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사설
미 일호 희토류 원소 동맹에
한국도 합류하지 않으면
1: 곤충 도감 ★ 2025/10/23(목) 16:32:09.71 ID:2D83Gshl
미국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희토류 원소 공급망 협력을 강화해 중국에의 의존도를 인하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20일에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핵심 광물·희토류 원소 공급망 체제」를 스타트시켜, 일본도 참가를 결정했다.3개국은 희토류 원소를 단순한 자원은 아니고 국가 안전 보장의 전략 자산이라고 생각한다.반도체, 배터리, 전기 자동차, 첨단 무기 등 핵심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만큼, 중국이 생산과 정제를 사실상 독점한 현실로 공급망의 다각화는 생존을 건 문제다.제조업 중심의 한국에 있어서도 절실한 과제다.
중국이 희토류 원소 규제를 미 중 기술 경쟁의 반격 카드로 해서 잘랐던 만큼 한국도 대응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주요국간의 분쟁이나 기술 경쟁으로 희토류 원소와 같은 전략 물자를 전면에 내세워 상대국을 압박하는 자원의 무기화는 벌써 일상화하고 있다.이 리스크를 줄이는 길은 수입처 다각화와 대체물질개발 뿐이다.일본은 2010년의 센카쿠 제도(중국명·조어섬) 분쟁시에 중국의 수출 제한을 받자마자 대체물질개발과 수입처 다각화에 착수했다.2019년의 한일 관계 악화시에는 반도체 핵심 소재 등 소재·부품·장비의 수출규제를 무기화해 한국을 압박했다.일본은 내각에 경제 안전 보장상을 두어 전략 물자를 정부수준으로 관리하는 만큼 자원의 무기화에 철저하게 갖추고 있다.
이것에 대해 한국은 희토류 원소 관리로 약점이 크다.이명박(이·몰바크) 정권 시대에 해외 자원 개발에 나왔지만 어중간한 투자로 실패가 잇따라, 정권 교대 후에는 「적폐」가 평가를 받아져서 염가로 매각되어 끝났다.그러나 자원 확보는 정권의 성향에 의해서 일진일퇴 해서는 안 된다.지금 세계는 자원과 기술이 결합한 경제 안전 보장 시대에 비집고 들어갔다.미국은 희토류 원소의 정제·가공 기술 복원에 나서, 오스트레일리아는 풍부한 매장 자원을 국제 연대에 연결해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 하고 있다.
2021년의 중국의 수출 제한으로 촉발 된 요소수 사태는 자원의 무기화를 보인 사례다.최근 중국은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주축인 한파오살의 미국 자회사를 제재 리스트에 올려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이 와중에 한국의 요소 물속국 의존도는 작년의 27%로부터 최근에는 62%과 오히려 높아졌다.미 중 기술 전쟁이 격화하는 만큼 희토류 원소는 한국 제조업의 아킬레스건이 될 우려가 있다.
미 일호 희토류 원소 협력은 아침 중러와 한미일로 나누어지는 군사 안전 보장 문제와는 성격이 다르다.이것은 이념의 문제는 아니고 실리의 문제로, 한국 제조업의 실존적 생존과도 직결하고 있다.한국이 여기에 참가할 수 없다면 첨단 산업 공급망의 주도권으로부터 밀려 나올 가능성이 크다.지금이야말로 정부수준의 자원 안전 보장 전략을 확실히 세워 실리와 실용의 관점으로부터 희토류 원소 공급망 다각화에 나올 때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5c2ead8fd59100f37c282d41c6d79c20b54b94f4
중국이 희토류 원소 규제를 미 중 기술 경쟁의 반격 카드로 해서 잘랐던 만큼 한국도 대응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에 대해 한국은 희토류 원소 관리로 약점이 크다.이명박(이·몰바크) 정권 시대에 해외 자원 개발에 나왔지만 어중간한 투자로 실패가 잇따라, 정권 교대 후에는 「적폐」가 평가를 받아져서 염가로 매각되어 끝났다.그러나 자원 확보는 정권의 성향에 의해서 일진일퇴 해서는 안 된다.지금 세계는 자원과 기술이 결합한 경제 안전 보장 시대에 비집고 들어갔다.미국은 희토류 원소의 정제·가공 기술 복원에 나서, 오스트레일리아는 풍부한 매장 자원을 국제 연대에 연결해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 하고 있다.
