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で最も人口が少ない慶尚北道・英陽郡「ミャンマー難民 大歓迎」
韓国の内陸地で人口が最も少ない慶尚北道英陽郡が消滅の危機を脱そうと、ミャンマー難民受け入れ案を推進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英陽郡が12日に明らかにしたところによると、同郡は国連難民高等弁務官事務所(UNHCR)と協力してミャンマー難民約40人を対象に難民受け入れ案を進めているという。難民の居住地をめぐっては廃校の活用などさまざまな案が協議されている。
英陽郡の呉道昌(オ・ドチャン)郡守(郡の首長)も新年懇談会で、家族構成員が4人以上のミャンマー難民10世帯・40人以上に対して難民受け入れ・定住モデル事業を計画しているところだと語っていた。 受け入れ・定住モデル事業の推進対象はミャンマーの少数民族・カレン族で、ミャンマーの全人口の約6.5%を占めている。カレン族は長い間、政府軍と少数民族である反政府軍との交戦を避け、タイ国境地帯で避難生活を送っている。仏教・儒教など韓国と文化的同質性が高いことで知られている。 英陽郡の関係者は本紙の取材に「難民を英陽郡で受け入れられるかどうか、韓国法務部(省に相当)と協議しているが、まだ何も決まっていない」としながらも、「早ければ今年下半期にも行われる予定だ」と語った。 島で自治体が構成されている鬱陵郡を除き、英陽郡は韓国で人口が最も少ない地方自治体だ。2006年1月末時点の集計で人口が1万9989人となり、2万人を切った。それから19年たった今年2月末現在、同郡の人口は1万5271人にまで減っている。 毎年の出生数は25人に過ぎないが、死亡者は300人に上り、今年中にも1万5000人を切るとの予想もある。消滅可能性自治体としての危機が高まるや、郡庁関係者たちは家族や親族の住所地を英陽郡に移すよう勧めたり、最大1億ウォン(約1000万円)を上回る出産支援金を打ち出したりするなど、総力を挙げて人口を増やそうとしている。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경상북도·영양군 「미얀마 난민 대환영」
한국의 내륙지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경상북도 영양군이 소멸의 위기를 탈장도, 미얀마 난민 수락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영양군이 12일에 분명히 한바에 의하면, 동군은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UNHCR)와 협력해 미얀마 난민 약 40명을 대상으로 난민 수락안을 진행시키고 있다고 한다.난민의 거주지를 둘러싸고는 폐교의 활용 등 다양한 안이 협의되고 있다.
영양군의 오도쇼(오·드체) 군 수(군의 수장)도 신년 간담회에서, 가족구성원이 4명 이상의 미얀마 난민 10세대·40명 이상에 대해서 난민 받아 들여·정주 모델 사업을 계획하고 있는 곳(중)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받아 들여·정주 모델 사업의 추진 대상은 미얀마의 소수민족·카렌족으로, 미얀마의 전인구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카렌족은 오랫동안, 정부군과 소수민족인 반정부군과의 교전을 피해 태국 경지대로 피난 생활을 보내고 있다.불교·유교 등 한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높은 일로 알려져 있다. 영양군의 관계자는 본지의 취재에 「난민을 영양군에서 받아 들여질지, 한국 법무부(성에 상당)라고 협의하고 있지만, 아직 아무것도 정해져 있지 않다」라고 하면서도, 「빠르면 금년 하반기에도 행해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섬에서 자치체가 구성되어 있는 울릉군을 제외해, 영양군은 한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지방 자치체다.2006년 1월말 시점의 집계로 인구가 1만 9989명이 되어, 2만명을 잘랐다.그리고 19년 지난 금년 2월말 현재, 동군의 인구는 1만 5271명에게까지 줄어 들고 있다. 매년의 출생수는 25명에 지나지 않지만, 사망자는 300명에 달해, 금년중에도 1만 5000명을 밑돈다라는 예상도 있다.소멸 가능성 자치체로서의 위기가 높아지자 마자, 군청 관계자들은 가족이나 친족의 주소지를 영양군으로 옮기도록(듯이) 권하거나 최대 1억원( 약 1000만엔)을 웃도는 출산 지원금을 밝히거나 하는 등, 총력을 들고 인구를 늘리려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