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謝罪しに来ました” 433年ぶりの懺悔 (2025.10.10/ニュースデスク/MBC忠北)
〓 レポート ◆
壬辰の乱当時活躍した
義兵長朝憲と僧兵場令堰せりふの
肖像画が法案された護国査察加算社,
光復 80周年を記念した
韓日平和の日行事で
二人の名の日本人が尋ねて来ました.
壬辰の乱当時忠青戦闘を指揮した
倭将たちの子孫である
広瀬Yuichiとヒサダケソーマー,
433年前朝鮮侵略に対する
容赦を謝るために尋ねて来ました.
〓 INT ◆
広瀬Yuichi/倭将子孫
“過去に私たちは非常に残念な戦争をしました. その謝り意味を盛ったんです新しい韓日関係を作る良いきっかけになれば良いです.”
二人の名の日本人は
祭壇に丁寧にお酒をあげて,
自分たちの先祖の代わりをして首を下げました.
倭将子孫たちが韓国を訪問して
先祖の過ちに対して懺悔したことは
今度が初めてです.
〓 INT ◆
ヒサダケソーマー/倭将子孫
“日本が侵略したということ学びました. ただ今生きているのは私たちだからです. これから私たちが韓国と日本の未来を作って行くように努力したいです.”
これらは先立って壬辰の乱当時
参戦した朝鮮長寿たちの子孫たちとも会って
容赦と仲直りを求めました.
忠武公李舜臣将軍の子孫も
ご先祖の代わりをしてお詫びをしに来た
これらの勇気に暖かい抱擁で肯定的に回答しました.
〓 INT ◆
異種学/忠武公李舜臣将軍子孫
“初めには唐慌もなったんです. 忠武公お爺さんにとても誰にならないが思ったが流れになるのがあるんじゃないか. 世界的にもう昔のことにかまけないでこれから紐帯関係をしてお互いに.”
〓 st-up ◆
これらはまた清州に移動して
短才シン・チェホ先生の墓所と
義巌孫ビョンヒ先生の親里,
天安独立記念館を訪問する予定です.
一方倭将と朝鮮長寿子孫たちは
懺悔と仲直り, 平和が盛られた
掛け軸にお互いの署名を残して
両国の平和を祈りました.
MBCニュースゾンヒョゾングです.
(映像取材: イムテギュ)
〓 END ◆
================
やはり倭寇は悪辣だ
"사죄하러 왔습니다" 433년 만의 참회 (2025.10.10/뉴스데스크/MBC충북)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Xoo421a6x5U?si=pShPCbY-ASxsN891"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리포트 ▶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의병장 조헌과 승병장 영규대사의
초상화가 봉안된 호국사찰 가산사,
광복 80주년을 기념한
한일 평화의 날 행사에서
두 명의 일본인이 찾아왔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충청 전투를 지휘했던
왜장들의 후손인
히로세 유이치와 히사다케 소마,
433년 전 조선 침략에 대한
용서를 빌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 INT ▶
히로세 유이치/왜장 후손
"과거에 우리는 매우 유감스러운 전쟁을 벌였습니다. 그 사과 의미를 담았고요 새로운 한일 관계를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두 명의 일본인은
제단에 정중하게 술을 올리고,
자신들의 조상을 대신해 고개를 숙였습니다.
왜장 후손들이 한국을 방문해
선조의 잘못에 대해 참회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 INT ▶
히사다케 소마/왜장 후손
"일본이 침략했다는 걸 배웠습니다. 다만 지금 살아있는 건 우리들이니까요. 앞으로 우리가 한국과 일본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어요."
이들은 앞서 임진왜란 당시
참전했던 조선 장수들의 후손들과도 만나
용서와 화해를 구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후손도
조상들을 대신해 사죄를 하러 온
이들의 용기에 따뜻한 포옹으로 화답했습니다.
◀ INT ▶
이종학/충무공 이순신 장군 후손
"처음에는 당황도 됐는데요. 충무공 할아버지께 굉장히 누가 되지 않나 생각했지만 흐름이 되는 게 있잖아요. 세계적으로 이제 옛날 거에 얽매이지 않고 앞으로 유대관계를 해서 서로가."
◀ st-up ▶
이들은 또 청주로 이동해
단재 신채호 선생의 묘소와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가,
천안 독립기념관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한편 왜장과 조선 장수 후손들은
참회와 화해, 평화가 담긴
족자에 서로의 서명을 남기며
양국의 평화를 기원했습니다.
MBC뉴스 전효정입니다.
(영상취재: 임태규)
◀ END ▶
================
역시 일본인는 악랄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