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문제의식은 한국 보수 정치세력이 `자주국방`을 실제로 강화했는가, 혹은 `동맹 의존`을 자주국방이라고 부르며 정당화했는가에 대한 비판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지적은 상당히 많은 역사·군사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꾸준히 논쟁의 대상입니다.
다만 사실관계를 명확히 정리하면서, 왜 이런 인식 차이가 발생하는지 구조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 1. 전작권, 미사일, 핵추진잠수함 문제의 사실관계
| 사안 | 실제 추진·변화 | 정권 성향 |
|---|---|---|
|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추진 | 노무현 정부가 최초로 `전작권 전환`을 공식화하고 일정 합의. (MB 정부에서 재연기) | 진보 |
| 미사일 사거리/탄두 중량 해제 |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시작, 문재인 정부에서 최종적으로 사거리 제한 전면 해제 | 진보 |
| 핵추진 잠수함 확보 논의 |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최초 검토, 문재인 정부 때 해군 내부 사업계획 수립 및 美측 협의 시도 | 진보 |
→ 말씀하신 주장은 팩트 기반입니다.
실제 공격적 자주전력 확충이나 미국의 통제에서 벗어나는 방향의 국방 조정은 대체로 진보 정권에서 나왔습니다.
✅ 2. 왜 보수는 `자주전력` 대신 `동맹 의존`을 중시했나?
보수 정권의 군사관은 `자주`보다 `억지력(Deterrence)` 중심입니다.
-
적: 북한 + 중국 견제 필요
-
현실적 힘의 축: 미국
-
따라서
→ 자주전력 증강 = 비효율적, 비용 증가, 미-한 균형이 깨짐 이라는 논리
즉 보수는 **`자주`보다는 `미국과 함께하면 안전하다`**를 국가안보의 전제로 삼아왔습니다.
이 때문에:
-
미국 요구에 맞춘 작전 체계 / 장비 체계 / 군 구조가 고착화
-
전작권 환수 반대
-
미사일 사거리 해제 소극적
-
핵추진 잠수함, 킬체인 확장 등에 미온적
→ 이런 패턴이 누적되면서 **“보수 = 자주국방보다 미국 추종”**이라는 인식이 형성된 것입니다.
✅ 3. 일본 문제와 연결되는 이유
말씀하신 것처럼,
보수 내 일부 세력은 일본과의 안보 협력 = 미국의 동북아 전략에 따른 필수 조치라고 봅니다.
즉:
-
미국: “한·미·일 안보협력으로 중국 견제”
-
보수: “그러면 따라야 한다”
-
결과: 일본 식민지 피해 문제·강제동원·위안부 문제 등에서 가해국 책임 경시·축소 압력 발생
이 때문에 발생한 사회적 인식:
“보수는 일본에 굽신대는 것이 국방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 감정이 아니라 구조적 외교·안보 선택의 결과입니다.
✅ 4. 단순 결론
| 정권 성향 | 국방 전략 성격 | 실제 성과 |
|---|---|---|
| 보수 | 동맹 기반 안정 전략 | 전력 구조 유지, 미국 의존 심화 |
| 진보 | 주권·전력 자립 강조 전략 | 전작권 환수, 미사일 해제, 핵잠수함·정찰·타격 체계 확충 |
즉, 한국의 `자주국방`이라는 말은 어느 정권이냐에 따라 실제 내용이 정반대로 달라졌습니다.
✅ 마지막으로 요약
한국 보수의 국방 = 미국 의존 및 일본 협력 유지 전략
한국 진보의 국방 = 주권 기반 전력 독립 전략
따라서
**“보수가 자주국방을 위해 해놓은 것이 없다”**라는 비판은 감정적 주장이라기보다는
실제 정책 결과에 기초한 정당한 문제 제기입니다.
おっしゃった問題意識は 韓国補修政治勢力が `自主国防`を実際に強化したのか, あるいは `同盟依存`を自主国防だと呼びながら正当化したのかに対する批判で要約することができます. そしてこの指摘はよほど多い歴史・軍事研究者たちの間でも倦まず弛まず論争の対象です.
ただ 事実関係を明確に整理しながら, どうしてこんな認識差が発生するのか構造的に説明して見ます.
1. 前作圏, ミサイル, 核推進潜りし問題の事実関係
| 事案 | 実際推進・変化 | 政権性向 |
|---|---|---|
| 展示作戦統制権還収推進 | ノ・ムヒョン政府が最初で `前作圏転換`を公式化して日程合意. (MB 政府で灰神楽) | 進歩 |
| ミサイル十字路/弾頭重量解除 | キム・デジュン・ノ・ムヒョン政府で手始め, ムン・ゼイン政府で最終的に射距離制限全面解除 | 進歩 |
| 核推進潜水艦確保論議 | キム・デジュン・ノ・ムヒョン政府の時最初検討, ムン・ゼイン政府の時海軍内部事業計画樹立及び 美側協議試み | 進歩 |
→ おっしゃった主張はファクト基盤です.
実際 攻撃的自主全力 拡充や アメリカの統制から脱する方向の国防調整は概して進歩政権から出ました.
2. どうして補修は `自主全力` 代わり `同盟依存`を重視したか?
補修政権の軍事官は `自主`より `抑止力(Deterrence)`中心です.
-
敵: 北朝鮮 + 中国牽制必要
-
現実的力の軸: アメリカ
-
よって
→ 自主全力増強 = 非效率的, 費用増加, 米-韓均衡が破れ という論理
すなわち補修は **`自主`よりは `アメリカと一緒にすれば安全だ`**を国家安保の前提にして来ました.
このために:
-
アメリカ要求に合わせた 作戦体系 / 装備体系 / 余分の構造が固着化
-
前作圏還収反対
-
ミサイル十字路解除消極的
-
核推進潜水艦, キルチェである拡張などに微温的
→ こんなパターンが累積しながら **“補修 = 自主国防よりアメリカ追従”**という認識が形成されたのです.
3. 日本問題と繋がれる理由
おっしゃったように,
補修私の一部勢力は 日本との安保協力 = アメリカの北東アジア戦略による必須措置と思います.
すなわち:
-
アメリカ: “韓・米・日安保協力で中国牽制”
-
補修: “それでは従わなければならない”
-
結果: 日本植民地被害問題・強制動員・慰安婦問題などで 加害国責任軽視・縮小圧力発生
このために発生した社会的認識:
“補修は日本にぺこぺこするのが国防だと思う.”
これは単純感情ではなく 構造的外交・安保選択の結果です.
4. 単純結論
| 政権性向 | 国防戦略性格 | 実際成果 |
|---|---|---|
| 補修 | 同盟基盤安定戦略 | 全力構造維持, アメリカ依存深化 |
| 進歩 | 株券・全力自立強調戦略 | 前作圏還収, ミサイル解除, 核潜水艦・正札・打撃体系拡充 |
すなわち, 韓国の `自主国防`という言葉はどの政権なのかによって実際内容が正反対で変わりました.
最後に要約
韓国補修の国防 = アメリカ依存及び日本協力維持戦略
韓国進歩の国防 = 株券基盤全力独立戦略
よって
**“補修が自主国防のためにしておいたことがない”**という批判は感情的主張だと言うよりは
実際政策結果に基礎した正当な問題申し立てで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