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의 자살율은 왜 이렇게 높습니까?」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이 첫 내각회의에서 복지 장관에게 질문
「우리 나라의 자살율은 왜 이렇게 높습니까?」
이재아키라(이·제몰) 대통령은 5일, 타츠야마의 한국 대통령부에서 취임 후 최초의 국무회의(내각회의에 상당)를 소집해, 그 자리에서 보건복지부(성에 상당)의 규홍(조·규혼) 장관에게 「한국의 자살율」에 대해 질문했다고 한다.
보건복지부 주변에서는 「의외이다」라는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작년 2월부터 1년 4개월 계속 되고 있는 「의 정갈등」의 상황이나 그 해결책에 대해 국무회의에서 최초로 질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었다.그런데 실제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의 1회째의 질문이 한국의 자살율의 높이에 관한 것이었다.보건복지부는 근처 대통령부 사회 수석에 한국의 자살율을 둘러싼 현상과 그 원인, 정부에 의한 대책등에 대해서 보고할 예정이다.
한국의 자살율은 인구 10만명 당 25.2명으로, 이것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맹국 평균(11.1명)의 2배 이상에 상당해, 2004년 이후 곧 도달할 때까지 1위다.자살은 한국의 1030대의 사망 원인 1위로, 4050대에서는 2위다.또 자해·자살 환자중 10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10년에 단번에 15.4포인트도 상승하고 있다.
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자서전등에서 「소년공이었던 10대때에 2회 자살을 시도했던 것이 있다」라고 밝히고 있다.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경기도 지사였던 때에 스스로의 SNS(교류 사이트)로 「우리는 죽지 않고 살아갑시다」라고 투고했다.
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이 투고로 「아무도 화내에 맡겨 자신으로부터 죽음을 선택하지 않는다.벼랑이라고 느꼈을 때, 이 세상의 아무도 자신을 이해해 주지 않는다고 느꼈을 때, 극단적인 생각이 생각해 떠올라 온다」라고 한 다음 「알고 있는 사람은 알고 있지만, 숨기는 것도 아니다.나는 13세 때로부터 위장 취직한 공장에서 사고를 당해 장해를 가지게 되었다.또 빈곤의 수렁도 바닥이 안보일 정도 깊었다.사는 이유도 발견해 낼 수 없었던 사춘기의 소년이었다」라고 밝혔다.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누구와도 모르는 아이가 수면제를 사고 싶다고 하므로, 거리의 약국은 위약을 봉투 가득 주었다.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위약을 대량으로 삼켜, 어색하게 연탄에 불을 붙인 40년전의 소년은 지금도 살아 있다」라고 썼다.
이재 메이지대학통령은 마니페스트 중(안)에서, 자살 예방을 목적으로 향후 5년 걸려 초중학교의 모든 아동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를 실시해, 자살 리스크가 있는 아동 학생에 대해서 전문 기관과 협력해 치료를 실시할 생각을 분명히 하고 있다.또 「청소년 상담 1388 통합 콜 센터」를 새롭게 설치해, 24시간 전화 상담을 할 수 있는 체제를 정돈할 생각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