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66歳以上の相対的貧困率40%…OECDで最も深刻
韓国の高齢層貧困問題が経済協力開発機構(OECD)加盟38カ国のうち最も深刻なことが分かった。 韓国統計庁国家統計研究院は24日、報告書「韓国のSDG(持続可能発展目標)履行現況2025」を発刊したと明らかにした。持続可能発展17項目の目標別韓国現況を分析したこの報告書は、2021年から毎年国文と英文で発刊されてきた。 報告書によると、2023年処分可能所得相対的貧困率は14.9%で2011年(18.5%)から2021年(14.8%)まで下落して2022年(14.9%)小幅上昇した後、停滞状態だ。 年齢別で見ると、66歳以上の引退年齢人口は相対的貧困率(39.8%)が最も高く現れた。これは2022年基準でOECD諸国のうち最も高い水準だ。相対的貧困率は所得が中位所得の半分以下である人口を全体人口で割った比率だ。 ジェンダー平等指標も改善が必要な分野に挙げられた。 2024年を基準として女性国会議員の比率は20.0%で、対2012年(18.0%)比小幅で増加したが、2020年(21.3%)よりも1.3%p減少した。これはOECD38カ国のうち4番目に低い水準で、平均(34.1%)には大きく及ばなかった。 2022年読解、数学では、最小熟達水準以上の満15歳青少年比率はそれぞれ85.3%、83.8%だと集計された。OECD平均(読解73.7%、数学68.9%)よりも高く、コロナ禍以前とほぼ同じ水準だ。 2022年韓国の温室効果ガス総排出量は7億2429万トンで、2011年(7億2164万トン)に比べて0.37%増加した。韓国の排出量は2021年を基準にOECD諸国で米国・日本・ドイツに続いて4番目に多い。
한국, 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 40%
OECD로 가장 심각
한국의 고령층 빈곤 문제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맹 38개국의 쳐 가장 심각한 것이 밝혀졌다. 한국 통계청국가 통계 연구원은 24일, 보고서 「한국의 SDG(지속 가능 발전 목표) 이행 현황 2025」를 발간했다고 분명히 했다.지속 가능 발전 17항목의 목표별 한국 현황을 분석한 이 보고서는, 2021년부터 매년 국문과 영문으로 발간되어 왔다. 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처분 가능 소득 상대적 빈곤율은 14.9%로 2011년(18.5%)로부터 2021년(14.8%)까지 하락해 2022년(14.9%) 소폭 상승한 후, 정체 상태다. 연령별로 보면, 66세 이상의 은퇴 연령 인구는 상대적 빈곤율(39.8%)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이것은 2022년 기준으로 OECD 제국의 쳐 가장 높은 수준이다.상대적 빈곤율은 소득이 중위 소득의 반이하인 인구를 전체 인구로 나눈 비율이다. 성 평등 지표도 개선이 필요한 분야로 거론되었다. 2024년을 기준으로서 여성 국회 의원의 비율은 20.0%로, 대 2012년(18.0%) 비 소폭으로 증가했지만, 2020년(21.3%)보다 1.3%p감소했다.이것은 OECD38 개국중 4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평균(34.1%)에는 크고 미치지 않았다. 2022년 독해, 수학에서는, 최소 숙달 수준 이상의 만 15세 청소년 비율은 각각 85.3%, 83.8%라면 집계되었다.OECD 평균(독해 73.7%, 수학 68.9%)보다 높고, 코로나재난 이전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2022년 한국의 온실 효과 가스총배출량은 7억 2429만 톤으로, 2011년(7억 2164만 톤)에 비해 0.37%증가했다.한국의 배출량은 2021년을 기준에 OECD 제국에서 미국·일본·독일에 이어 4번째로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