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このごろ一研究がノーベル賞を受けるのに 30年が消耗するから 21世紀の日本の高いノーベル賞受賞はアジア列強だった 20世紀からつながった成果だと見ても過言ではない.
そうだから良い先例で当たり前の結果だ.
しかし最近上位水準論文引用順位が人口が半分である南韓より落ちるのは問題だ.
最近日本政府内でも政府の基礎研究補助金が減りながら研究力量が下落しているという指摘が出てい終わっても生物学教授親戚から日本教授が韓国人より補助金をもっと受けなくて羨ましがったという話を聞いた事がある.
韓国理工系教授たちも研究費を自分のお金で補うほど難しい環境に処している. しかし日本がこれよりできなかった水準なら当然安心して研究することは不可能だ.
最初に “民族のために立派な心得で熱情payをしてノーベル賞を今すぐ持って来ます”, “短期的な成果だけ望むのはあほらしい.”これからが実務と全然関係ない政治家と大衆の無責任な欲心で.
何より最近中国が積弊のような環境と政策構造を持ったにも高い成果は出すことを見れば結局市場の規模と資金動員能力の差が科学的結果を見せてくれると思うようにする.


요즘 한 연구가 노벨상을 받는데 30년이 소모되니까 21세기의 일본의 높은 노벨상 수상은 아시아 열강이었던 20세기부터 이어진 성과라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에 좋은 선례이고 당연한 결과다.
하지만 최근 상위 수준 논문 인용 순위가 인구가 절반인 남한 보다 떨어지는 건 문제다.
최근 일본 정부 내에서도 정부의 기초 연구 보조금이 줄어들면서 연구 역량이 하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나 또한 생물학 교수 친척으로 부터 일본 교수가 한국인보다 보조금을 더 못받아서 부러워했다는 말을 들은 바 있다.
한국 이공계 교수들도 연구비를 자기 돈으로 메울 만큼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다. 하지만 일본이 이것보다 못한 수준이면 당연히 마음 놓고 연구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애초에 "민족을 위해 휼륭한 마음가짐으로 열정pay를 해서 노벨상을 당장 가져오세요", "단기적인 성과만 바라는건 바보같다." 이것부터가 실무와 전혀 관련없는 정치인과 대중의 무책임한 욕심이고.
무엇보다 최근 중국이 적폐와 같은 환경과 정책 구조를 지녔음에도 높은 성과는 내는 것을 보면 결국 시장의 규모와 자금 동원 능력의 차이가 과학적 결과를 보여준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