미 일호 희토류 원소 협력은 아침 중러와 한미일로 나누어지는 군사 안전 보장 문제와는 성격이 다르다.이것은 이념의 문제는 아니고 실리의 문제로, 한국 제조업의 실존적 생존과도 직결하고 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5c2ead8fd59100f37c282d41c6d79c20b54b94f4
2: <주`∀′>(′·ω·`)(`하′ )씨 2025/10/23(목) 16:33:54.19 ID:Q5n831yr
너희들 센시티브국(안되어 사람 국가)이니까
향후 동맹이라든지 그러한 것에는 넣지 않아
원자 에너지 기술 훔치려고 했기 때문에,
원자 에너지 기술 훔치려고 했기 때문에,
지금 미국에 화가 나 안이겠지가, 반성해 멸망해라
5: <주`∀′>(′·ω·`)(`하′ )씨 2025/10/23(목) 16:35:03.29 ID:0a6ZqdoH
자원도 기술도 없는 한국이 어째서 참가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6: <주`∀′>(′·ω·`)(`하′ )씨 2025/10/23(목) 16:35:56.16 ID:gKpJgbiD
오스트레일리아는
한국 싫고 5번째정도 들어가 자각 있다인가?
米日豪レアアース同盟に合流するニダ
中央日報社説
米日豪レアアース同盟に
韓国も合流しなくては
1: 昆虫図鑑 ★ 2025/10/23(木) 16:32:09.71 ID:2D83Gshl
米国と日本、オーストラリアがレアアース供給網協力を強化し中国への依存度を引き下げようとする動きが本格化している。20日に米国とオーストラリアが「核心鉱物・レアアース供給網フレームワーク」をスタートさせ、日本も参加を決めた。3カ国はレアアースを単純な資源ではなく国家安全保障の戦略資産と考える。半導体、バッテリー、電気自動車、先端武器など核心産業全般に使われるだけに、中国が生産と精製を事実上独占した現実で供給網の多角化は生き残りをかけた問題だ。製造業中心の韓国にとっても切実な課題だ。
中国がレアアース規制を米中技術競争の反撃カードとして切っただけに韓国も対応を急がなければならない。主要国間の紛争や技術競争でレアアースのような戦略物資を前面に出し相手国を圧迫する資源の武器化はすでに日常化している。このリスクを減らす道は輸入先多角化と代替物質開発だけだ。日本は2010年の尖閣諸島(中国名・釣魚島)紛争時に中国の輸出制限を受けるとすぐに代替物質開発と輸入先多角化に着手した。2019年の韓日関係悪化時には半導体核心素材など素材・部品・装備の輸出規制を武器化して韓国を圧迫した。日本は内閣に経済安全保障相を置き戦略物資を国レベルで管理するほど資源の武器化に徹底的に備えている。
これに対し韓国はレアアース管理で弱点が大きい。李明博(イ・ミョンバク)政権時代に海外資源開発に出たが中途半端な投資で失敗が相次ぎ、政権交代後には「積弊」のレッテルを貼られ安価で売却され終わった。しかし資源確保は政権の性向によって一進一退してはならない。いま世界は資源と技術が結合した経済安全保障時代に入り込んだ。米国はレアアースの精製・加工技術復元に乗り出し、オーストラリアは豊富な埋蔵資源を国際連帯につなげて供給網の核心軸としている。
2021年の中国の輸出制限で触発された尿素水事態は資源の武器化を見せた事例だ。最近中国はMASGA(米国造船業を再び偉大に)プロジェクトの主軸であるハンファオーシャンの米国子会社を制裁リストに上げて韓国を圧迫している。この渦中に韓国の尿素水の中国依存度は昨年の27%から最近は62%とむしろ高まった。米中技術戦争が激化するほどレアアースは韓国製造業のアキレス腱になる恐れがある。
