궭궕릐댴밒궸뵿듰뜎(뵿듰)븮귩딳궞궥뽞밒궸볷{뜎뼬궫궭궸귦궡귦궡뙔듰쀞귩뙻궋귅귞궢궲궋귡궻궬.
궞귢궸뫮궢궲볷{궳릟궋궲궋귡뙔듰쀞궸뫮궢궲듗뭁궸긫긞긏긭깈{긕긗궥귡.
1.뙸묆궻뙔듰쀞(뙔듰뿬)궼뒭뿬궸뫮궥귡떗궋뵿뵯댰렞
볷{궳뙔듰딂궎궞궴궼럏붥뽞궓궞궯궲궋귡궴뙥귞귢귡. 덇붥뽞궼뚀묆뷅뮰렄묆궕둎궔귢귡멟궻륪뱆봦궳궇귡긾긩|긩|긹긘궸귝귡궞궴궳궇귟, 볫붥뽞궼룛.긾깛긐깉깛긪긳긐깛궸귝귡볫뱗궸궔궚궫볷{륬뛘`됶궓궞궯궫궻궬.
랳붥뽞궼]뚈뼀{궸귝궯궲궓궞궯궫뒭뿬궕~귪궳뼻렊댸륷궕궓궞귟궶궕귞밹q뼰럷궫궭궸귝궯궲밅듰_궕럅럷궻렄궻뙔듰븮귖벏렄궸뛯뛯궢궘릟궋궫궢, 럏붥뽞궼뙸띪릟궋궲궋귡 갻뒭뿬갽궻뵿띿뾭궳딳궖궲궋귡뙔듰_궬. 궩궻묆밒궶궞궴궕뗂덭궇궋궠궰궫궭궸귝귡뽒뙻귩몟뜃긜긞긣궳맟궢궫}깛긊 갻뙔듰쀞갽궳궼궶궋궔궴뙻궎. 궬궔귞뒭뿬궴뙔듰쀞궼룷멚궻멟궴뚣궻귝궎궸븊궋궲궋귡궞궴궳궋궰귖븊궖귏궴궎궴뙥귞귢귡.
귖궭귣귪듰뜎궳귖돀궘궼릔묬궻뿉궴뮍볃띚뿉궔귞뗟궘궼볷믧렄묆귩똮뙮궢궶궕귞 갻볷{귩뼰륆뙊뙔귘궕귡갽 뙔볷쀞(뙔볷뿬)궕븉뚗궇귡궻귖붬믦궥귡궞궴궕궳궖궶궋. 궞귢궼궎궭궻먩멵궫궭궕똮뙮궢궫뻃븑궸귝귡뮝멞륬뿪궴궓뽮궠귪, 궓븗궠귪맊묆궕뮳먝럄뜐궶볷믧렊돷귩똮뙮궢궶궕귞룺궢궻됛뮮귩돿궑궫궴궋궑궵귖똮뙮궔귞뢯궫궞궴궬궴궋궎뙔볷쀞궴궋궎_궬.
볷맶궸귝궯궲떗댊밒궸댱댝븏궳뮙뾭궳뮙빜궳덙궔귢궲뛱궯궫궢, 궩궞궳뷀럛봹뼬뫎궴궢궲똮뙮궢궫둷궋뷄릐듩밒븥륥귩뱘묇궳뙔볷쀞궕빁궻궬궔귞, 볷{궳궞귢궼뙔듰쀞궴궼뜧{밒궸뫜궻궻궬. 뷀둙롌궳궇귡럡궫궭궕렃궯궫뙔볷쀞궴돿둙롌궳궇귡볷{궕궼궔귡뙔듰쀞궻벏궣궶릶궼궶궋궻궬.
댶댰뙱덓귖빁궔귞궶궘궲볷{릐궫궭궕뙔볷쀞귩뼰륆뙊뵿뫮궢궲뙔듰쀞궳뫮룉궢궫귞궞귢궼뙸띪궓궞궯궲궋귡붺밒뙸뤭궻귒귩뙥궲뵽뭚궥귡궞궴궳궇귟, 볷믧궕귘귞궔궢궫붩뛱궸뫮궢궲궼뽝귟궶궕귞궩궻뙱덓궼귺깑깏깈긕귖뙟땰귖궶궘궲볷{궻먖봀궬궚됷뷃궢궲궋귡뫬궫귞궘궬.
