ペスタロッチが提示した 50種スイス教育方向
指摘教育 (頭: Head)
指摘能力の自然な発達のための教育方向です.
直観をすべての教育の基礎にする. (事物を直接見て触るようにする.)
すべての知識は単純なことで複雑なことで進む.
明確な言語表現を学ぶことを最優先の課題にする.
数(数), 兄さん(型)(形), うん(語)の三種類基本要素を徹底的に学習する.
子供達に事物の正確な名前を煮るようにする.
測定と計算を通じて事物の割合と関係を悟るようにする.
知識の断片的な暗記を避けて, 思考力を培う.
質問と対話を通じて子供達自ら悟るように助ける.
机に座ってする教育より経験中心の教育を強調する.
指導(地図)と標本(標本)を使って学習にリアリティーを加える.
道徳/情緒教育 (胸: Heart)
愛と信仰心を通じて人格を形成して道徳性を育てる方向です.
教育は “お母さんの膝”から始まる. (家庭教育の大切さ)
子供に向けた条件ない愛と奉仕を教育の動力にする.
信仰心と道徳心をすべての教育の一番高い目標にする.
悪い行動に対する厳格な処罰よりは愛と訓戒を優先する.
感謝の心を学んで表現するように日常で教える.
自分自身を尊重して他人を気配りする態度を育てる.
共同体生活を通じて協同と秩序を体得するようにする.
正しくて悪さを自ら判断することができる道徳的自律性を育てる.
自然と芸術を通じて審美的感受性と美しさを感じらせる.
情緒的安定感が学業成就より先行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技術/実用教育 (手: Hand)
労動を通じる自立能力と機能的発達を助ける方向です.
労動と学問を分離しないで統合して教える.
実際職業技術を教育過程に含んで教える.
手を使って品物を作るとか修理する経験を重視する.
農業や手工業のような実用的な活動を教育に活用する.
勤勉さとつましさを労動を通じて自然に学ぶようにする.
自立することができる能力を教育の窮極的な実用目標にする.
身体的活動を通じて健康と強靭さを同時に育てる.
道具使い方を体系的に煮って実生活に適用するようにする.
学校を子供達が食べて寝て労動する “生活の章”で作る.
自分が作った品物の価値を悟って生産的な喜びを感じらせる.
教育方法論及び環境 (How & Where)
教育を実践する方式と環境造成に対する指針です.
教師は親の心で子供達を対しなければならない.
教育内容は子供の発達段階に合わせて漸進的に提供する.
繰り返し学習は重要だが, 機械的な繰り返しは避ける.
個人の特性と能力を考慮した個別化された教育を実施する.
すべての児童に教育の機会を平等に提供する. (貧民教育)
学校環境は家庭的な雰囲気を造成しなければならない.
教育媒体はいつも具体的で現実的な事物を使う.
子供達の間違いと失敗を成長の機会にして励ます.
競争よりは協力と助けを通じる学習を誘導する.
授業時間割りは労動, 学習, 休息が均衡を成すように組む.
社会的及び一般的方向 (Social & General)
教育が社会全体と人間本性に及ぶ影響に対する方向です.
人間の潜在力は自ら発展するように助けなければならない.
教育は **”自然の法則”**に付く芸術のようだ.
教育は階層や身分にかかわらずすべての人を人臭くする.
教育を通じる社会改革を目標にする.
**人間の三種類根本能力(サムユック)**を調和に発達させることが全人教育だ.
知識を習得する過程自体が倫理的, 道徳的習慣を形成する.
貧困な子供達こそ教育を通じて救援受けなければならない存在だ.
実際生の中の経験で一番重要な教訓を得るようにする.
国家はすべての児童の教育圏を保障するため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
教育の目標は児童を **”自分の主人になるようにすること”**である.
페스탈로치가 제시한 50가지 스위스 교육 방향
지적 교육 (머리: Head)
지적 능력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위한 교육 방향입니다.
직관을 모든 교육의 기초로 삼는다. (사물을 직접 보고 만지게 한다.)
모든 지식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나아간다.
명확한 언어 표현을 배우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한다.
수(數), 형(形), 어(語)의 세 가지 기본 요소를 철저히 학습한다.
아이들에게 사물의 정확한 이름을 익히게 한다.
측정과 계산을 통해 사물의 비율과 관계를 깨닫게 한다.
지식의 단편적인 암기를 피하고, 사고력을 기른다.
질문과 대화를 통해 아이들 스스로 깨닫게 돕는다.
책상에 앉아 하는 교육보다 경험 중심의 교육을 강조한다.
지도(地圖)와 표본(標本)을 사용하여 학습에 현실감을 더한다.
도덕/정서 교육 (가슴: Heart)
사랑과 신앙심을 통해 인격을 형성하고 도덕성을 기르는 방향입니다.
교육은 "어머니의 무릎"에서 시작된다. (가정 교육의 중요성)
아이를 향한 조건 없는 사랑과 봉사를 교육의 동력으로 삼는다.
신앙심과 도덕심을 모든 교육의 가장 높은 목표로 삼는다.
나쁜 행동에 대한 엄격한 처벌보다는 사랑과 훈계를 우선한다.
감사의 마음을 배우고 표현하도록 일상에서 가르친다.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를 기른다.
공동체 생활을 통해 협동과 질서를 체득하게 한다.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자율성을 기른다.
자연과 예술을 통해 심미적 감수성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정서적 안정감이 학업 성취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기술/실용 교육 (손: Hand)
노동을 통한 자립 능력과 기능적 발달을 돕는 방향입니다.
노동과 학문을 분리하지 않고 통합하여 가르친다.
실제 직업 기술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여 가르친다.
손을 사용하여 물건을 만들거나 수리하는 경험을 중시한다.
농업이나 수공업과 같은 실용적인 활동을 교육에 활용한다.
근면함과 검소함을 노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우게 한다.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의 궁극적인 실용 목표로 삼는다.
신체적 활동을 통해 건강과 강인함을 동시에 기른다.
도구 사용법을 체계적으로 익혀 실생활에 적용하게 한다.
학교를 아이들이 먹고 자며 노동하는 "생활의 장"으로 만든다.
자신이 만든 물건의 가치를 깨닫고 생산적인 기쁨을 느끼게 한다.
교육 방법론 및 환경 (How & Where)
교육을 실천하는 방식과 환경 조성에 대한 지침입니다.
교사는 부모의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해야 한다.
교육 내용은 아이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점진적으로 제공한다.
반복 학습은 중요하지만, 기계적인 반복은 피한다.
개인의 특성과 능력을 고려한 개별화된 교육을 실시한다.
모든 아동에게 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한다. (빈민 교육)
학교 환경은 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교육 매체는 항상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사물을 사용한다.
아이들의 실수와 실패를 성장의 기회로 삼아 격려한다.
경쟁보다는 협력과 도움을 통한 학습을 유도한다.
수업 시간표는 노동, 학습, 휴식이 균형을 이루도록 짠다.
사회적 및 일반적 방향 (Social & General)
교육이 사회 전체와 인간 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방향입니다.
인간의 잠재력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육은 **"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예술과 같다.
교육은 계층이나 신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인간답게 만든다.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을 목표로 삼는다.
**인간의 세 가지 근본 능력(삼육)**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이 전인 교육이다.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자체가 윤리적, 도덕적 습관을 형성한다.
빈곤한 아이들이야말로 교육을 통해 구원받아야 할 존재이다.
실제 삶 속의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교훈을 얻게 한다.
국가는 모든 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교육의 목표는 아동을 **"자신의 주인이 되게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