米日豪レアアース協力は朝中ロと韓米日に分かれる軍事安全保障問題とは性格が異なる。これは理念の問題ではなく実利の問題で、韓国製造業の実存的生き残りとも直結している。韓国がここに参加できないならば先端産業供給網の主導権から押し出される可能性が大きい。いまこそ国レベルの資源安全保障戦略を確実に立て、実利と実用の観点からレアアース供給網多角化に出る時だ。
https://news.yahoo.co.jp/articles/5c2ead8fd59100f37c282d41c6d79c20b54b94f4
中国がレアアース規制を米中技術競争の反撃カードとして切っただけに韓国も対応を急がなければならない。主要国間の紛争や技術競争でレアアースのような戦略物資を前面に出し相手国を圧迫する資源の武器化はすでに日常化している。このリスクを減らす道は輸入先多角化と代替物質開発だけだ。日本は2010年の尖閣諸島(中国名・釣魚島)紛争時に中国の輸出制限を受けるとすぐに代替物質開発と輸入先多角化に着手した。2019年の韓日関係悪化時には半導体核心素材など素材・部品・装備の輸出規制を武器化して韓国を圧迫した。日本は内閣に経済安全保障相を置き戦略物資を国レベルで管理するほど資源の武器化に徹底的に備えている。
これに対し韓国はレアアース管理で弱点が大きい。李明博(イ・ミョンバク)政権時代に海外資源開発に出たが中途半端な投資で失敗が相次ぎ、政権交代後には「積弊」のレッテルを貼られ安価で売却され終わった。しかし資源確保は政権の性向によって一進一退してはならない。いま世界は資源と技術が結合した経済安全保障時代に入り込んだ。米国はレアアースの精製・加工技術復元に乗り出し、オーストラリアは豊富な埋蔵資源を国際連帯につなげて供給網の核心軸としている。
2021年の中国の輸出制限で触発された尿素水事態は資源の武器化を見せた事例だ。最近中国はMASGA(米国造船業を再び偉大に)プロジェクトの主軸であるハンファオーシャンの米国子会社を制裁リストに上げて韓国を圧迫している。この渦中に韓国の尿素水の中国依存度は昨年の27%から最近は62%とむしろ高まった。米中技術戦争が激化するほどレアアースは韓国製造業のアキレス腱になる恐れがある。
米日豪レアアース協力は朝中ロと韓米日に分かれる軍事安全保障問題とは性格が異なる。これは理念の問題ではなく実利の問題で、韓国製造業の実存的生き残りとも直結している。韓国がここに参加できないならば先端産業供給網の主導権から押し出される可能性が大きい。いまこそ国レベルの資源安全保障戦略を確実に立て、実利と実用の観点からレアアース供給網多角化に出る時だ。
https://news.yahoo.co.jp/articles/5c2ead8fd59100f37c282d41c6d79c20b54b94f4
2: <丶`∀´>(´・ω・`)(`ハ´ )さん 2025/10/23(木) 16:33:54.19 ID:Q5n831yr
お前らセンシティブ国(ならず者国家)だから
今後同盟とかそういうのには入れないよ
原子エネルギー技術盗もうとしたから、
原子エネルギー技術盗もうとしたから、
今アメリカに怒られ中だろが、反省して滅べ
5: <丶`∀´>(´・ω・`)(`ハ´ )さん 2025/10/23(木) 16:35:03.29 ID:0a6ZqdoH
資源も技術もない韓国がなんで参加できると思ってるんだよ…
6: <丶`∀´>(´・ω・`)(`ハ´ )さん 2025/10/23(木) 16:35:56.16 ID:gKpJgbiD
オーストラリアって
韓国嫌いで5番目くらいに入ってるの自覚ある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