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 후에 나온 「성장률 1%」 금년의 한국 경제 전망 중 최저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발의 대외 불확실성 확산을 고려해, 금년의 한국의 경제성장 전망을 2%에서 1%에 크게 인하했다.
IMF는 1월, 4월, 7월, 10월의 연 4회에 걸쳐 세계경제 전망을 발표하지만, 3개월만에 한국의 전망을 반으로 줄였다.
1월에 한국 정부가 발표한 금년의 성장 전망은 1.8%,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5%다.
단지 모두 미국발의 「관세 폭탄」이 본격화하기 전에 낸 전망이다.
IMF가 22일에 낸 「4월의 세계경제 전망」에 의하면, 미국, 유로권, 일본, 영국, 캐나다,
한국의 전망을 내린 근거는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 예상이 현실화하면 한국은 2023년부터 4년 연속으로 2%이하의 저성장에 머무르게 된다.
이것과 함께 IMF는 금년의 세계경제 성장 전망을 지금까지의 3.3%로부터 2.8%에 하부수정했다.
IMF는 중국의 금년의 전망을 4.6%로부터 4.0%에 내렸다.
IMF는 주요 하부 리스크로서▽무역 대립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에 따르는 소비·투자의 위축▽고금리와 비싼 부채 수준에 따르는 재정·통화정책 여력 부족▽주가와 시장가격 재조정의 가능성 등 금융·외환 시장이 높은 변동성—를 들었다.
関税爆弾後に出てきた「成長率1%」…今年の韓国経済見通しのうち最低
国際通貨基金(IMF)が米国発の対外不確実性拡散を考慮し、今年の韓国の経済成長見通しを2%から1%に大きく引き下げた。
IMFは1月、4月、7月、10月の年4回にわたり世界経済見通しを発表するが、3カ月ぶりに韓国の見通しを半分に減らした。
現在まで国際機関が出した数値の中で最も低い。
1月に韓国政府が発表した今年の成長見通しは1.8%、韓国銀行と経済協力開発機構(OECD)は1.5%だ。
ただいずれも米国発の「関税爆弾」が本格化する前に出した見通しだ。
IMFが22日に出した「4月の世界経済見通し」によると、米国、ユーロ圏、日本、英国、カナダ、その他先進国などIMFが分類した先進国のうち見通しの下げ幅が最も大き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