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산 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수단 중 하나가 알래스카 LNG이며, 경제성·인프라·정치적 조건이 충족된다면 러시아 의존도는 점차 줄어들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이미 그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 가스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된 유럽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은 전략적 대응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이 알래스카 가스를 개발·도입함으로써 러시아산 수입을 줄이게 된다면, 러시아 경제에는 분명한 타격이 갈 수 있다.
이미 유럽과의 관계가 단절된 상황에서, 아시아에서 탈출구를 찾으려는 러시아의 계획에도 큰 차질이 발생할 것이다. 중국·인도는 러시아 가스를 싸게 사려는 입장이므로 수익성이 낮아질 것이다.
러시아는 전쟁이 끝난다 해도, 경제·외교·사회 전반에서 구조적인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회복은 매우 어렵고 느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간 복구보다는 수년~수십 년에 걸친 체제 전환, 외교 정상화, 내부 개혁이 동반되지 않는 이상,
전후 복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운 과제”가 될 수도 있다.
ロシア産ガスを取り替えることができる潜在的なスーダンの中で一つがアラスカ LNGで, 経済性・インフラ・政治的条件が充足されたらロシア依存度は徐徐に減ることができる. 韓国と日本はもうその方向で政策を調整している.
これはロシアガスに対する過度な依存によって供給が腰砕けになったヨーロッパの事例を半面先生にした戦略的対応で見られる.
韓国と日本がアラスカガスを開発・取り入れることでロシア産収入を減らすようになったら, ロシア経済には明らかな打撃が行くことができる.
もうヨーロッパとの関係が断絶された状況で, アジアから脱出口を捜そうとするロシアの計画にも大きい蹉跌が発生するでしょう.中国・インドはロシアガスを安く買おうとする立場(入場)なので 収益性が低くなるでしょう.
ロシアは戦争が終わるとしても, 経済・外交・社会全般で構造的な打撃を受けたから回復はとても難しくて遅い可能性が高いです.
短期間復旧よりは 数年‾数十年にわたった体制転換, 外交正常化, 内部改革が連れされない以上,
前後復旧は実質的に “不可能に近い課題”になることもでき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