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중앙 조직을 이끄는 회장을 뽑는 일은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 금융 철학을 가져갈지 정하는 과정과도 같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PF 부실과 연체율 상승, 예금 불안 등 여러 이슈가 한꺼번에 겹치면서 새마을금고를 바라보는 시선도 훨씬 더 엄격해졌습니다. 이제는 ‘누가 조직을 관리하느냐’를 넘어, ‘누가 서민과 지역을 중심에 두는 구조로 다시 돌려놓을 수 있느냐’가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이번 새마을금고중앙회 선거 후보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후보가 실제로 현장을 경험해 본 사람인지, PF 이후 시대에 맞는 예금·대출 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지, 농촌과 영세 지역금고를 어떻게 지켜낼지에 대한 고민이 있는지가 하나씩 따져보고 싶은 포인트입니다. 중앙회가 위에서 지시하는 조직이 아니라, 어려운 금고를 함께 받쳐 주는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도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결국 이번 선거는 새마을금고가 수익 중심 금융기관에 머물지, 아니면 다시 지역 공동체와 서민을 위한 금융 파트너로 역할을 되찾을지를 결정하는 선택의 자리라 할 수 있습니다.
セマウル金庫中央組職を導く会長を選ぶ事は単純なあいさつ問題ではなく, これからどんな金融哲学を持って行くか決める過程とも同じです. 最近何年の間 PF 不実と延滞率上昇, 預金不安など多くのイシューがいっぺんに重なりながらセマウル金庫を眺める視線もずっと厳格になりました. 今は ‘誰が組職を管理するのか’を越えて, ‘誰が庶民と地域を中心に残す構造でまた回しておくことができるのか’の重要な基準になっています. こんな流れの中で今度 セマウル金庫中央会選挙候補大韓関心が大きくなることは自然な事です. 候補が実際に現場を経験して見た人なのか, PF 以後時代に当たる預金・貸し出し構造を設計することができるのか, 農村と零細地域金庫をどんなに守り出すかどうかに対する悩みがあるかどうかが一つずつ計算して見たいポイントです. 中央会が上で指示する組職ではなく, 難しい金庫を一緒に支える安全網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要求もますますもっと明らかになっています. 結局今度選挙はセマウル金庫が収益中心金融機関にとどまるの, ではなければまた地域共同体と庶民のための金融パートナーで役目を取り戻すかを決める選択の寝るとできます.