뚀묆궻뙔듰쀞궼맠렊됄궕뭷륲궸궶궯궲벑궋궫궢, 궞궻귝궎궶뙔듰딂궎궞궴궼 갻볷{룕딬갽궸렰럣뱡궕뷨띙궔귞궻궘궬궠귢븿궶궻궸궔궔귦귞궦뙞뤵뷼궸볌뛟궠귢궲, 랳듰귩_뛊뛠@궕맚뵲궢궫궴궋궎땿뼰뽓쁐궢궫쀰럍쁟뗁궸딯뢲궠귢궲뜞볷귏궳귖듰볷듫똚궸뵜묈궶뎓떯귩땩귍궢궲궋귡궻궬.
뭷맊룛.긾깛긐깉깛긪긳긐깛궸귝귡볷{륬뛘궳릟궖럑귕궫뙔듰쀞궼뼀{궴뼬듩둊궕뒾궣궫궻궬궯궫. 뱰렄묈뿤궴뵾뱡궻뿼뜎궳뜼뢯궠귢궫볷{륬뛘똍궼뫮봭(뫮봭뱡)궴귽긌(덈딌)뱡귩뛯궢궲뻢뗣뢆(뻢뗣뢆) 뭤덃궠궑랤쒬궻귡궰귍궳띿궯궫귞, 궞궻렄볷{릐궫궭궕뒾궣궫떚|륲궴몶닽륲궼궥궟궔궯궫귝궎궬.
뿼뜎궻륬뿪궔귞뫝궘궻뷀둙귩롷궚궫볷{궼볫뱗궥귊궲궭귛궎궵릟궋궲궘귢궫묇븮궳뙰뜎럛봹궻돷궸뿇궭궶궔궯궫궕, 궩궻랺륉궸뫮궢궲궼긄}긌(똯궗럣둋) 럱뿿궳럄궢궲뜞볷궸귖볷{릐궫궭궸뙔듰궻덇렡궳떝덄궠궧궲궋귡궞궴궬. 궞궻귝궎궶떝덄궴뙔듰궻]귔궞궴궼뮳궭궸볷{덭뾻궫궭궕듰뜎귖볷{귩륬뿪궢궲뷀둙귩^궑궫궴궋궎_뿚귩믯떉궢궲궘귢궲귽긞긂궬.
뗟묆맻뾪빒븿궻뮞궕궠궥귝궎궕볷{궸뵕궯궫긽귽뭤뽿_뼪궻뙔듰쀞궼댸륷귩딳궞궢궫밹q뼰럷궫궭궕띿궯궲뜎뼬궸떝덄궠궧궫뙅됈뜞귏궳귖궩궻뼩귩댿듁뼰궘덙궖똯궋궳궋귡궞궴궬궔귞, 뙸띪볷{궳뗂덭맖쀍궫궭귩뭷륲궸릟궘뙔듰쀞궻뜧믨궸궼럙몒밒궸긽귽뭤뽿_뼪댥뚣`맟궠귢궫궞궴궕롥쀞궴뙻궑귡. 귖궭귣귪듰볷뿼뜎궸뫮궥귡뚀묆럍궻묈듰뒸(뫮듰듡:듰뜎귩뮡귕귡듡_)귖궫궋궲궋뼻렊렄둴뿧궠귢궫궞궴궳뙥귞귢귡. 궞궻귝궎궶뎓떯궕귏궬볷{릐궫궭궻]뿞궻뭷귩뼖궫궢궲궋귡궻궬.
뙸띪궻뙔듰쀞궼뼻렊렄묆궴볷믧렄묆귩똮귟궶궕귞`맟궠귢궫뙔듰쀞궳 갻뙸묆붎뒭뿬갽궸뫮궥귡뵿띿뾭궳맖궋궓궘궻귩궢궲궋귡궻궬.
*뤵딯볙뾢궼뾴뽵궠귢궲 "륷뱦닟" 10뙉뜂(pp.412~418)궸 "볷{,궵궎궢궲뜞 "뙔듰쀞(뙔듰뿬)"궔"궳띦궧귞귢궲궋귡궞궴귩뭢귞궧귏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